KAIST 대학원생 4명, 반도체 설계 국제학술대회서 최우수 논문상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KAIST의 한 연구실 박사과정생 4명이 반도체 설계 분야 국제학술대회 '디자인콘(DesignCon)'에서 최우수 논문상을 동시에 수상했다.
KAIST는 김정호 전기및전자공학부 교수 연구실 '테라 랩(TERA Lab)'소속 김성국, 최성욱, 신태인, 김혜연 박사과정 학생 4명이 디자인콘이 선정한 2022년 최우수 논문상 수상자로 선정됐다고 16일 밝혔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KAIST의 한 연구실 박사과정생 4명이 반도체 설계 분야 국제학술대회 ‘디자인콘(DesignCon)’에서 최우수 논문상을 동시에 수상했다.
KAIST는 김정호 전기및전자공학부 교수 연구실 ‘테라 랩(TERA Lab)’소속 김성국, 최성욱, 신태인, 김혜연 박사과정 학생 4명이 디자인콘이 선정한 2022년 최우수 논문상 수상자로 선정됐다고 16일 밝혔다. 전체 수상자 8명 중 절반인 4명에 해당한다.
시상식은 오는 31일 미국 실리콘밸리 새너제이 산타클라라 컨벤션센터에서 열리는 `디자인콘 2023 국제학술대회'에서 진행된다.
디자인콘 최우수 논문상은 실무와 밀접한 관련이 있고 곧바로 제품에 적용이 가능한 실용적인 기술에 관한 내용을 다룬다. 미국, 중국, 일본의 글로벌 빅테크 기업 소속 엔지니어 및 연구원들이 경쟁한다.
최우수 논문상 수상자 중 김성국 학생은 고성능 인공지능 가속기를 위한 고대역폭 메모리 기반 프로세싱-인-메모리(PIM) 아키텍처를 설계했다. 최성욱 학생은 강화학습 방법론을 활용해 고대역폭(HBM) 메모리를 위한 하이브리드 이퀄라이저를 설계해 주목을 받았다. 신태인 학생은 차세대 뉴로모픽 컴퓨팅 시스템의 신호 무결성 모델링과 설계 및 분석 방법론을 제안했다.
끝으로 김혜연 학생은 반도체 설계 문제 중 노이즈 제거와 관련해 ‘디커플링 캐패시터’ 배치 문제를 조합 최적화 문제로 정의하고 오프라인 학습 방법인 모방 학습을 통해 자동 최적화했다. 김혜연 학생은 이번 수상 논문 이외에도 반도체 설계 문제에 지식 증류, 데이터 증강, 대칭성 학습 등 다양한 인공지능 기법을 적용해 성능이 한층 개선된 결과를 얻었다.
KAIST 테라 랩은 2022년 4명의 수상자 외에 지난 2021년에도 김민수 박사과정 학생이 최우수 논문상을 수상했다. 지금까지 총 5편의 수상자 논문 중 3편이 인공지능을 활용한 반도체 설계에 관한 논문이다.
김정호 교수는 "테라 랩은 전 세계 산·학·연구기관 중 유일하게 그간의 연구성과를 기반으로 독창적으로 개발한 반도체 설계 자동화 기술인 5I(CI, PI, TI, EMI, AI) 융합 솔루션을 갖추고 있다ˮ며 "2030년 이후에는 이종 칩을 하나의 패키지로 통합하는 `3D 이종 집적화 패키징' 기술이 대세로 자리를 잡을 것ˮ이라고 전망했다. 이어 "디지털 대전환(DX) 시대를 맞아 반도체의 역할이 갈수록 중요해지는 만큼 차세대 반도체 개발에 필요한 맞춤형 인재 양성을 위해 더욱 노력하겠다ˮ고 밝혔다.
[박정연 기자 hesse@donga.com]
Copyright © 동아사이언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