잦은 가뭄·홍수에 댐 바닥 침전물까지…전세계 물 부족 경고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기후 변화로 전 세계에서 심각한 가뭄과 홍수가 동시에 늘고 있는 가운데 물을 관리하고 식수를 공급하는 댐의 저수 용량이 침전물 때문에 빠르게 줄어 세계적인 물 부족 사태가 우려된다고 유엔 연구기관이 경고했다.
유엔의 물 관련 싱크탱크 구실을 하는 '유엔대학 물·환경·보건 연구소'(UNU-INWEH)는 11일(현지시각) 전세계 150개 나라의 대규모 댐 약 5만개를 분석한 결과, 침전물 증가로 저수 용량이 애초 건설 당시보다 13~19% 정도 줄어든 것으로 분석했다고 <아에프페> (AFP) 통신 등이 보도했다. 아에프페>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인도·중국·인도네시아·프랑스·캐나다 1년 물 사용량 규모
침전물 증가가 주요 요인…“심각한 문제로 대응해야”
기후 변화로 전 세계에서 심각한 가뭄과 홍수가 동시에 늘고 있는 가운데 물을 관리하고 식수를 공급하는 댐의 저수 용량이 침전물 때문에 빠르게 줄어 세계적인 물 부족 사태가 우려된다고 유엔 연구기관이 경고했다. 전 세계에서 2050년까지 줄어들 저수 용량은 현재 인도·중국·인도네시아·프랑스·캐나다가 한해 사용하는 전체 물 규모에 달할 전망이다.
유엔의 물 관련 싱크탱크 구실을 하는 ‘유엔대학 물·환경·보건 연구소’(UNU-INWEH)는 11일(현지시각) 전세계 150개 나라의 대규모 댐 약 5만개를 분석한 결과, 침전물 증가로 저수 용량이 애초 건설 당시보다 13~19% 정도 줄어든 것으로 분석했다고 <아에프페>(AFP) 통신 등이 보도했다.
연구소는 학술지 <서스테이너빌리티(지속가능성)>를 통해 발표한 연구 보고서에서 현재의 추세대로 침전물이 계속 쌓인다면, 2050년까지 전 세계 댐들의 저수 용량은 23~28%까지 줄어들 것으로 내다봤다. 이 때까지 줄어드는 저수 용량은 1조6500억㎥ 정도이며 이는 인도, 중국, 인도네시아, 프랑스, 캐나다 등 5개국의 한해 물 사용량에 맞먹는 규모라고 보고서는 지적했다.
연구팀은 전세계 6만개의 거대 댐들 가운데 건설 연도와 설계 용량이 정확하게 확인된 4만7403곳을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했다. 분석 대상 댐 가운데 2만8045개는 아시아·태평양 지역에 있는 것들이었으며, 1만358개는 미주 대륙에 있는 댐들이다.
보고서는 댐의 저수 용량이 가장 많이 줄어들 나라로 영국, 파나마, 아일랜드, 일본, 세이셜 등 5개 나라를 꼽았다. 5개 나라의 댐 저수 용량은 2050년까지 설계 용량보다 35~50% 줄어들 것으로 분석됐다. 저수 용량 감소가 가장 적을 것으로 예상된 나라들은 부탄, 캄보디아, 에티오피아, 기니, 니제르 등 아시아·아프리카 나라들이었다. 5개국의 저수 용량 감소 규모는 15% 미만으로 분석됐다.
전세계의 주요 댐들은 대부분 1930년대부터 1970년대에 건설됐으며, 설계 수명은 50~100년 정도다. 거대 댐들은 홍수 때 물을 저장함으로써 수해를 완화하는 한편 식수 등 물을 안정적으로 공급하는 구실도 하는데, 저수 용량이 줄면 물 관리·공급에 심각한 위기를 초래할 수 있다.
보고서의 공동 저자인 두민다 페레라 박사는 “전세계 모든 나라, 모든 지역에서 댐의 저수 용량이 줄고 있다”며 “이는 농업용수 공급, 수력 발전, 식수 공급 등을 포함한 경제의 여러 측면에 큰 도전을 제기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새로 건설되고 있거나 건설 예정인 댐만으로는 침전물 증가에 따른 물 부족을 해결하지 못할 것”이라며 “이번 연구 결과는 서서히 커지고 있는 세계적인 물 문제에 경종을 울리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보고서의 공동 저자이자 이 연구소 소장인 블라디미르 스마흐틴 박사는 “전세계적인 저수 문제는 심각하게 받아들여야 할 일”이라며 침전물의 증가가 하천 상류 지역에서는 홍수 위험을 높이면서 야생 생물들의 서식지를 위협하고 하류 지역 주민들에게도 충격을 가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그는 홍수와 가뭄을 더 자주 유발하는 온난화는 물 부족 사태를 더욱 복잡하게 만들 것이라고 말했다.
보고서는 침전물이 많이 늘어나는 홍수철에 대비한 우회 수로 설치를 주요 대응책으로 권고했다. 또 댐의 높이를 높여서 저수 용량을 늘리거나 댐을 철거해 하천의 자연적인 흐름을 회복하는 방안도 생각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페레라 박사는 “이번 연구 결과는 각 지역 당국이 지역별 특성 등을 고려해서 해석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신기섭 선임기자 marishin@hani.co.kr
Copyright © 한겨레신문사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나경원을 어찌할꼬…대통령실 “사의 표명이지 사표 낸거 아냐”
- 피나고 진물나게 일해도 월 160만원…“노동권이요? 개뿔”
- 시름하는 중국, 활짝 웃는 베트남…애플·레고·코카콜라 몰려온다
- ‘남풍이 건듯 부러’…한낮 제주 20도·서울 12도·강릉 17도
- 기술직 꿈 안고 취업, 무너진 기대…68% “그만두고 싶다”
- 윤 대통령 일 군사대국화 합리화에…“일본 총리나 할 얘기” 비판
- [단독] 도넛 끊은 던킨…대금 허덕대는 가맹점에 “대못” 박았다
- “4% 초반” 대 “5% 후반”…중국 올 성장률, 코로나에 물어봐
- 이태원 가기 4일 전 “살 만해, 만족해” 30살 마지막 일기
- 몸 낮춘 나경원 “윤석열 정부 성공해야”…대통령실 반감 좁히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