핼러윈 참사 원인은 ‘군중유체화’…“발 공중에 뜬채 파도타기하듯 밀려”
지난해 10월 29일 발생한 ‘핼러윈 참사’의 원인으로는 ‘군중 유체화’ 현상이 지목됐다. 군중유체화는 좁은 공간에 너무 많은 인파가 몰려, 사람들이 자의로 움직이지 못하고 물처럼 떠밀리는 현상을 뜻한다.
경찰청 특별수사본부는 13일 핼러윈 참사 최종 수사 브리핑을 열고 사고 발생 원인과 과정에 대해 이같이 설명했다. 특수본은 “사고 당일 오후 5시쯤부터 세계음식거리를 통행하는 사람들, 세계음식거리에서 이태원역으로 가려는 사람들, 이태원역에서 세계음식거리로 향하는 사람들로 인파가 계속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사고 골목의 도로 폭은 평균 4m 내외다. 사고 발생 현장의 도로 폭은 3.199m로 골목에서 가장 좁다.
특수본은 이날 시간대별 CCTV 화면도 공개했다. 오후 6시 6분에는 사고가 발생한 골목에는 정체가 발생하는 정도의 인파가 몰렸다. 다만 사람들의 이동이 불가능한 수준은 아니다.
이태원으로는 인파가 계속 몰려들었다. 오후 6시부터 오후 10시까지 매 시각 1만명이 이태원역에서 하차했다. 오후 8시30분쯤 세계음식거리와 T자형 삼거리 골목 세방향에 모여드는 사람들로 극심한 정체가 일어났다. 오후 9시쯤부터 자의에 의한 거동이 어려운 군중 유체화 현상이 나타났다. 이후 사고 발생 시각인 오후 10시 15분쯤 사고 지점 앞에서 여러 사람이 한번에 동시다발적으로 넘어지게 됐고, 뒤편에서 따라오던 사람들도 순차적으로 넘어지면서 군중 압력에 의해 158명이 질식 등으로 사망했다는 것이다.
당시 일대 군중 밀집도는 1㎡당 최고 12.09명까지 올라갔다. 가로, 세로 각 1m의 공간에 12명이 몰려있었다는 것이다. 참사가 발생한 골목은 오후 10시 25분쯤 밀집도가 1㎡당 9.07~10.74명이었다. 부상자들은 “인파에 밀려 강제로 사고 지점으로 가게 됐고 파도타기처럼 왔다 갔다 하는 현상이 있었다” “뒤에서 미는 힘 때문에 자꾸 공중으로 떠서 발이 떨어진 상태였다” “떠밀려 가는 느낌이 있었는데 사고 지점에서 그 힘이 더 세게 느껴졌다”고 당시 상황을 진술했다.
군중 유체화 현상은 통상 1㎡당 7명의 사람이 몰려있을 때 발생하기 시작한다. 좁은 공간에서 수많은 사람들이 이동하기 때문에 신발이 벗겨지거나, 옷이 찢어지는 상황도 벌어진다. 밀집도가 상대적으로 덜한 곳에서 누군가 넘어지게 된다면 떠밀려 오던 사람들도 연쇄적으로 넘어진다.
특수본에 자문한 박준영 금오공대 교수는 “국립과학수사연구원 밀도 추정 감정서를 토대로 사고 골목길에 대해 시뮬레이션을 진행한 결과, 오후 9시~오후 10시 30분쯤 군집 밀도는 1㎡당 6~10명 사이였다”며 “한 사람당 평균 2200~5500N(약 224~560㎏)의 힘을 받았을 것으로 추정되며, 10분 이상 저산소증을 겪다 외상성 질식으로 인해 사망한 것으로 판단한다”고 했다.
손재한 특수본부장은 “경찰, 지자체, 소방, 서울교통공사 등 법령상 재난안전 예방 및 대응 의무가 있는 기관들의 과실이 중첩돼 다수의 인명피해를 초래했다”고 말했다.
Copyright © 조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서울 중구 대형마트 주말에도 문 연다…서초·동대문 이어 서울 세번째
- 대구 성서산단 자동차 부품 공장서 큰 불…5시간 만에 진화
- 멜라니아, 백악관 상주 안 할 듯…“장소·방법 논의 중”
- 금산서 출근길 통근버스 충돌사고…22명 경상
- 트럼프, 이번엔 개인 변호사 법무차관 발탁
- 대기업 3분기 영업이익 34% 증가…반도체 살아나고 석유화학 침체 여전
- 손흥민 A매치 50골... 가장 많은 골을 터뜨린 나라는?
- 홍명보호, 요르단·이라크 무승부로 승점 5 앞서며 독주 체제
- 한국, 1년 만 美 ‘환율 관찰 대상국’ 복귀...수출 늘어나며 흑자 커진 영향
- “김정은도 그를 못 이겨”... 이 응원가 주인공 황인범, 4연승 주역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