샐러리캡이 만든 풍경 하나, “하필 ‘연봉 희생타’가 왜 내 몫인가”

안승호 기자 2023. 1. 12. 16:34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경향신문 DB



수도권 프로야구 A구단에서 그랬다. 지방 B구단에서도 비슷한 대화가 있었던 모양이다.

새 시즌 처음 적용되는 샐러리캡에 따라 연봉 인상폭의 한계선이 명확하다는 구단 관계자의 설명에 선수 또는 에이전트는 이성적으로는 이해를 하면서도, 감정적으로는 선뜻 받아들이지 못하는 장면이 여럿 나왔다고 한다.

올해 KBO리그 샐러리캡 규모는 114억2638만원. 샐러리캡에 여유가 있는 곳은 한화와 키움 등 몇몇 구단뿐이었다.

대부분 구단은 스토브리그 FA(자유계약선수) 계약 및 다년계약을 통해 샐러리캡의 상당 부분을 채워둔 채 연봉 계약을 시작했다. 각 구단은 지난해 이전에도 전체 선수 연봉 규모를 어느 정도 정해놓고 협상에 들어갔다는 점에서는 차이가 없지만, 그 어떤 해에도 올해처럼 운신의 폭이 좁았던 적은 없었다.

B구단 관계자는 “‘하필이면 왜 내가 희생을 해야하냐’는 서운함을 표하는 경우가 나온다. 샐러리캡 때문에 누군가 양보해야한다면, 그게 ‘왜 나여야 하느냐’는 식인데, 올겨울에는 본인이 손해 본다고 생각하는 경우가 더 많은 것 같다”고 말했다.

사실, 연봉협상에 막바지에 이르면 미계약 선수는 팀 내서 비슷한 성과를 낸 선수 또는 같은 경우의 다른 팀 선수를 비교 사례로 들며 구단 제시액 이상의 연봉 인상을 요구하기도 한다. 이번 겨울에도 그런 주장을 하는 선수가 없지 않았지만, 그게 합당하더라도 배려를 해줄 수 있는 구단이 적었다. 샐러리캡 압박 강도에 따라 구단별 사정이 달랐기 때문이다.

이를테면 신인급으로 10승 반열에 오르며 급성장세를 보인 투수라면 통념상 인상폭 또한 일반화되는 경향이 있었지만, 올해는 구단별 입장 차이는 달랐다. A구단 관계자는 “다른 선수 계약을 근거로 제시하는 경우가 종종 있는데, 그런 과정을 거쳐 조정하는 것도 쉽지 않았다”고 전했다.

악조건 속에서도 대부분 구단은 연봉 협상 마무리 단계로 접어들고 있다고 전했다. 일단 연봉조정신청은 한 건도 나오지 않았다.

다만 문제는 이번 시즌 같은 패턴의 연봉 협상이 이번 한번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는 점이다. 이번 겨울 대부분 구단은 샐러리캡 압박 속에서 팀의 간판급 선수를 잡는 데 우선 초점을 맞췄다. 일반 연봉 계약을 하는 선수들에 대한 세밀함이 아무래도 떨어질 수밖에 없없다. 올해 적용되는 샐러리캡은 향후 3년간 지속된다.

한편으론 연봉협상 또한 경기 중 찬스를 만나 적시타를 때리는 선수와 찬스를 만들기 위해 음지에서 희생타를 쳐야 하는 선수로 구분되는 것 같기도 하다. 최근 1~2년 사이 FA 중 A급 이상의 선수들은 공급보다 수요가 많은 시장 흐름에 따라 대부분 평년보다 더 나은 대우를 받았다. 그 여파가 공교롭게 다른 쪽에서 나타나고 있는 가운데 선수들 각각이 받는 대우 또한 ‘시기’의 영향을 점차 더 받는 분위기다.

안승호 기자 siwoo@kyunghyang.com

Copyright © 스포츠경향.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