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방위 규제완화에도 서울 아파트 매물 ↑…매도·매수 '눈치싸움' 치열

이동희 기자 2023. 1. 11. 06:00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서울 매물 5만여건, 1·3대책 이후 1.2% ↑…'수혜지' 노원·도봉도 늘어
4%대 금리 '특례보금자리론' 관심…"이자 부담에 수요 증가 한계·관망 지속"
서울 중구 남산에서 바라본 도심의 아파트 단지. 2023.1.5/뉴스1 ⓒ News1 이승배 기자

(서울=뉴스1) 이동희 기자 = 윤석열 정부의 전방위적인 부동산 규제 완화 발표 이후 '눈치 보기' 장세다. 매수 심리가 소폭 살아나면서도 시중에 나온 매물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부동산업계는 대규모 규제 완화가 고금리 악재를 이겨내지 못하고 있다며 금리 변곡점 전까지 매도자와 매수자 간 줄다리기는 계속될 것으로 전망했다.

◇1·3대책 발표 일주일, 서울 아파트 매물 소폭 증가…노원·도봉도 ↑

11일 부동산 빅데이터 업체 아실에 따르면 10일 기준 서울 아파트 매물 건수는 5만379건으로 집계됐다. 부동산 규제지역 해제와 시장 규제 완화를 발표한 지난 3일 4만9774건과 비교하면 605건(1.2%) 소폭 늘어난 수준이다.

앞서 정부는 1·3 부동산 규제 완화 대책을 발표하면서 서울 강남3구(강남·서초·송파구)와 용산구를 제외한 모든 곳을 규제지역에서 해제했다. 또 수도권 전매제한 기간을 최대 10년에서 3년으로 완화하는 등 분양시장 규제를 대거 풀었다.

정부의 전방위적인 규제 완화에 집주인들은 매물을 거둬들이고, 집값 하락세가 둔화할 것이라는 관측이 제기됐다. 결과적으로 일주일이 흐른 현재 '반은 맞고 반은 틀린' 모습이다.

먼저 규제 완화 수혜 지역으로 꼽힌 노·도·강(노원·도봉·강북구) 지역은 오히려 매물이 소폭 증가했다. 노·도·강은 규제지역 해제에 재건축 안전진단 수혜로 집주인의 매물 회수가 가시화할 것으로 기대됐다.

노원구는 지난 3일 3639건에서 10일 3675건으로 36건(0.9%) 늘었다. 같은 기간 도봉구도 1618건에서 1627건으로 0.5%(9건) 증가했다.

지역별로 광진구(-1.7%), 강북구(-1.4%), 동작구(-1.2%), 성동구(-1%) 등이 상대적으로 매물 감소폭이 컸다. 서초구(4.3%)를 비롯해 금천구(3.7%), 양천구(3.4%), 중랑구(3.1%), 용산구(3%) 등은 매물이 증가했다.

다만 지역 공인중개업소는 매물 건수 변화와 관계없이 분위기는 조금 달라졌다고 전했다. 전반적으로 매수 관심을 보이는 이들이 늘었고, 매도 호가 하락세가 멈추거나 일부 집주인은 호가를 높인다고 설명했다. 실제 서울 아파트 매수 심리(매매수급지수)는 약 8개월 만에 반등했다.

노원구 월계동 A 공인중개업소 대표는 "(규제 완화 발표 전에는) 연말 비수기에 시장 상황도 암울해 (매수 희망자에게) 전화를 먼저 거는 일이 잦았다"면서도 "발표 후에는 관심 단지 호가의 추가 하락 여부를 문의하는 전화가 늘었다"고 말했다.

마포구 B 공인중개업소 관계자는 "매수 대기자 중에 '특례보금자리론'을 기다리는 이들이 꽤 있다"며 "해당 상품 출시 이후 거래 여부가 단기적으로 시장 방향에 영향을 줄 것"이라고 내다봤다.

서울 성북구의 한 부동산중개업소 2023.1.5/뉴스1 ⓒ News1 이동해 기자

◇4%대 금리 '특례보금자리론' 출시 소식에 관심…"금리 변곡점 전까지 관망세 계속"

정부는 이달 중으로 연 4%대 금리의 특례보금자리론을 출시할 계획이다. 주택 실수요자를 위한 정책 상품으로 시중 금리보다 낮으며 무엇보다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규제 적용을 받지 않아 실수요자의 관심이 높다.

부동산업계는 정부의 전방위적인 규제 완화 발표와 실수요 정책 상품 특례보금자리론으로도 당장 시장 방향을 돌리기는 한계가 있다고 전망했다. 집값 상승 기대가 낮은 상황에서 특례보금자리론을 출시해도 매달 높은 막대한 이자 비용을 지불하면서까지 집을 사는 수요가 많지 않을 것이라고 본 것이다. 특례보금자리론의 최대 대출한도는 5억원으로 연 4%를 적용하면 매월 이자만 약 160만원이다.

윤지해 부동산R114 수석연구원은 "규제지역 해제와 특례보금자리론 도입, 거래세 중과 완화 조치 등이 맞물려 매수 심리가 개선될 것"이라면서도 "시장 내 해소하지 못한 급매물이 상당수 누적된 상황과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상이 이어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정부 정책의 온기가 소득과 자산 등에 한계가 있는 무주택 실수요층에 전달되기까지 다소 시일이 필요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yagoojoa@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