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 1인당 명품소비 年 40만원…세계 1위”
이청아 기자 2023. 1. 15. 17:56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한국이 지난해 국민 1인당 명품 구매에 세계에서 가장 많은 돈을 쓴 것으로 조사됐다.
미국 CNBC방송은 12일 투자은행 모건스탠리 보고서를 인용해 지난해 한국인 명품 소비액은 2021년보다 24% 증가한 168억 달러(약 20조9000억 원)라고 보도했다.
이는 한국인 1인당 325달러(약 40만4000원)를 명품에 소비한 것으로 미국(280달러·약 34만8000 원), 중국(55달러·약 6만8000원)보다 많다.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한국이 지난해 국민 1인당 명품 구매에 세계에서 가장 많은 돈을 쓴 것으로 조사됐다.
미국 CNBC방송은 12일 투자은행 모건스탠리 보고서를 인용해 지난해 한국인 명품 소비액은 2021년보다 24% 증가한 168억 달러(약 20조9000억 원)라고 보도했다. 이는 한국인 1인당 325달러(약 40만4000원)를 명품에 소비한 것으로 미국(280달러·약 34만8000 원), 중국(55달러·약 6만8000원)보다 많다.
모건스탠리 보고서에 따르면 명품 브랜드 프라다는 “지난해 한국과 동남아시아 매출 강세가 중국의 ‘제로 코로나’ 봉쇄 정책으로 인한 매출 감소폭을 완화시켰다”고 평가했다. 아웃도어 브랜드 몽클레어는 지난해 2분기(4~6월) 한국 매출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대유행 이전보다 2배 이상 늘었다고 밝혔다. 카르티에 역시 지난해 한국 매출이 전년에 비해 두 자릿수 만큼 증가했다고 전했다.
이 보고서는 한국의 명품 소비 열풍 원인으로 사회적 지위 과시 욕구를 꼽았다. 한국의 소비는 다른 나라보다 외모와 경제적 성공에 영향을 많이 받으며 거의 모든 유명 한국 연예인이 명품 브랜드 홍보 모델을 맡고 있다는 것이다. 부를 드러내는 것에 관용적인 한국 분위기도 명품 소비 증가 배경으로 지적됐다. 글로벌 컨설팅 업체 맥킨지 설문조사에 따르면 ‘명품을 과시하는 것에 부정적’이라는 응답이 일본 45%, 중국 38%인 반면 한국은 22%에 불과했다. 구매력 상승도 중요 이유로 꼽혔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부동산 가격 상승에 힘입어 2021년 한국 가구 순자산은 전년보다 11% 증가했다.
다만 글로벌 컨설팅 업체 베인앤드컴퍼니는 전체 인구보다는 구매력이 있는 중산층 이상을 대상으로 1인당 명품 소비액을 비교하는 게 보다 유의미하다고 지적했다고 CNBC는 보도했다.
미국 CNBC방송은 12일 투자은행 모건스탠리 보고서를 인용해 지난해 한국인 명품 소비액은 2021년보다 24% 증가한 168억 달러(약 20조9000억 원)라고 보도했다. 이는 한국인 1인당 325달러(약 40만4000원)를 명품에 소비한 것으로 미국(280달러·약 34만8000 원), 중국(55달러·약 6만8000원)보다 많다.
모건스탠리 보고서에 따르면 명품 브랜드 프라다는 “지난해 한국과 동남아시아 매출 강세가 중국의 ‘제로 코로나’ 봉쇄 정책으로 인한 매출 감소폭을 완화시켰다”고 평가했다. 아웃도어 브랜드 몽클레어는 지난해 2분기(4~6월) 한국 매출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대유행 이전보다 2배 이상 늘었다고 밝혔다. 카르티에 역시 지난해 한국 매출이 전년에 비해 두 자릿수 만큼 증가했다고 전했다.
이 보고서는 한국의 명품 소비 열풍 원인으로 사회적 지위 과시 욕구를 꼽았다. 한국의 소비는 다른 나라보다 외모와 경제적 성공에 영향을 많이 받으며 거의 모든 유명 한국 연예인이 명품 브랜드 홍보 모델을 맡고 있다는 것이다. 부를 드러내는 것에 관용적인 한국 분위기도 명품 소비 증가 배경으로 지적됐다. 글로벌 컨설팅 업체 맥킨지 설문조사에 따르면 ‘명품을 과시하는 것에 부정적’이라는 응답이 일본 45%, 중국 38%인 반면 한국은 22%에 불과했다. 구매력 상승도 중요 이유로 꼽혔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부동산 가격 상승에 힘입어 2021년 한국 가구 순자산은 전년보다 11% 증가했다.
다만 글로벌 컨설팅 업체 베인앤드컴퍼니는 전체 인구보다는 구매력이 있는 중산층 이상을 대상으로 1인당 명품 소비액을 비교하는 게 보다 유의미하다고 지적했다고 CNBC는 보도했다.
이청아 기자 clearlee@donga.com
Copyright © 동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동아일보에서 직접 확인하세요. 해당 언론사로 이동합니다.
- 나경원 “제2 진박감별사” 비판에…장제원 “제2 유승민 되지 말길”
- 맨몸으로 불길 뛰어들어 80대 노부부 구한 70대…얼굴과 팔에 화상
- 15m 높이 타워크레인서 1.3t 벽돌더미 와르르…20대 인부 사망
- 외교부 “추락한 네팔 항공기에 한국인 2명 탑승”
- 비틀비틀 소년 구한 새내기 순경…“배운 대로 했다”(영상)
- 면역력 떨어지는 겨울철…‘이것’ 꼭 섭취해야
- 강원 산간 50cm ‘눈폭탄’…서울 등 적설지역 확대
- ‘20억 로또’ 주인, 아직도 안 나타나…내일 기한만료
- 다리 위 매달린 사람 발견한 부부…차 지붕으로 받아 목숨 구했다
- 박진희 “엄마로서 끔찍, 더이상 미룰 수 없다”…피켓 든 까닭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