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물 셋에 세상 떠난 딸을 위해…아버지는 '마지막 선물'을 지었다

구은서 2023. 1. 12. 16:47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이 기사는 언론사에 의해 수정되어 본문과 댓글 내용이 다를 수 있습니다.

구은서의 책이 머무는 집
서대문구립 이진아기념도서관
유학중 교통사고로 죽은 딸
책을 좋아하던 그를 기리려
아비는 도서관을 지었다
친구와 단박에 가까워지는 방법은 그 친구의 집에 놀러가보는 거죠. 그의 취향대로 꾸며진 방과 손때 묻은 물건들, 친구를 닮은 가족을 만나 보면 친구의 말과 행동을 더 잘 이해하게 되잖아요. 새해 목표 중 하나로 ‘독서’를 적은 당신에게, 전국에 있는 책의 집을 격주로 소개합니다.
서울 현저동 이진아기념도서관 1층 로비에 새겨져 있는 이진아 씨 사진. /임대철 기자

스물셋 청년 이진아 씨. 서울 서대문구 사람들에게는 그녀의 이름이 꽤 친근합니다. 독립문공원 근처, 인왕산을 바라보고 서 있는 서대문구립 이진아기념도서관 덕분입니다. 커다란 이진아 씨의 사진이 방문자를 맞이하는 1층 로비가 유명하죠. 그녀는 20년 가까이 같은 모습으로 웃고 있습니다.

“아름다운, 하지만 만들어지지 않았으면 더 좋았을 도서관.” 신문기자이자 건축평론가인 구본준은 이진아기념도서관을 이렇게 설명했습니다. 2005년 개관한 이진아기념도서관은 세상을 떠난 딸 이진아 씨를 기리기 위해 이상철 현진어패럴 대표가 세운 곳입니다. 현진이라는 회사 이름은 큰딸 현아와 둘째 딸 진아에서 한 자씩 빌려 지었습니다.

‘딸바보’ 이 대표는 둘째 딸 진아 씨를 2003년 잃었습니다. 미국 유학 중 교통사고를 당했습니다. 슬픔에 잠겨 있던 이 대표는 몇 달 뒤 딸을 위한 도서관을 짓기로 합니다. 진아 씨가 유난히 책을 좋아했던 기억 때문입니다. 진아 씨 또래 이십대 청년들이 즐겨 찾는 공간이 도서관일 것이라는 생각도 했죠.

<구본준의 마음을 품은 집> 본문 속 이미지(ⓒ김종오), /서해문집 제공


그가 도서관 건립 비용으로 사재 50억원을 기부하겠다고 하자 당시 여러 구에서 건물터를 제공하겠다는 의사를 밝혔다고 합니다. 이 대표가 아무 연고도 없는 서대문구를 고른 건 공원 부지를 내어주기로 했기 때문입니다. 이진아기념도서관 관계자는 “명예관장님(이상철 대표)이 얼마 전에도 도서관을 찾아와 ‘공원 옆에 도서관이 있으니 사람들이 오가며 들러 참 좋다. 역시 여기로 정하길 잘했다’고 했다”고 전했습니다.

이 대표가 도서관을 지으며 내건 조건은 단 하나. 딸의 이름을 기리는 것이었습니다. 도서관에는 진아 씨를 한 번도 만나본 적 없지만 그를 기억하는 사람들로 가득합니다. 이 대표와 오랜 인연을 이어온 도서관 사서들은 그를 ‘명예관장님’ 또는 ‘진아 아버님’이라고 부릅니다. 어린이자료실을 함께 둘러볼 때는 아이들에게 ‘진아 언니’ 또는 ‘진아 누나’ 아버지라고 소개하기도 합니다.

이진아기념도서관 3, 4층에 자리 잡은 종합자료실. /임대철 기자


이진아기념도서관의 사연을 모르고 찾아온 사람들은 햇살 좋은 도서관으로 기억합니다. 나무 소재로 꾸민 벽면, 유난히 높은 층고, 건물 중앙을 시원하게 가로지르는 긴 계단과 천장 유리로 쏟아지는 햇빛…. 누가 보더라도 따뜻한 느낌의 건물입니다. 도서관 설계는 한형우 호서대 건축학과 교수의 작품으로, 공모를 거쳐 결정됐습니다. 3층에서 내부 계단을 통해 4층으로 이어지는 종합자료실은 도서관의 중심 공간입니다. 너른 창을 바라보며 앉을 수 있는 4층 바(bar) 형태 좌석은 평일 낮에도 빈자리를 찾아보기 힘들 정도로 인기가 많습니다.

이진아기념도서관의 가장 큰 특징은 오롯이 책 읽는 공간을 지향한다는 것입니다. 다른 도서관에서 흔히 찾아볼 수 있는, 칸막이 쳐진 열람실(자습실)은 없습니다. 자료실 곳곳에 마련된 좌석, 연중 이어지는 인문학 강의와 저자와의 만남 프로그램은 책 읽는 기쁨을 일깨웁니다.

그래서일까요. 이진아기념도서관은 작가들이 유난히 사랑하는 도서관이기도 합니다. 소설가 김연수는 단편소설 ‘주쌩뚜디피니를 듣던 터널의 밤’에 이진아기념도서관의 건립 일화를 담았습니다. 이 소설이 실린 <사월의 미, 칠월의 솔>뿐만 아니라 <구본준의 마음을 품은 집> <도서관 산책자> 등의 책에도 이진아기념도서관에 대한 이야기가 등장합니다.


책은 인간이 망각 또는 죽음과 싸우기 위해 찾아낸 발명품입니다. 영원히 살지 못하는 인간은 자신의 기억을 활자에 담아 지식과 감정을 후세에 전해왔습니다. 그런 의미에서 이진아기념도서관은 ‘기억의 집’입니다. 딸을 기억하기 위해 지은 이 도서관에는 인류의 역사와 숨결을 기록한 책이 17만5000권가량 채워져 있습니다.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이용객 수가 줄어든 와중에도 지난해 대출 권 수는 19만4000권으로 2020년보다 두 배 이상 늘었습니다. 도서관 측은 거동이 불편한 어르신, 장애인 등이 집에서도 원하는 책을 마음껏 읽을 수 있도록 전자책과 오디오북 대여 서비스도 늘릴 계획입니다.

이진아기념도서관은 이제 기록을 보관하는 곳을 넘어 생산하는 주체이기도 합니다. 지난해부터 ‘마을기록가’ 사업을 통해 서대문구에 대한 기억을 수집하고 있지요. 주민들이 서대문구에 관련된 기억을 들려주면 이 이야기를 글과 영상으로 남기는 거죠. 자료집도 발간했습니다. 이화여대 정문 근처에서만 60년 넘게 살아온 이신화 어르신 등의 인터뷰도 담았습니다.

“사람도 꽃처럼 다시 돌아오면은 얼마나 좋겠습니까.” 영화 ‘찬실이는 복도 많지’에서 딸을 잃은 할머니(윤여정 분)는 뒤늦게 한글을 배운 뒤 공책에 서툰 글씨로 이렇게 적습니다. 떠난 사람이 꽃처럼 다시 피어나지는 못하지만 그에 대한 기억은 영원한 향기로 남겠지요. 벚꽃 피는 봄날이 간절히 기다려지는 겨울입니다. 이진아기념도서관 1층 카페에서 따뜻한 차 한 잔으로 몸을 녹이고, 책 한 권으로 마음을 데워보는 건 어떨까요.

구은서 기자 koo@hankyung.com

해외투자 '한경 글로벌마켓'과 함께하세요
한국경제신문과 WSJ, 모바일한경으로 보세요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