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보다 목숨"…'교섭' 황정민X현빈, 최악의 피랍사건 살린 케미(종합)[Oh!쎈 현장]
[OSEN=김보라 기자] “저는 실리보다 명분이다. 사람과 사람의 관계에 중점을 두고 살아가기 때문이다.”
배우 황정민과 현빈은 13일 오후 서울 삼성동 메가박스 코엑스에서 열린 새 영화 ‘교섭’의 언론배급시사회에서 “저는 명분을 택하고 싶다. 영화라는 매체 자체가 스크린을 통해서 관객들과 얘기하지만, 영화든 연극이든, 제일 중요한 것은 인간과 인간의 관계 속 소통에서 온다고 생각한다”고 이같이 말했다.
영화 ‘교섭’(감독 임순례, 제공배급 플러스엠 엔터테인먼트, 제작 영화사 수박 원테이크 필름)을 보면 ‘아무런 빌미를 제공하지 않은 한 국가가 억류된 자국민들을 살리기 위해, 설득과 타협으로 국가 간 생긴 분쟁을 얼마나 효율적으로 해결할 수 있을까?’라는 질문을 던짐과 동시에 국가의 자국민 보호 및 그 책임에 대한 물음을 끊임없이 갖게 한다.
최악의 피랍사건으로 탈레반의 인질이 된 한국인들을 구하기 위해 아프가니스탄으로 향한 외교관과 현지 국정원 요원의 교섭 작전을 그린 드라마 영화 ‘교섭’은 2007년 아프가니스탄에서 벌어진 샘물교회 피랍사건을 모티프로 삼아 영화적으로 창조했다.
실제로 당시 정부가 탈레반 측에 협상의 조건으로 몸값을 제안했는지, 실제로 돈을 줬다면 얼마를 지불했는지 공식적으로 밝혀진 바는 없다.
이날 임 감독은 “당시 얼마가 지불됐는지 영화를 준비하면서도 몰랐다. 돈을 줬을 것이라는 건 추측하지만 정확한 액수는 공표되지 않았다”며 “국제적 리스크를 안고 (한국정부가)돈을 먼저 제안한 게 아니라, 여러 가지 방법을 제시하다가 마지막 남은 한 가지 해결방안이 돈이었다. 저는 그 돈이 어떻게 쓰였느냐보다 우리 국민의 목숨을 살려서 귀국시키는 게 중요하다는 것에 방점을 뒀다”고 영화가 말하고자 했던 부분을 설명했다.
영화를 준비하면서 공부를 많이 했다는 임순례 감독은 “이 영화를 준비하면서 아프가니스탄의 역사와 문화, 정치에 대해 많이 공부했다”며 “특히 아프간의 역사에 대해 공부하면서 탈레반이 왜 생겼는지, 이후엔 어떠한 과정으로 살게 됐는지 등에 대해 알게 됐다”고 밝혔다.
한국인 피랍사건을 주요 소재로 삼은 것에 대해 감독은 “동일한 사건도 어느 각도에서 보느냐에 따라 다르게 생각할 수 있다”라며 “미지의 땅과 탈레반이라는 잔혹한 집단에 대한 우리 국민의 생명, 좁게 말하면 직무를 수행해야만 하는 공무원에 대해 이야기를 풀어보면 기존에 한국에서 다뤘던 영화들의 이야기와 다르게 갈 수 있지 않을까 싶어서 하게 됐다”고 연출 의도를 밝혔다.
이어 임순례 감독은 “제가 감독이지만 아프가니스탄을 그리는 데 있어서 자의적으로 해석한 것은 없다. 국제 뉴스를 통해서 보셨겠지만 실상이 잔인하면 더 잔인했지 영화를 위해서 과장한 부분은 없다. 그래서 (국제적 차원에서)영화의 스토리와 전개에 대해 항의를 받을 부분은 없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황정민은 “임순례 감독님이 하자고 해서 무조건 했다. 저에게 영화의 포문을 열여 준 분이라 저는 대본을 읽기 전부터 '이 작품을 하겠다'고 말했다”며 “중요한 건 정재호라는 인물 자체가 창작된 인물이기 때문에 공무원으로서 (억류된)사람들을 구하는 방식을 어떻게 표현할지에 중점을 뒀다”고 밝혔다.
이어 황정민은 “재호는 원칙적인 인물이다. 자국민을 구해내야 한다는 마음은 대단했는데 마음대로 할 수 없었던 건 외교관이라는 직업의식 때문이었다. 잘못되면 나라가 손가락질 받기 때문에 대식과 상충한 것”이라며 “하지만 대립하던 두 인물이 시간이 차츰 지나며 서로 맞춰가는 과정이 필요했다. 그 두 사람 사이에 가교 역할을 해준 카심이 큰 도움을 줬다”고 현빈, 강기영과의 캐릭터 호흡에 대해 이야기했다.
황정민은 끝으로 “작품을 선택하는 건 인연이라고 생각한다. 하고 싶어도 못 하고, 하기 싫어도 하게 되는 작품이 있는 건 인생과 비슷한 거 같다”며 “관객과 만나는 것도 큰 인연이라 생각한다. 팬데믹 때문에 개봉을 못 하다가 이제 개봉하게 되는 건 지금이 적기이기 때문이다. 절박하고 절실한 작품인데 관객들이 잘 봐주셨으면 좋겠다”고 당부했다.
1월 18일 개봉.
/ purplish@osen.co.kr
Copyright © OSE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