협회가 고민하는 2701호 해법, 왜 전임 닥터가 나왔을까
한국 축구에 큰 상처를 남긴 ‘2701호 사태’는 대한축구협회 의무시스템이 개선되지 않으면 재발될 수 있는 문제다.
유럽을 누비는 선수들이 늘어나 그만큼 눈높이도 올라왔다.
협회가 지난 10일 입장문에서 축구대표팀이 재소집되는 3월까지 의무팀 강화를 약속한 것도 이 사실을 뒤늦게 깨달았기 때문이다.
축구 현장에선 선수들이 불만을 가졌던 개인 트레이너와 협업안 뿐만 아니라 주치의 시스템도 손질을 할 때가 됐다고 지적한다.
대표팀에선 주치의가 선수의 몸 상태를 진단하면, 트레이너들이 그 처방에 맞춰 수행한다. 주치의가 선수들을 얼마나 잘 파악하느냐에 따라 치료 효과도 달라진다.
아쉽게도 한국은 이 부분이 취약하다. 협회 의무분과위원회에서 대회가 열릴 때마다 주치의를 추천하는데, 사실상 자원봉사나 마찬가지다. 축구에 대한 애정이 깊은 의사들이 지원하지만 명예직이라 자주 바뀌니 선수들과 유대감을 가지기도 어렵다.
선수의 부상이 악화되는 경우라도 생기면 주치의에 대한 신뢰부터 흔들리기도 한다. 카타르 월드컵에서 부상이 심해졌던 황희찬(울버햄프턴)의 사례도 그 예다
최태욱 전 대표팀 코치는 월드컵 이후 한 언론과 인터뷰를 통해 “(황희찬은) 월드컵 직전 소속팀에서 햄스트링(허벅지 뒷근육)을 다쳤다고 해 재활을 하다가 훈련에 합류했는데, 첫 경기 이틀 전에 또 다쳤다. 부상 부위 자기공명영상(MRI)을 제대로 확인하지 않은 것이 화근이었다”고 밝혔다. 최 코치는 “대표팀 주치의가 대회마다 바뀌니 이런 문제가 생긴다고 본다. ‘전임 닥터’가 왜 있어야 하는지를 보여주는 케이스”라고 강조했다.
그러나 축구협회의 설명에 따르면 당초 황희찬의 소속 팀 울버햄프턴으로부터 받은 소견서 상으로 문제가 없었기에 MRI를 요구할 필요가 없었다. 이를 주치의의 진단 과정의 문제로 보기는 어렵다. 대표팀 주치의 시스템에 대한 불신이 주치의에 대한 불신으로 이어진 사례다.
주치의를 직접 고용하는 전임 닥터제는 큰 비용을 감수해야 한다. 대학병원 교수급 전문의는 세전 월 1500만원 이상의 대우를 받는다.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재정난으로 아직 어려움을 겪고 있는 협회가 당장 전임 닥터제를 도입하기 어렵다면 단계적으로 그에 준하는 시스템을 맞출 필요가 있다. 예컨대 대표팀 감독과 함께 4년 주기라도 고정된 주치의가 책임지는 시스템을 마련하는 것이다.
협회의 한 관계자는 “최 코치의 발언은 선수들의 개별 몸 상태를 놓치지 않는 시스템이 필요하다는 의견으로 풀이된다”면서 “과거에도 주치의와 개별 계약서를 쓴 적은 없다. 트레이너 문제와 함께 주치의도 최상의 대안을 내놓을 수 있도록 준비하겠다”고 전했다.
황민국 기자 stylelomo@kyunghyang.com
Copyright © 스포츠경향.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전문] 아이유, 악플러 180명 고소…“중학 동문도 있다”
- [스경X이슈] 김광수는 왜, 꺼진 ‘티아라 불씨’를 살렸나
- 홍현희, ♥제이쓴과 결혼하길 잘했네 “인생 완전 달라져” (백반기행)
- 빈지노♥미초바 득남, 옥택연·로꼬·김나영 등 축하 물결
- [스경X이슈] 율희, 최민환 ‘업소 논란’ 속 활동 시동··· 양육권 가져오나
- “커플템 NO” 정우성·신현빈, 열애설 초고속 부인
- 나나 “다섯 배 정도 아픈 것 같다”···타투 제거 시술 공개
- 김예지, 활동 중단 원인은 쏟아진 ‘악플’ 때문이었다
- [종합] ‘돌싱글즈6’ 역대 최다 4커플 나왔다, 행복 출발
- 남현희, 누리꾼 30명 ‘무더기 고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