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 귀농 5년만에 '금메달 농부' 되다
27세 '단감 농부' 김영재
대학 졸업직후 영암으로 귀농
3㏊ 땅에서 연 50t 단감 생산
월수입 600만~700만원 달해
"생산·판매 넘어 체험·관광
'6차산업 농부' 되고 싶어"
지방에 아기 울음소리가 끊기고 고령화가 가속화하면서 농촌이 생존과 소멸의 갈림길에 서 있다. 그 와중에 귀농하는 20·30대가 늘고 있다는 건 반가운 일이다. 통계청과 농림축산식품부가 발표한 통계에 따르면 2021년 30대 이하 청년 귀농인은 1522명으로 전년(1370명) 대비 11.1% 증가해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1996년생 김영재 청춘아람농장 대표(27·사진)도 그런 청년 농부 중 하나다. 김 대표는 전라남도 영암으로 귀농해 3㏊ 면적에서 연간 50t의 단감을 생산하고 있으며, 연 매출 1억5000만원을 올리고 있다. 지난달에는 작은 이변도 만들었다. 한 해를 대표하는 과일을 뽑는 축제 '대한민국 과일산업대전'에서 그가 재배한 단감이 대상을 받았다. 2018년에 한국농수산대를 졸업하고 농사에 뛰어든 지 5년 만에 이룬 쾌거다. 광주광역시 출신으로 도시에서 자랐고 부모님을 통해 농사일을 승계받지도 않은 순수 귀농 청년이라는 점에서 더 특별하다.
김 대표는 시기별 품종 분산 재배, 유기농 액비 사용 등으로 15.8브릭스(Brix)의 고당도와 아삭한 식감이 일품인 단감을 출품해 좋은 평가를 받았다. 그는 과분한 수상으로 부담이 된다고도 덧붙였다. 김 대표는 "20년, 30년 농사를 지은 사람도 태풍, 병충해, 냉해나 고온 장해 때문에 계획대로 농사를 지어본 햇수가 절반도 안 될 것"이라며 "농사일이 버릇처럼 몸에 배려면 더 많은 시간이 필요할 것 같다"고 말했다.
김 대표는 광주자연과학고 식품과학과를 졸업했는데, 이곳에서 요리를 배우면서 오히려 식재료에 대한 관심이 더 커졌다. 식재료를 선별하다 보니 자연스레 우리 농산물에 관심이 생겼다. 용감한 귀농은 오히려 농촌을 잘 몰랐기 때문이기도 했다. 농촌의 여유로움이 좋아 보여 뛰어들었지만 5년 차 농부가 돼 보니 현실은 딴판이었다. 수확 시기엔 일주일에 하루도 쉬지 못하고 꼬박 일만 해야 했다. 농번기에 4~6명 정도의 외부 인력을 쓰려면 사람 부리는 법도 배워야 했다.
연 매출 1억5000만원에서 인건비·자재비 등을 빼면 그의 월 수입은 600만~700만원 선이다. 웬만한 대기업 월급을 훌쩍 넘는 수준이라 대학생 친구들이 부러워하기도 한다. 하지만 농번기에 일 몇 번 도와주고 나면 그 말도 쏙 들어간다. 김 대표는 "친구들이 가끔 일을 도와주러 왔다가 업무 강도에 손사래를 친다"며 "다만 자신이 하고 싶은 일을 꾸준히 해나가는 것이 멋있다고 하는 친구들도 더러 있다"고 말했다.
김 대표가 귀농 청년의 어려움으로 꼽는 건 판로 확보다. 자금 융자, 보조금 지원, 강의와 실습으로 짜인 수십 시간의 교육과정 등 정부의 귀농 정책은 많지만, 대부분은 농사 자체만 돕는 데 집중돼 있어서다. 청년 농업인은 거래처와의 신뢰 관계 부족, 진입장벽 등으로 공판장에서 농산물의 제값을 받기 어렵다. 그는 지금 공판장 거래를 안 하고 전화 주문을 받아 수확물을 직거래로 팔고 있다. 김 대표는 "농사의 '농'자도 모르는 사람은 처음에 정부 지원 정책을 들으면 모든 걸 다 해줄 거라고 생각하기 십상"이라며 "그런데 수확을 끝낸 후 판로를 확보하지 못해 괴로워하는 경우를 종종 봤다"고 말했다.
그는 농업의 6차 산업화를 꿈꾼다. 김 대표는 "농업이 생산과 판매에서 끝나지 않고 체험과 관광 등으로 이어질 수 있게 6차 산업화를 하는 게 목표"라며 "그래야 사람들도 유입되고, 농촌도 발전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효석 기자]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브랜드 아파트마저…478가구 청약에 단 10명 신청 - 매일경제
- “인천 앞바다는 이제 성지가 될 것”...해상풍력 출사표 낸 이 기업 - 매일경제
- [속보] 이재명, ‘조카 살인사건’ 유족 제기 소송 1심 승소 - 매일경제
- 거제시 전망대서 승용차 100m 아래로 추락…4명 전원 사망 - 매일경제
- “끝난줄 알았는데 어느 새 2배 벌었다”...되살아난 OTT공룡 - 매일경제
- “독3사 하차감은 이제 약하지”...한국서 불티나게 팔린 슈퍼카 - 매일경제
- 인천 빌라서 백골 시신 발견…딸 메모엔 ‘2020년 엄마 사망’ - 매일경제
- ‘유럽의 당근마켓’도 품었다…네이버가 중고거래 공들이는 이유 [이종화의 세돌아이] - 매일
- [속보] 6300억원대 현대重 통상임금 지급 강제조정안 확정 - 매일경제
- ‘왕따 주행 논란’ 김보름-노선영 화해 실패, 법원은 강제 조정 명령 내려 - MK스포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