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성과 성찰이 없으면 퇴행이 온다 [아침을 열며]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새해를 맞았다.
1년이 채 안 되는 동안 대통령과 여당과 법을 다루는 분들이 보인 모습을 보며 걱정되는 마음이 생겨 그걸 좀 이야기해보려고 한다.
국정운영의 일차적 책임은 대통령과 여당에 있기에 범여권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를 정치적 편향으로 오해하지 말기 바란다.
무엇보다 이러한 걱정은 대통령이나 측근들에게서 반성이나 성찰의 모습이 좀처럼 보이지 않기에 더 증폭되고, 어지러운 국제정세와 어려운 경제 상황 속에서 새해를 맞는 국민을 더 두렵게 한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새해를 맞았다. 1년이 채 안 되는 동안 대통령과 여당과 법을 다루는 분들이 보인 모습을 보며 걱정되는 마음이 생겨 그걸 좀 이야기해보려고 한다. 국정운영의 일차적 책임은 대통령과 여당에 있기에 범여권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를 정치적 편향으로 오해하지 말기 바란다.
우선 대통령의 그릇이 더 넉넉하게 커졌으면 한다. 민주주의 시대가 아닌 왕정의 시대를 보더라도 성군의 자질은 과거의 적이나 자기에게 반대하는 사람을 대하는 모습에서 발견할 수 있다. 한국인이라면 누구나 인정하는 조선의 성군 세종은 홀로 정국을 이끌어 가지 않았다. 세종의 위대함은 자신과 의견이 다른 신하를 기용하고 그들과 의견을 나누면서 국정을 운영한 데 있다. 명정승으로 알려진 황희에 대해서도 실록에서는 세종이 제정한 많은 제도에 대해 "홀로 반박하는 의논을 올렸으니, 비록 다 따르지 않았으나, 중지시켜 막은 바가 많았으므로 옛날 대신의 기풍이 있었다"고 기록하고 있다. 중국 역사상 가장 번영했던 시대 가운데 하나를 이끈 당 태종도 과거의 정적이라고 할 수 있는 위징을 참모로 기용했을 뿐 아니라 그의 쓴소리를 잘 수용하면서 국정을 운영했다. 물론 지금이 왕정 시대는 아니지만, 왕정 시대 사례까지 찾아보게 되는 이유는 형식적인 민주주의제도가 갖추어진 21세기라도 왕정 시대보다 다양한 논의가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는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성군 밑에 역사에 이름을 남긴 훌륭한 인재들이 넘쳤던 이유는 그들이 자유롭게 의견을 개진할 수 있었기 때문이며, 그런 자유를 허용하는 것이 지도자의 도량과 품격이다.
대통령의 언론관도 근본적으로 바뀌기를 바란다. 대통령이라는 자리는 온 국민의 관심과 시선이 집중될 수밖에 없고 억울한 비판을 들을 수도 있는 자리다. 지난 대선이 과거 어떤 선거보다도 표 차이가 적었던 점이나 한때 20%대로 떨어졌던 국정 지지율에 비추어 보더라도 대통령을 미더워하지 않는 국민이 적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 적절하고 합리적인 해명으로 해결할 수 있는 일을 고소 고발로 처리하려는 모습은 아무리 좋게 표현해도 나라를 대표하는 분에게 국민이 기대하는 도량과는 거리가 멀다.
여당에는 신뢰를 줄 수 있는 품격을 갖춘 정당이 될 것을 주문하고 싶다. 그러기 위해서는 최소한 비정상적인 세력들, 예컨대 거짓과 과장을 바탕으로 혐오를 전파하는 자들과 그들의 반지성적인 추종자들하고는 뚜렷이 선 긋기를 바란다. 한 나라의 정국을 책임지는 여당이 그런 세력에 기대고 그런 세력과 연대하려고 한다면 그 정당의 미래도 이 나라의 미래도, 암담해질 수밖에 없다.
법치의 개념도 흔들리고 있다. 법을 집행하고 법을 해석하는 사람들이 "적에게는 최대한 엄격하게, 내 식구한테는 법을 비틀어서라도 최대한 관대하게", 그러니까 제 맘대로 법을 적용하는 시스템은 법치라고 할 수 없다. 법치가 법조인의 다스림(治)은 아니다. 법조인의 치는 아무리 좋게 표현해도 변칙 법치라고 할 수밖에 없으며, 변칙 법치로는 국민 사이에서 깊어 가는 갈등을 극복할 수 없다. 정의와 상식을 지키는 법치가 되기를 바란다. 이는 대통령에 대한 호불호의 문제도, 정파와 정쟁의 문제도 아니다.
무엇보다 이러한 걱정은 대통령이나 측근들에게서 반성이나 성찰의 모습이 좀처럼 보이지 않기에 더 증폭되고, 어지러운 국제정세와 어려운 경제 상황 속에서 새해를 맞는 국민을 더 두렵게 한다. 권력을 가진 분들이 지난해의 경험에서 반성과 성찰의 재료를 되도록 많이 찾아내셨으면 한다. 반성과 성찰이 없으면 퇴행이 찾아오며 정치와 경제의 위기 속에서는 퇴행의 속도가 더 빨라질 수 있다.
김진영 건국대 경제학과 교수
Copyright © 한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달라진 행보… 김건희 여사, 홀로 보수 '텃밭' 대구 방문
- 이경규 "딸이 이혼남과 결혼? 개의치 않아" ('호적메이트')
- "친구들이 팔 지지고 상처 뜯어내"...'청주 고데기 사건' 재조명
- 조우종 "KBS 아나운서 시절, 정다은과 5년 비밀 연애"
- 재산·보험금 노리고… 남편에 니코틴 3차례 먹여 살해
- 이재명, 檢 조사 다음 날 "尹정부가 포기한 민생 위기 극복에 전념"
- '불법 선거운동' 주진우 무죄, 김어준은 벌금 30만원
- "과일 · 채소 ·통곡류 등 칼륨 섭취 많으면 심혈관 질환 사망률 21~32% 낮춰"
- 대출금리 연 8% 찍는데 예금금리는 벌써 3%대 '뚝'… 왜?
- 알프스에 눈 없어서 스키 못 타고 일광욕... 불길한 유럽의 겨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