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GIST, 신축성 촉각센서 기술 개발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총장 국양)은 이주혁 에너지공학과 교수 연구팀이 움직임이 많은 일상 활동에서 사용해도 문제가 없는 신축성 촉각센서 기술을 개발했다고 12일 발표했다.
최근 착용형(웨어러블) 디바이스와 바이오센서 등이 개발되면서 이에 대한 에너지원 또는 센서로 활용할 수 있는 마찰대전 발전소자가 주목받고 있다.
이 교수는 "기존의 신축성 마찰대전 발전소자는 형태의 변화가 발전소자 출력에 영향을 줘 정밀한 감지에 제한이 있었다"고 말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웨어러블 기기 배터리·센서 활용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총장 국양)은 이주혁 에너지공학과 교수 연구팀이 움직임이 많은 일상 활동에서 사용해도 문제가 없는 신축성 촉각센서 기술을 개발했다고 12일 발표했다.
최근 착용형(웨어러블) 디바이스와 바이오센서 등이 개발되면서 이에 대한 에너지원 또는 센서로 활용할 수 있는 마찰대전 발전소자가 주목받고 있다. 마찰대전 발전소자를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사용하기 위해서는 인체에 접촉하는 소재가 무해해야 하고 움직임으로 형태가 변해도 출력이 안정적이어야 한다. 이 교수는 “기존의 신축성 마찰대전 발전소자는 형태의 변화가 발전소자 출력에 영향을 줘 정밀한 감지에 제한이 있었다”고 말했다.
이 교수는 이주헌 한양대(에리카 캠퍼스) 생명나노공학과 교수와 공동으로 그래핀 전극과 폴리염화비닐 겔(PVC-gel)을 이용해 마찰대전 발전소자를 만들었다. 인체의 움직임에도 일정한 출력을 낼 수 있는 안정적인 센서 소자라고 연구진은 밝혔다.
이 교수는 “인체 움직임으로 발생하는 변형률보다 높은 최대 50%의 신축변형 상황에서도 터치와 압력에 의해 일정한 전기가 출력되도록 구현했다”고 밝혔다. 연구에 사용된 소재들은 생체 안정성 평가를 통과했다.
이번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연구재단(NRF)과 DGIST가 센서 반도체 개발을 위해 지난해 초 설립한 DGIST센소리움 연구소 지원사업을 통해 진행됐다. 에너지공학 분야의 저명한 국제 학술지 중 하나인 나노에너지에 게재됐다.
대구=오경묵 기자 okmook@hankyung.com
▶ 해외투자 '한경 글로벌마켓'과 함께하세요
▶ 한국경제신문과 WSJ, 모바일한경으로 보세요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7억→13억' 뛰었는데 없어서 못 산다…'성수동 빌라'의 반전
- "'송혜교 복수극' 3월까지 기다리라니…" 넷플릭스의 '한 수'
- "악마에 영혼을 판 연주자" 소문에도…대중들은 열광했다 [김수현의 마스터피스]
- 작년 가격 4번이나 올린 '프라다', 해 바뀌자마자 한 일이…
- "홍삼 1800박스 넘게 팔았어요"…삼성 덕분에 대박 난 회사
- "생활비 月 1000만원 모두 명품 사는 아내"…의사 남편의 고민
- 이세영, 미니 원피스 입고 고혹적인 각선미…이렇게 섹시 했나?
- '더 글로리' 임지연 월급 220만원?…현직 기상 캐스터의 반박
- 바지도 치마도 아닌 '퀼로트' 교복 입은 日 고교생…이유는?
- 이상순, 제주 카페 논란에 "이효리와 무관…온전히 제 카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