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대응 못했다" 中 2%→30% '급등'

김규식 특파원(kks1011@mk.co.kr), 손일선 특파원(isson@mk.co.kr), 최현재 기자(aporia12@mk.co.kr) 2023. 1. 11. 18:03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코로나 대응·사업환경
中 방역 정치화에 기업인 우려
코로나 이전 환경 복귀 시점엔
韓 내년 상반기, 中 올해 하반기

코로나19 정부 대응을 묻는 질문에 중국 경영인들이 낙제점을 줬다.

작년 97.9%였던 긍정적 평가는 이번에는 63.4%로 크게 줄었다. 부정적 평가는 2.1%에서 30.7%로 급증했다. 자국 정부 평가에서 중국의 결과가 1년 새 급변한 것이다. '제로 코로나' 정책을 급하게 폐기하며 혼란을 줬던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을 비판적으로 평가한 대목이다. 강준영 한국외대 국제지역대학원 교수는 "많은 나라가 위드 코로나로 전환하는 상황에서 중국은 사실상 실패하고 있는 점이 반영된 것"이라며 "작년 사전 대비 없이 봉쇄로 일관해 물류·공급망 등에 차질이 빚어지는 등 방역의 정치화에 대한 기업인의 우려가 커진 것"이라고 분석했다.

한국의 경우는 긍정적 평가가 압도적이었다. '매우 잘했다'와 '잘했다'가 각각 14.7%, 70.5%로 둘을 합친 긍정적 평가는 85.2%에 달했다. 부정적 평가는 12.6%에 불과했다. 2021년 조사에서 한국의 긍정적 평가가 57.4%, 부정적 평가가 34.7%였던 것에 비하면 호전된 것이다.

사업 환경이 코로나19에서 벗어나 2019년 이전으로 돌아갈 수 있는 시기에 대해선 올해 하반기나 내년 상반기로 예상됐다. 코로나19 이전 복귀 시점에 대해 한국은 내년 상반기(28.1%)와 올 하반기(26%)를 많이 꼽은 반면 중국은 응답자의 40.6%가 올해 하반기를 선택했고 내년 상반기는 24.8%였다. 일본은 '이미 종식됐다'와 올해 하반기 비율이 높았다.

작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후 에너지·자원 가격이 급등하면서 각국의 전력 사정에 영향을 미쳤다. 효율적인 전력 공급과 에너지 조달을 위해 어떤 대책이 중요한지를 묻는 항목에 대해 한국은 '원전의 비율 확대와 효율적 이용'(44.4%)을 가장 많이 꼽았고 그 뒤를 '태양광 발전 등을 통해 탈탄소 가속화'(27.8%)가 이었다. 일본은 탈탄소 가속화(44.1%)가 1위, 두 번째는 원전 비율 확대(26.5%)였다.

[특별취재팀=도쿄/김규식·베이징/손일선 특파원·서울 최현재·한재범 기자]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