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출은 물론 내수마저 어렵다…새해에도 8개월째 경기둔화 우려한 정부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정부가 8개월째 경기둔화가 우려된다고 경고했다.
우리나라 경제 구원투수 역할을 해왔던 수출이 부진한 상태에서 내수 경기마저 회복세가 약화하고 있기 때문이다.
기획재정부는 13일 2023년 1월 그린북(최근경제동향)을 통해 "최근 우리 경제는 물가가 여전히 높은 수준을 지속하는 가운데, 내수회복 속도가 완만해지고 수출 감소 및 경제심리 부진이 이어지는 등 경기둔화 우려가 확대하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주력 산업 제조업이 무너지고 있다
환율 반사이익도 기대하기 어려워
공공요금 인상으로 높은 물가 지속
소비 위축 불가피…경기 전망 악화
[헤럴드경제=홍태화 기자] 정부가 8개월째 경기둔화가 우려된다고 경고했다. 우리나라 경제 구원투수 역할을 해왔던 수출이 부진한 상태에서 내수 경기마저 회복세가 약화하고 있기 때문이다.
기획재정부는 13일 2023년 1월 그린북(최근경제동향)을 통해 “최근 우리 경제는 물가가 여전히 높은 수준을 지속하는 가운데, 내수회복 속도가 완만해지고 수출 감소 및 경제심리 부진이 이어지는 등 경기둔화 우려가 확대하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실제로 수출 상황은 점차 악화하고 있다. 12월 수출은 전년동월비 9.5% 감소한 549억9000만달러를 기록했다. 12월 수출입차는 이에 46억9000만달러 적자, 경상수지는 6억2000만달러 적자를 나타냈다.
특히 우리나라 주력 산업인 제조업이 무너지고 있다. 고금리·고물가 그리고 이에 전세계 경기가 둔화하면서 나타난 현상이다. 11월 제조업 출하는 전월 대비 2.4% 감소했고, 재고는 전월 대비 1.4% 증가했다. 제조업 재고· 출하비율(재고율)은 전월 대비 4.8%포인트 상승했다.
환율에 따른 반사이익도 기대하기 어렵다. 지금까지 환율은 달러 강세를 중심으로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일본 등 주요 수출 경쟁국 통화가 비교적 더 강한 약세를 나타내 비교적 수출 증대효과가 미미했고 수입가격 상승으로 무역수지엔 악영향을 미쳤지만, 긍·부정을 따지자면 수출 자체엔 긍정적이라고 해석됐다.
그런데 이 원·달러 환율이 급격하게 떨어지기 시작했다. 기재부에 따르면 지난해 12월말 원·달러 환율은 1264.5원이었다. 11월말 1318.8원에서 50원 이상 하락한 것이다. 환율이 추가로 급격하게 떨어지면 수출엔 악재다.
소비자물가 상승세는 지난해 7월 6.3%로 정점을 기록했지만, 안정됐다고 말하기 어렵다. 11월과 12월 모두 전년동월비 5.0% 상승을 나타냈다. 물가 안정 목표치는 2.0%다. 앞으로도 급격한 하락을 기대하긴 어렵다. 정부는 물가 부담을 이유로 원자재 가격상승에도 공공요금 상방압력을 억눌러 왔는데, 올해부터는 이 공공요금을 올린다.
물가가 높은 상태로 지속되면 민간소비는 하방압력이 가중된다. 지난해 4분기부터 이미 징후가 나타나기 시작했다. 11월 소매판매는 내구재(-1.4%), 준내구재(-5.9%), 비내구재(-0.5%) 판매가 모두 감소하여 전월대비 1.8% 감소했다.
대면소비 지표인 서비스업 생산도 감소세다. 11월 서비스업 생산은 전월대비 0.6% 감소했다. 도소매업(-0.5%), 운수‧창고업(-1.2%), 숙박‧음식업(-4.0%) 등에서 하락세를 이끌었다.
경제에 대한 인식은 이에 더 부정적으로 변했다. 현재 경기상황을 말해주는 동행종합지수 순환변동치는 지난해 11월 전월 대비 0.7포인트 하락했다. 전망을 나타내는 선행종합지수 순환변동치는 전월 대비 0.2포인트 떨어졌다.
이와 관련 기재부는 “대외적으로는 통화긴축 속도, 중국의 방역상황 등에 대한 불확실성이 상존하는 가운데, 주요국 성장둔화 및 러·우크라 전쟁 향방 등에 따른 세계경제 하방위험 지속하고 있다”며 “설 물가 등 민생 안정에 총력 대응하면서, 수출‧투자 등 경제활력 제고 및 대내외 리스크 관리에 만전을 기하고, 3대 개혁 등 경제체질 개선 노력도 가속화하겠다”고 밝혔다.
th5@heraldcorp.com
Copyright © 헤럴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현빈·손예진 부부, 부동산 재산만 370억
- “20대 윤여정 vs 30대 최민식 누가 낫나요” 확 바뀐 얼굴 비교해보니
- “이런 밥상이 삼시세끼 공짜” 밥 먹으러 이사까지 갑니다
- 쌍방울 김성태 “이번주 검찰 조사 받겠다” …13~14일 귀국
- “1억 참 쉽게 버네” 연예인 뺨치는 유튜버 ‘돈벌이’ 뭔가 했더니
- “숨만 쉬어도 돈”…‘1만원’으로 3일 버티기, 결과는? [만원의 행복]
- 올해 세뱃돈 얼마가 적당할까?…“5만원” vs “안주고 안받기”
- “달랑 4개 사니 끝”…1년만에 달라진 ‘1만원 장바구니’ [만원의 행복]
- “신입도 외제차 탑니다” 5년차에 1억원 연봉 주는 부러운 직장
- “왜 안돼, 큰일났다” 할머니 몰던 차에 손자 사망…피해가족 소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