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농업 ODA 규모 2배 늘린다⋯세계 식량위기 극복 지원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정부가 농업 분야 무상 공적개발원조(ODA) 규모를 2027년까지 2배로 늘린다.
개발도상국에 한국형 쌀 생산벨트와 스마트팜 등을 구축해 세계적인 식량·기후 위기를 극복하는 데 힘을 보탠다는 복안이다.
이밖에도 개도국 농업개발에 관심이 많은 기업이 ODA 사업에 참여할 수 있도록 제도적으로 지원하는 등 민간 역량을 농업 ODA에 활용할 수 있는 통로도 확대한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개도국에 K-라이스벨트·K-스마트팜 구축
정부가 농업 분야 무상 공적개발원조(ODA) 규모를 2027년까지 2배로 늘린다. 개발도상국에 한국형 쌀 생산벨트와 스마트팜 등을 구축해 세계적인 식량·기후 위기를 극복하는 데 힘을 보탠다는 복안이다.
농림축산식품부는 10일 외교부 주관으로 열린 제 5차 무상개발협력전략회의에서 이같은 내용이 담긴 ‘농업 분야 ODA 추진전략’을 의결했다고 밝혔다. 이날 회의에는 의장인 외교부 장관과 농식품부·기획재정부·교육부 등 14개 정부 부처 위원, 한국국제협력단(KOICA)·한국수출입은행 관계자 등이 참여했다.
정부는 세계적으로 식량·기후 위기가 심각해지는 상황에서 농업 분야 개발 협력을 통해 2030년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달성에 기여한다는 방침이다.
이에 따라 전 부처 농업 분야 무상 ODA 규모를 2021년 2467억원에서 2027년 5000억원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개도국 수요와 외교 정책을 고려해 국가·지역별로 스마트팜·디지털농업 확산, 쌀 생산 역량 강화 등 협력 분야를 설정해 추진한다.
중점 추진 계획 중 하나는 한국 농업의 강점을 부각할 수 있는 전략적 브랜드 사업이다. 먼저 아프리카 사하라 이남에 쌀이 부족한 7개국을 대상으로 쌀 품종 개발·보급과 기술교육 등을 지원하는 ‘케이(K)-라이스벨트’를 구축한다. 베트남·캄보디아·필리핀·인도네시아·우즈베키스탄 등 아시아 지역에는 한국형 스마트팜인 ‘K-스마트팜’과 디지털 농업행정·정보통계 시스템을 구축하는 ‘K-디지털농업’을 지원한다. 감염병, 기후변화 등 농촌지역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농촌개발 사업도 지속한다.
정혜련 농식품부 국제협력관은 “ODA 사업에 브랜드명을 달아 그동안 단발성에 그쳤던 사업들을 체계화하고 지속적으로 추진될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밝혔다.
세계적인 식량 위기 극복을 위해 국제기구와 협력도 강화한다. 세계식량계획(WFP)을 통한 인도적 쌀 식량원조를 점진적으로 확대하고, 유엔식량농업기구(FAO) 등 농업 관련 국제기구와의 현장 소통으로 체계적인 사업을 발굴한다. 우리나라가 아시아·아프리카·중남미에 구축한 대륙별 농업기술협의체의 회원국과 해외농업기술개발사업(KOPIA) 센터도 확대해 맞춤형 농업기술 협력을 추진한다.
이밖에도 개도국 농업개발에 관심이 많은 기업이 ODA 사업에 참여할 수 있도록 제도적으로 지원하는 등 민간 역량을 농업 ODA에 활용할 수 있는 통로도 확대한다. 농업 ODA 사업의 추진 기반을 내실화하기 위해 무상개발협력전략회의에 농업 분과를 신설하고, ‘글로벌농림협력협의회’의 참여 기관을 확대해 농업 ODA 관련 기관간 사업 연계와 협의를 정례화한다는 방침이다.
하지혜 기자
Copyright © 농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