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나이가 어때서… 무대 설렘은 청춘인데

류재민 2023. 1. 12. 05:03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머리는 희끗희끗했고, 귀는 잘 안 들린다면서도 연극연출가 김우옥의 목소리는 쩌렁쩌렁했고, 표정과 말투에는 설렘이 가득했다.

지난 9일 서울 중구 정동극장 세실에서 열린 '제7회 늘푸른연극제' 기자간담회에 참석한 이들 모두 비슷한 떨림을 느끼고 있었다.

이번 늘푸른연극제는 '새로움을 말하다'를 부제로 총 4개 작품을 준비했다.

1982년 김우옥이 초연해 국내 연극계에 신선한 충격을 안겨 준 작품이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MZ 관객도 열광했다… 원로들의 ‘늘푸른연극제’ 개막
제7회 늘푸른연극제에 참석한 원로 연극인들이 9일 서울 중구 정동극장 세실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함께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늘푸른연극제 제공

“올해 우리 나이로 90이 됐는데 이번 늘푸른연극제는 젊음을 새로 가져다준 아주 좋은 기회였습니다. 무척 감사하게 생각해요.”(김우옥 연출)

머리는 희끗희끗했고, 귀는 잘 안 들린다면서도 연극연출가 김우옥의 목소리는 쩌렁쩌렁했고, 표정과 말투에는 설렘이 가득했다. 김우옥만이 아니다. 배우 박승태(76)는 “연극을 처음 시작하는 마음으로 끝을 장식하고 싶다. 많이 와 달라”고 했고, 연기자이자 운영위원인 박웅(83)도 “나이 들면 외로워지고 기회도 없는데 원로연극제가 좋은 기획이 아니었나 싶다”고 힘주어 말했다. 지난 9일 서울 중구 정동극장 세실에서 열린 ‘제7회 늘푸른연극제’ 기자간담회에 참석한 이들 모두 비슷한 떨림을 느끼고 있었다.

이번 늘푸른연극제는 ‘새로움을 말하다’를 부제로 총 4개 작품을 준비했다. 김우옥이 연출한 ‘겹괴기담’이 지난해 10월 가장 먼저 선보였고, ‘겨울 배롱나무꽃 피는 날’(오는 13일), ‘영월행 일기’(28일), ‘꽃을 받아줘’(2월 8일)가 연달아 개막한다.

1978년 미국 뉴욕에서 초연된 ‘겹괴기담’은 현대 구조주의 연극 거장 마이클 커비의 실험극으로 같은 무대에서 교차하는 두 가지 이야기를 담아낸다. 1982년 김우옥이 초연해 국내 연극계에 신선한 충격을 안겨 준 작품이다. 2000년 재연 이후 다시 그가 연출을 맡은 ‘겹괴기담’은 지난해 한국연극평론가협회의 ‘올해의 연극 베스트3’에 선정되는 등 평단의 찬사를 받았다.

무엇보다 영상을 활용해 젊은이들에게 통한 것이 큰 성과였다. 김우옥은 “젊은이들이 열광해서 깜짝 놀랐다”면서 “시대가 바뀌어서 젊은이들이 어려운 작품도 쉽게 받아들일 수 있는 방법이 있다는 걸 보여 줬다”고 평가했다.

‘겨울 배롱나무꽃 피는 날’은 단편소설 ‘문턱’이 원작으로 죽음의 문턱에서 배롱나무꽃으로 환생하듯 피어나는 희망의 메시지를 담았다. 박승태는 “언제 늘푸른연극제에 선정될까 기다렸는데 이번에 얼마나 행복하게 작업했는지 모른다”며 웃었다.

한국 연극사의 기념비를 세워 온 극작가 이강백(76)의 작품 ‘영월행 일기’는 고문서 검증을 위해 모인 고서적 연구회 회원들과 500년 전 영월에 유배 갔던 단종의 이야기로 현재와 과거를 넘나드는 실험적 기법이 돋보인다. 제19회 서울연극제 희곡상, 제4회 대산문학상 희곡상을 받았다.

‘꽃을 받아줘’는 원로배우 정현(78)이 연출하고 출연하는 그의 대표작으로 요양원에서 펼쳐지는 노년의 사랑을 그렸다. 정현은 “늘푸른연극제에 누가 되지 않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각오를 다졌다.

류재민 기자

▶ 밀리터리 인사이드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Copyright © 서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