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추문’ 고은 문단 복귀에... 최영미 “위선을 실천하는 문학”
최영미 시인이 최근 사과 없이 문단에 복귀한 고은 시인에 대해 입을 열었다.
최영미는 12일 오전 자신의 페이스북에 “위선을 실천하는 문학”이라는 내용의 짧은 글을 올렸다. 고은의 복귀 소식에 대한 심경을 밝힌 것으로 보인다. 책을 낸 출판사가 ‘실천문학사’다. 그는 기자와의 통화에서 “한 마디로 심경은 허망하다. 내 의견이 궁금하다면, 나중에 글을 쓸 수 있다”고 말한 바 있다.
최영미는 고은 시인의 성추행 의혹을 폭로한 당사자다. 그는 2017년 말 한 계간지에 ‘괴물’이라는 시를 발표했다. ‘En선생 옆에 앉지 말라고(중략)/ 젊은 여자만 보면 만지거든…' 등의 내용이 담긴 시다. 이후 한 일간지를 통해 고은이 1992~1994년 술집에서 바지 지퍼를 열고 다른 여성에게 신체 특정 부위를 만져 달라고 하는 등 부적절한 행위를 했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고은은 허위 사실로 자신의 명예를 훼손했다며 최영미 등을 상대로 손해배상 소송을 냈지만, 1심과 2심에서 패소한 뒤 상고를 포기했다.
고은 시인은 최근 시집 ‘무의 노래’(실천문학사)와 대담집 ‘고은과의 대화’를 내며 문단에 복귀했다. 그러나 책에는 성추행 의혹에 대한 의견이 언급돼 있지 않아 논란이다. 그는 시집의 서두에 “시집 ‘초혼’과 ‘어느날’이 나온 뒤로 5년이다. ... 거의 연중무휴로 시의 시간을 살았다”고 적었다. 캐나다 정치철학자 라민 자한베글루와의 대화를 엮은 대담집은 2020년 인도에서 먼저 출간된 것을 국내에 내놓은 것이다.
책을 낸 실천문학사에 대한 비판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실천문학 겨울호에는 고은 등의 시를 포함한 ‘김성동 작가 추모 특집’이 실렸으나, 편집주간인 구효서 소설가에게 알리지 않은 채 포함된 것으로 드러났다. 구효서는 “상의 한 마디 하지 않았다. 실천문학 겨울호를 받아본 다음에야 (특집이) 실린 것을 알았다”고 말했다.
Copyright © 조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권성동 “국회의원 국민소환제, 이재명의 정적 제거 수단”
- [속보] 조태용 “홍장원, 박지원 또는 박선원에게 7차례 인사 청탁”
- [속보] ‘50억 클럽’ 박영수 前특검, 1심 징역 7년·법정구속
- 野, 35조 추경안 공개…접겠다던 ‘전국민 25만원’ 이름 바꿔 넣었다
- 작년 서울시 일 평균 교통량 995만대…1위는 ‘올림픽대로’
- 권성동 “명태균 특검법, 野 25번째 특검법안… 민생 중요하다며 정쟁용 특검만 난사”
- 서울시, 올해 7~9급 공무원 1866명 채용…작년보다 264명 증가
- 복지부 “의료계와 어떠한 협의도 진행 안돼... 대화 나서달라”
- 北, 우리 돈 550억 들어간 금강산 이산가족면회소 일방 철거중…정부 “즉각 중단해야”
- 崔 대행, 부안 어선 화재 사고에 “인명 구조·실종자 수색 만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