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지역 대학 위기 단적인 증거…정시 지원 0명 학과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올해 대입 정시모집에서 부산지역 특정 대학 2개 학과에 원서를 낸 지원자가 없었다.
지방대 위기가 어제 오늘 일이 아니나 지원자가 단 한 명도 없는 학과가 나온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국제신문이 취재한 결과, A대학의 국제계열 학과가 정시 정원 6명을 모집했으나 아무도 지원하지 않았다.
부산연구원이 어제 우동기 국가균형발전위원장을 초청한 30주년 기념 행사에 지역 대학 총장 16명이 참석한 것은 이런 위기감을 반영한 것이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올해 대입 정시모집에서 부산지역 특정 대학 2개 학과에 원서를 낸 지원자가 없었다. 지방대 위기가 어제 오늘 일이 아니나 지원자가 단 한 명도 없는 학과가 나온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국제신문이 취재한 결과, A대학의 국제계열 학과가 정시 정원 6명을 모집했으나 아무도 지원하지 않았다. 12명 모집 예정이던 공학계열 학과에도 지원자가 없었다. 지원자가 1명에 불과한 학과도 3곳이었다. 지역 대학들은 이번 사태에 충격을 받았다고 한다. 남 일 같지 않기 때문이다. 공과계열 학과 경쟁률이 1대1에도 미치지 못하거나 올해 정시경쟁률을 비공개로 부칠 정도로 등록 상황이 좋지 않은 대학도 있다. 한 대학은 사실상 미달로 볼 수 있는 경쟁률 3대1 미만의 학과가 총 16곳에 달했다.
이는 부산만의 문제가 아니다. 한 입시학원이 분석한 자료를 보면, 전국 208개 일반대 중 14개 대학의 26개 학과에 아무도 지원하지 않았다. 모두 비수도권 대학 학과다. 지방대 미달 사태는 예견된 일이다. 학령인구가 줄면서 수능 응시생이 감소하고, 수도권 대학으로의 학생 쏠림 현상이 심화하고 있기 때문이다. 학령인구 절벽이 본격화하면 향후 몇 년 안에 지방대 상당수가 폐교 수순을 밟을 것이라며 걱정이 태산이다.
부산연구원이 어제 우동기 국가균형발전위원장을 초청한 30주년 기념 행사에 지역 대학 총장 16명이 참석한 것은 이런 위기감을 반영한 것이다. 우 위원장은 지방대를 살릴 방안으로 지자체를 중심으로 대학, 교육청, 지역산업계가 참여하는 지역고등교육협의회 설치를 강조했다. 지역인재 양성, 취·창업, 지역 정주의 지역발전 생태계가 구축돼야 한다는 뜻이다. 앞서 윤석열 대통령은 교육 1호 공약으로 지방대 살리기를 제시했고 지난 1일 지방대의 균형발전 역할을 강조했다. 윤 대통령은 고등교육에 대한 권한을 지역에 과감히 넘겨 지역 산업과 연계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이를 통해 지자체와 지역대학이 경쟁력 있는 사업을 추진하고 학과 신설·정원 조정에 대한 규제도 과감히 없애겠다는 취지다. 정부가 연일 내놓고 있는 지방대 살리기 정책이 얼마나 실효성이 있을지 불투명하다. 지자체가 지방대 재정 지원 권한을 수행할 역량을 갖췄는지, 어떤 기준으로 대학을 선별해 지원할지 불분명하기 때문이다. 수도권 대학 쏠림 현상이라는 근본문제를 해결하지 않은 채 지자체에 권한만 부여한다고 지방대 위기가 해결되기 어렵다는 지적도 나온다. 반도체 인력 양성을 위해 수도권 대학의 정원 규제 완화를 추진하는 정부를 봐도 실망스럽다.
지역 대학 스스로도 뼈를 깎는 구조조정을 해야 한다. 취업률과 지역 기여도를 높이는 등 경쟁력을 키워야 하겠다. 지역 대학의 위기는 지역 소멸을 가속화해 지역균형발전에도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 정부가 지방대 지원을 위한 구체적이고 현실적인 방안을 수립해 실천해야 하는 이유다.
Copyright © 국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