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낯 뜨거운 국립현대미술관 감사결과, 멀고 먼 문화강국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낯이 화끈거린다.
문화체육관광부가 9일 발표한 국립현대미술관 특정감사 결과 때문이다.
그런데도 한국을 문화강국으로 보는 건 어색하다.
날개 단 듯 나는 건 대중문화 분야뿐이기 때문이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낯이 화끈거린다. 문화체육관광부가 9일 발표한 국립현대미술관 특정감사 결과 때문이다. 주먹구구식 편의주의, 황당한 실수까지 한국 현대미술을 대표하는 기관에서 벌어진 일이 맞는지 의심스러울 정도다. 국민소득 3만5000달러 시대 한국 미술의 낮 뜨거운 현주소다.
미술관은 작품 구입의 제안 범위에서 외부 전문가를 대폭 줄이고 내부 권한만 키웠다. 그리고는 전문가 의견을 무시한 채 작품 가격을 자의적으로 수백, 수천만원씩 올리거나 내렸다. 작품 수집 여부를 결정하는 심의위원회나 값을 매기는 가격자문위원회가 객관적 기준도, 운영의 독립성도 의심받는 실정이니 당연한 결과다. 최근 2년간 3000만원 이상 고가 미술품 구매 21건 중 20건이 수의계약으로 이뤄진 것도 이 때문이다. 경매 구입도 마찬가지다. 소수 학예직 직원만 정보를 독점한 채 이뤄졌다. 심지어 작품에 대한 응찰보고서도 없이 낙찰시킨 경우도 16건이나 된다.
사들인 작품을 관리하고 전시하는 과정에서도 허점투성이다. 비디오아트의 세계적 거장 백남준의 ‘다다익선’은 작품 모니터가 고장 난 채 전시됐고 이중섭의 작품 중에는 거꾸로 걸려 관람객을 맞은 것도 있다. 국고 납입해야 할 미술관 내 편의시설 위탁 운영 정산이익 3200만원을 직원 격려금으로 나눠주기도 했다. 지난해 8월 발생한 미술관 유튜브 채널 해킹 사건이나 직원의 외모를 비하한 간부의 갑질 사건을 상급기관인 문체부에 보고도 하지 않았다.
지금 K-컬처는 글로벌한 인기몰이 중이다. K-팝 스타들의 빌보드 차트 진입은 이제 놀랄 일도 아니다. 영화는 아카데미상의 벽을 허물었고, 드라마는 에미상 무대를 접수했다. K-콘텐츠가 10대 주력 수출품목에 올라설 날도 머지않았다. 그런데도 한국을 문화강국으로 보는 건 어색하다. 날개 단 듯 나는 건 대중문화 분야뿐이기 때문이다. 순수예술은 걷지도 못하고 바닥을 기는 수준이다. 미술은 특히 더하다.
순수미술의 비상은 좋은 전시를 자주 여는 게 관건이다. 혜안을 갖춘 이들이 뛰어난 작품을 발굴하는 게 전제임은 물론이다. 그래야 시네마 키즈처럼 아트 키즈도 나타난다. 그 역할의 대표 선수가 국립현대미술관이다. 시정 1건, 경고 2건, 주의 6건, 통보 6건, 현지조치 1건 등 16건에 달하는 국립현대미술관 감사 지적 사항들은 사안의 크고 작음, 비리금액의 많고 적음의 문제가 아니다. 한국 순수미술의 권위와 미래가 고장 난 단초로 받아들여야 한다. 작은 일이라도 근본부터 따지고 철저하게 시정해야 하는 이유다. 미술도 1조원 넘는 시장을 가진 한국 문화의 한 축 아닌가.
Copyright © 헤럴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이유만 모델하란 법 있나” 400대1 경쟁률 만들어낸 우리은행
- “여자 셋, 술잔만 들면 대박” 넷플릭스 천하 또 흔들었다
- “55만원에 이걸 누가 사?” 삼성 잡겠다고 만든 ‘뚜껑시계’ 정체
- 1조 장착 카카오…버티던 ‘제왕’ 이수만에 거액 베팅, SM 결국 인수하나
- [영상] 골목길 ‘빵!’ 소리에 쓰러진 보행기 할머니…“운전자 과실 있나요”
- [르포] “1020대 소비자 공략”…메타버스 밖으로 나온 ‘신라면 분식점’
- ‘결혼지옥’ 3주만에 방송 재개…오은영 직접 언급은 없었다
- 이재명 檢출석에 2000여명 찬반 맞불집회…경찰 “불법 엄단”
- “이 학생, 그렇게 무서웠나?” 전세계 1등 된 ‘고딩좀비’ 게임 등장 ‘임박’
- “7만→12만원, 말이 돼?” 아이폰 배터리 교체 단숨에 5만원 오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