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플라스틱만 쓸 것"…먼저 바꾼 호주, 우리 청사진 될까

황덕현 기자 2023. 1. 13. 05:00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플라스틱 다이어트] ⑤ <끝> 호주, 2040년까지 100% 재활용
한국은 일회용컵 보증금제·편의점 비닐봉지 금지 사실상 유예

[편집자주] 코로나19 유행을 기점으로 택배, 배달 등 생활 패턴이 자리잡으며 일회용품 사용과 플라스틱 배출량이 급증했다. 썩지 않는 비닐과 플라스틱은 자연과 인간을 위협하고 있고, 폭염과 폭우, 폭설 등 이상기후 현상도 이제 피부로 체감하는 진짜 '위기'가 됐다. 플라스틱 감량은 이제 선택이 아닌 필수로, 서울시가 내걸은 '제로웨이스트 서울'의 일상 속 작은 실천들과 나아가야 할 방향을 짚어본다.

호주는 2040년 플라스틱 100% 재사용을 추진 중이다. 호주 북준주(州) 다윈 국제공항 등 지역 중심가에서는 폐플라스틱을 재활용한 제품도 다수 판매 중이다. 100% 재활용 플라스틱으로 만든 펜이 플라스틱병에 꽂혀있는 게 인상적이다. ⓒ 뉴스1 황덕현 기자

(서울·시드니·퍼스(호주)=뉴스1) 황덕현 기자 = 석탄 수출 강국에서 탄소중립·녹색성장 선도 국가로 변화를 잰걸음으로 하고 있는 호주는 지난 2021년부터 본격적인 '플라스틱 퇴출'을 추진 중이다. 호주 정부가 강하게 드라이브를 걸었고, 지역사회와 기업이 호응하면서 시민 참여를 이끌었다.

호주는 2040년까지 플라스틱 100%를 재활용하면서 국제무대 탄소중립·녹색산업 육성에서 선두를 차지하겠다는 게 포부다. 2025년까지 폐플라스틱을 2021년 대비 20% 감축하겠다는 환경부와, 전면에서 이를 시행 중인 '제로웨이스트' 서울시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13일 <뉴스1> 취재를 종합하면 호주 연방정부는 지난해 11월 2040년까지 플라스틱 폐기물을 100% 재활용·재사용하겠다고 밝혔다.

이는 기존에 2025년까지 배출 플라스틱 70%를 재활용 혹은 퇴비화하겠다는 목표를 강화한 것이다. 여기에는 △플라스틱 단계적 제거 △플라스틱 폐기물 책임 부담 △재활용 증대 투자 △불필요한 플라스틱에 대한 재활용 기술 개발 및 대안 연구 △재활용을 돕기 위한 지역사회 지원 등이 담겼다.

지난해 새로 들어선 노동당 출신 앤서니 앨버니지 총리는 앞선 목표가 연간 발생하는 플라스틱 쓰레기 중 16%만 재활용·재사용되고 있다며 더 엄격한 규제를 통한 탄소중립·녹색성장을 시사했다.

새 연방 정부 움직임과 별개로 각 주(州) 정부는 지난 2020년부터 플라스틱 감축에 들어간 상태다. 수도 캔버라가 포함된 수도 준주에서는 2021년부터 '플라스틱 감축법'(ACT)가 시행 중이다. 일회용 플라스틱 나이프와 포크, 일회용 플라스틱 음료 막대, 테이크아웃용 비닐·스티로폼 용기를 금지하는 게 골자다.

일회용 플라스틱 제한은 지난 2020년, 3월 남호주주(洲)에서 최초 시행됐고, 같은 해 9월 브리즈번이 있는 퀸즐랜드주로 확대됐다. 멜버른이 있는 빅토리아주의 경우 올해 2월부터 플라스틱 포장지 등 일회용품 사용을 단계적으로 폐지할 계획이다.

실제 <뉴스1>이 지난해 말 한국언론진흥재단, 호주 워클리재단의 지원으로 서호주주(州) 퍼스, 북 준주 다윈, 시드니 등에서 현지 취재한 결과 일회용품과 플라스틱 제품이 자취를 감추고 있었다.

호주 뉴사우스웨일즈주(州) 시드니에는 물병과 캔, 우유갑을 반납하고 환급할 수 있는 반납기가 곳곳에 설치돼 있다. 시드니는 재활용 업체와 협업을 통해 환경 보호 참여에 대한 시민 편의성을 높이고 있다. ⓒ 뉴스1 황덕현 기자

마트와 편의점에서는 일회용 비닐봉지가 사라지고 국제 산림인증 연합 프로그램(PEFC)의 지속가능성 인증을 받은 재생 봉지가 사용되고 있다.

카페에는 플라스틱 커피 스틱이 사라지고, 나무 막대가 이를 대체했다. 개인 카페에서는 차가운 음료도 재생용지로 만든 종이컵에 담아주는 등 플라스틱 사용을 자제하는 분위기다.

음식점이나 유통가 움직임에 앞서서 여기에 제품을 납품하는 업체들도 발빠르게 움직이고 있다. 코카콜라 호주, 네슬레, 마트 브랜드 울워스 등이 속한 호주 포장 규약 기구(APCO)는 이미 플라스틱 병의 재료를 100% 재활용 플라스틱으로 바꿨다. 라벨 역시 재활용될 수 있는 소재로 바꿨다.

호주 정부는 재활용 플라스틱 병을 다시 자원 순환해 재사용될 수 있도록 하는 보증금 제도를 운영 중이다. 물병이나 캔 등을 반납하면 10센트(90원)를 주는 제도다. 보증금은 자신이 돌려받을 수도 있고, 지역 비영리 단체에 기부할 수도 있다. 시드니 등에서 이런 반납기를 운영 중인 자원순환 업체 톰라(Tomra)는 이 프로그램을 통해 주 전역에서 버려지는 플라스틱 쓰레기양을 40% 가까이 줄였다고 소개했다.

우리나라에서는 환경부가 탈플라스틱을 주도하고 있다. 다만 제도 시행에는 다소 미온적이다. 앞서 지난해 12월부터 전국적으로 시행하려던 일회용컵 보증금제는 세종과 제주에서 약 1년간 시범 운영하기로 했다.

일회용품 규제를 강화하면서 식당과 카페, 편의점에서 비닐 봉지와 플라스틱 빨대 등을 사용하지 않도록 규칙을 개정했으나 이 역시 1년간 '계도기간'을 두며 일회용품 사용 금지를 유예했다.

일부 지자체는 환경부보다 적극적으로 탈플라스틱 정책을 추진 중이다. 서울시는 신촌과 서울역, 상암 등 사무실 밀집 지역에 다회용컵 무인회수기 600개 설치를 추진 중이다. 서울 시내 20개 대학을 모집해 학내 일회용컵을 줄이는 '제로 캠퍼스'를 지원할 방침이다. 포장재 없는 '제로마켓'도 확대 중이다.

이 밖에 김해시는 공원 묘원에 플라스틱 조화를 금지했고, 부산시는 다회용컵인 '부산E컵'을 내놓고 사용 뒤 회수·세척하는 프로세스를 구축했다.

ace@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