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 귀농 5년만에 '금메달 농부' 되다

이효석 기자(thehyo@mk.co.kr) 2023. 1. 12. 17:09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2022년 최고 과일 수상한
27세 '단감 농부' 김영재
대학 졸업직후 영암으로 귀농
3㏊ 땅에서 연 50t 단감 생산
월수입 600만~700만원 달해
"생산·판매 넘어 체험·관광
'6차산업 농부' 되고 싶어"

지방에 아기 울음소리가 끊기고 고령화가 가속화하면서 농촌이 생존과 소멸의 갈림길에 서 있다. 그 와중에 귀농하는 20·30대가 늘고 있다는 건 반가운 일이다. 통계청과 농림축산식품부가 발표한 통계에 따르면 2021년 30대 이하 청년 귀농인은 1522명으로 전년(1370명) 대비 11.1% 증가해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1996년생 김영재 청춘아람농장 대표(27·사진)도 그런 청년 농부 중 하나다. 김 대표는 전라남도 영암으로 귀농해 3㏊ 면적에서 연간 50t의 단감을 생산하고 있으며, 연 매출 1억5000만원을 올리고 있다. 지난달에는 작은 이변도 만들었다. 한 해를 대표하는 과일을 뽑는 축제 '대한민국 과일산업대전'에서 그가 재배한 단감이 대상을 받았다. 2018년에 한국농수산대를 졸업하고 농사에 뛰어든 지 5년 만에 이룬 쾌거다. 광주광역시 출신으로 도시에서 자랐고 부모님을 통해 농사일을 승계받지도 않은 순수 귀농 청년이라는 점에서 더 특별하다.

김 대표는 시기별 품종 분산 재배, 유기농 액비 사용 등으로 15.8브릭스(Brix)의 고당도와 아삭한 식감이 일품인 단감을 출품해 좋은 평가를 받았다. 그는 과분한 수상으로 부담이 된다고도 덧붙였다. 김 대표는 "20년, 30년 농사를 지은 사람도 태풍, 병충해, 냉해나 고온 장해 때문에 계획대로 농사를 지어본 햇수가 절반도 안 될 것"이라며 "농사일이 버릇처럼 몸에 배려면 더 많은 시간이 필요할 것 같다"고 말했다.

김 대표는 광주자연과학고 식품과학과를 졸업했는데, 이곳에서 요리를 배우면서 오히려 식재료에 대한 관심이 더 커졌다. 식재료를 선별하다 보니 자연스레 우리 농산물에 관심이 생겼다. 용감한 귀농은 오히려 농촌을 잘 몰랐기 때문이기도 했다. 농촌의 여유로움이 좋아 보여 뛰어들었지만 5년 차 농부가 돼 보니 현실은 딴판이었다. 수확 시기엔 일주일에 하루도 쉬지 못하고 꼬박 일만 해야 했다. 농번기에 4~6명 정도의 외부 인력을 쓰려면 사람 부리는 법도 배워야 했다.

연 매출 1억5000만원에서 인건비·자재비 등을 빼면 그의 월 수입은 600만~700만원 선이다. 웬만한 대기업 월급을 훌쩍 넘는 수준이라 대학생 친구들이 부러워하기도 한다. 하지만 농번기에 일 몇 번 도와주고 나면 그 말도 쏙 들어간다. 김 대표는 "친구들이 가끔 일을 도와주러 왔다가 업무 강도에 손사래를 친다"며 "다만 자신이 하고 싶은 일을 꾸준히 해나가는 것이 멋있다고 하는 친구들도 더러 있다"고 말했다.

김 대표가 귀농 청년의 어려움으로 꼽는 건 판로 확보다. 자금 융자, 보조금 지원, 강의와 실습으로 짜인 수십 시간의 교육과정 등 정부의 귀농 정책은 많지만, 대부분은 농사 자체만 돕는 데 집중돼 있어서다. 청년 농업인은 거래처와의 신뢰 관계 부족, 진입장벽 등으로 공판장에서 농산물의 제값을 받기 어렵다. 그는 지금 공판장 거래를 안 하고 전화 주문을 받아 수확물을 직거래로 팔고 있다. 김 대표는 "농사의 '농'자도 모르는 사람은 처음에 정부 지원 정책을 들으면 모든 걸 다 해줄 거라고 생각하기 십상"이라며 "그런데 수확을 끝낸 후 판로를 확보하지 못해 괴로워하는 경우를 종종 봤다"고 말했다.

그는 농업의 6차 산업화를 꿈꾼다. 김 대표는 "농업이 생산과 판매에서 끝나지 않고 체험과 관광 등으로 이어질 수 있게 6차 산업화를 하는 게 목표"라며 "그래야 사람들도 유입되고, 농촌도 발전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효석 기자]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