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려동물 죽으면 땅에 묻는다?···반려인 절반 "불법인줄 몰라"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죽은 반려동물의 사체를 매장하는 것이 불법이라는 사실을 모르는 반려인이 10명 중 4명 이상이라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실제로 반려동물의 사체를 '주거지나 야산에 매장 또는 투기'한 반려인은 41.3%에 달했다.
조사 결과 소비자들은 반려동물 사체를 매장 또는 투기하는 행위가 불법이라는 사실에 대해서 45.2%가 몰랐다고 답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죽은 반려동물의 사체를 매장하는 것이 불법이라는 사실을 모르는 반려인이 10명 중 4명 이상이라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실제로 반려동물의 사체를 '주거지나 야산에 매장 또는 투기'한 반려인은 41.3%에 달했다.
한국소비자원은 최근 5년 이내에 기르던 반려동물의 죽음을 경험한 소비자 100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11일 밝혔다. 현행법에 따르면 동물 사체는 쓰레기종량제 봉투에 넣어 배출하거나 동물 병원에 처리를 위탁, 혹은 동물 전용 장묘시설을 이용해야 한다.
조사 결과 소비자들은 반려동물 사체를 매장 또는 투기하는 행위가 불법이라는 사실에 대해서 45.2%가 몰랐다고 답했다. 동물보호법에 따르면 반려동물이 죽으면 30일 이내에 등록 말소 신고를 해야 하지만 이를 하지 않은 소비자도 59.1%였다. 그 이유로는 ‘말소 신고를 해야 하는지 몰라서(53%)’가 가장 많았다. 또 동물 등록을 하지 않아서(34.7%)라는 응답도 있었다.
반려동물 장묘시설을 이용한 소비자는 30%로 나타났다. 다만 소비자원이 농림축산식품부의 동물보호 관리시스템에 등록된 동물장묘업체 62개소의 홈페이지를 조사한 결과 등록증을 게시하지 않은 업체가 32개소에 달했다. 이들 업체는 또 대부분 대형동물의 장묘 비용에 대한 정보 제공이 미흡했고 장례용품 비용 정보도 충분히 제공하지 않고 있었다.
동물 사체 처리 과정에서 피해를 봤다는 소비자도 23.3%로 집계됐다. 피해 유형은 ‘동물 장묘업체의 과다한 비용 청구(40.3%)’와 ‘불성실한 장례 진행(39.1%)’ 등이 많았다.
장묘시설을 이용해본 응답자(300명) 중 절반 이상은 ‘포털사이트 검색(54.7%)’을 통해 업체를 찾았다. 지불한 장묘 비용은 ‘20만원 초과 50만원 이하(44.3%)’가 주를 이뤘다.
소비자원은 이번 조사를 바탕으로 동물장묘업체에 등록증 게시와 정보 제공 강화를 권고할 예정이다. 아울러 소비자들에게는 키우던 반려동물이 죽으면 30일 이내에 동물보호 관리시스템에 말소 신고를 하고 합법적 방법으로 사체를 처리해달라고 당부했다.
한편 KB금융지주 경영연구가 발표한 ‘2021 한국 반려동물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반려동물 양육 인구수는 약 1500만 명에 이른다. 국내 4가구 가운데 1가구는 반려동물과 함께 사는 셈이다.
박동휘 기자 slypdh@sedaily.comCopyright © 서울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내연녀 부모 집에 현수막 건다는 아내와 이혼하고 싶습니다'
- 18세 한국계 격투기 女 신동 돌연 사망…'너무 빨리 떠났다'
- '2억 화소'에 전력효율 40%↑… 갤S23, 2월1일 첫 선
- '늑대가 되고 싶다'…3000만원에 꿈 이룬 日남성
- 한반도로 추락한다던 美위성, 여기에 떨어졌다…파편 만지면?
- '부끄럼 금물'…바지 벗고 지하철 탄 사람들 대체 왜?
- 붕어빵 노점 안보이더니…이곳서 20만개 팔렸다
- 찾으면 227억…75년만에 공개된 나치 보물지도, 위치는
- '슬램덩크 보면 개·돼지다'…'노재팬' 논쟁 또 불붙었다
- '그냥 사세요'…임대아파트 부실 조롱에 원희룡 분노 폭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