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로의 아침] 작심삼일과 꺾이는 마음/유용하 문화체육부 차장

유용하 2023. 1. 10. 05:04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계묘년도 벌써 열흘이 지났다.

얼마 전 소싯적 친구들과 때늦은 새해 인사를 나눴다.

1월 1일 새해 벽두에 세운 계획을 흔들림 없이 잘 지켜 12월 31일 밤 뿌듯한 마음으로 잠자리에 드는 사람은 지금까지 본 적이 거의 없다.

외국어를 배운다든지, 다이어트를 한다든지, 담배를 끊는다든지 새해에 새로운 마음을 갖는 것은 중요하지만 그런 계획을 제대로 지키지 못했다고 해서 꺾이지 않는 마음까지 들먹일 필요는 없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유용하 문화체육부 차장

계묘년도 벌써 열흘이 지났다.

얼마 전 소싯적 친구들과 때늦은 새해 인사를 나눴다. 올해 계획을 물었더니 나이 50에 지키지도 못할 신년 계획 따위는 더이상 세우지 않는다는 자조 섞인 답이 많았다. 그럼에도 계획을 세웠던 친구들이 있었다. 물론 예상대로 다들 패배감에 빠져 있었다. 한 친구가 “우리 중엔 ‘중꺾마’를 가진 사람이 없는 것 같다”고 말해 모두 한바탕 웃었다.

지난 2022 카타르월드컵에서 태극전사들이 강호 포르투갈을 꺾고 16강 진출을 확정 지은 뒤 ‘중요한 것은 꺾이지 않는 마음’(중꺾마)이라고 적힌 태극기를 들고 환호하는 모습이 카메라에 잡히면서 중꺾마는 어떤 경우에도 포기하지 않는 불굴의 의지를 나타내는 말로 쓰이고 있다.

승리를 위해 누군가와 경쟁해야 하는 상황이라면 꺾이지 않는 강한 투지가 필요하다. 그렇지만 신년 계획 지키는 것에까지 꺾이지 않는 마음을 가져야 하는 것일까.

새해가 되면 사람들은 으레 거창한 신년 계획을 세운다. 게다가 ‘이번에는 실패하지 않겠다’는 의지도 굳건하다. 그렇지만 이맘때면 작심삼일이 책 속 사자성어가 아니라는 것을 보여 주듯 이런저런 핑계로 새해 계획은 폐기처분된 경우가 많다.

1월 1일 새해 벽두에 세운 계획을 흔들림 없이 잘 지켜 12월 31일 밤 뿌듯한 마음으로 잠자리에 드는 사람은 지금까지 본 적이 거의 없다. 나 역시 20대 때부터 연초에 세웠던 계획을 모두 지켰더라면 움베르토 에코처럼 10개 이상 외국어를 능수능란하게 하거나 세계적인 석학 반열에 올랐을지 모른다. 요즘 글을 쓰거나 말을 할 때 우리말 단어도 생각나지 않을 때가 많은 것을 보면 새해 계획을 제대로 지킨 적이 없었던 것이 확실하다.

매사를 술에 술 탄 듯, 물에 물 탄 듯 사는 것도 문제지만 하루 이틀도 아니고 1년 365일을 꺾이지 않는 마음과 투지로 밀어붙이는 삶은 뇌에 상당한 부담과 스트레스를 준다. 한계까지 팽팽하게 당겨진 고무줄은 끊어지거나 늘어져 버리기 십상이다. 뇌과학과 현대 심리학의 여러 실험을 통해 증명된 사실이다.

우리가 어떤 행동을 습관으로 만들기 위해서는 행동을 반복하도록 동기를 부여하고 그 행동에서 쾌락이라는 감정을 느끼게 하는 보상회로가 작동해야 한다. 뇌는 새로운 보상회로 경로를 만드는 것보다 기존 경로를 유지하려는 성향이 더 크다. 새로운 습관을 몸에 배게 하기 위해서는 부단한 노력과 에너지가 필요한 이유이다. 살아가는 동안 다른 고민거리가 수두룩해 에너지 소모가 적지 않은데 신년 계획을 계속 유지해 나가는 것에까지 에너지를 나눠 쓰는 것은 뇌의 입장에서 부적절하다. 신년 계획을 세우고 1년 내내 잘 지키는 것보다는 작심삼일이 우리 뇌에서는 훨씬 자연스러운 일이란 말이다.

외국어를 배운다든지, 다이어트를 한다든지, 담배를 끊는다든지 새해에 새로운 마음을 갖는 것은 중요하지만 그런 계획을 제대로 지키지 못했다고 해서 꺾이지 않는 마음까지 들먹일 필요는 없다.

몇 년 전 ‘노오력’이라는 말이 유행했다. 실패의 원인을 사회나 구조의 문제가 아닌 오로지 개인의 의지 박약에서만 찾는 분위기를 비꼬기 위해 사용됐던 말이다. 중꺾마도 노오력처럼 시스템 문제를 개인 책임으로 떠넘기기 위해 사용되는 경향이 눈에 띄기 시작했다. 한국 사회에서는 중꺾마로 노오력을 해도 안 되는 사례를 심심찮게 볼 수 있다. 중꺾마 없이도 우리 모두 하루하루 분투하며 살고 있다. 모두가 ‘꺾이지 않는 마음’에 환호할 때 ‘꺾이는 마음’을 생각하는 이유다.

유용하 문화체육부 차장

▶ 밀리터리 인사이드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Copyright © 서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