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들만 ‘국영수코’?…“모두가 배워야하는 이유 있다”
“코딩, 기술 넘어 표현 수단으로”
미첼 레스닉 미국 매사추세츠공과대학(MIT) 교수는 최근 매일경제와의 인터뷰에서 이처럼 강조했다.
레스닉 교수는 교육용 프로그래밍 언어인 ‘스크래치’를 만든 사람으로 잘 알려져 있다. 스크래치를 만들게 된 계기를 묻자 그는 “1990년대에도 이미 아이들이 컴퓨터를 이용해 그림·음악 등 다양한 창작물을 만들어내고 있었다”며 “하지만 애니메이션이나 인터랙티브 게임 등 더욱 많은 것을 할 수 있는 도구가 부재하다는 것을 느껴 스크래치 개발에 착수했다”고 말했다.
그가 최근 한국을 찾은 이유는 국내 게임사 스마일게이트 산하의 교육 기관인 ‘퓨처랩’과 협업하기 위해서다. 최근 퓨처랩과 MIT 미디어랩은 ‘퓨처 러닝 콜렉티브’라는 프로그램을 발족하고 협력을 이어나가기로 했다. 레스닉 교수는 “저희 두 기관은 교육 방식에 대해 접근하는 방식이 전통적인 것과는 완전히 다르다”며 “단순히 기술에만 머무르는 게 아니라 음악·미술 등 예술을 결합하여 아이들이 원하는 것을 무엇이든 창작해낼 수 있도록 도울 것”이라고 자신했다.
그가 기자로 일하던 1980년대에는 한창 개인용 컴퓨터(PC)가 사람들에게 확산되던 시기였다. 레스닉 교수 역시 기자로서 PC에 관해 취재하던 도중 프로그래밍 언어 ‘로고’의 창시자인 시모어 페퍼트 교수를 알게 되었다. 이후 그는 페퍼트 교수 밑으로 들어가 컴퓨터공학과 교육학을 배우기 시작했고, 이것이 발단되어 현재의 모습에 이르게 됐다.
레스닉 교수는 정보기술(IT) 업계인뿐만 아니라 모든 사람이 코딩을 배워야 한다고 주장했다. 코딩이란 단순한 기술이 아니라 본인의 생각과 관심을 표현하는 주된 수단 중 하나라는 것이다. 그는 “굳이 작가가 될 사람이 아니더라도 누구나 자기 생각을 표현하기 위해 글쓰기 기술을 익혀야 하지 않느냐”며 “마찬가지로 개발자가 되지 않더라도 프로그래밍 기술을 활용해 자신을 표현하는 방법을 알아야 한다”고 말했다.
최근 ChatGPT와 같이 인공지능(AI) 챗봇의 발달로 개발자의 역할이 줄어들 것이라는 우려에 대해서도 레스닉 교수는 단호히 “그렇지 않다”고 했다. 그는 “AI의 역할은 굉장히 표준화된 개발을 하는 데에 국한될 것”이라며 “사람은 창의성을 지니고, 다른 사람과 연결될 수 있다는 점에서 커다란 장점을 지닌다”고 역설했다.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39살된 김정은, 술 마시고 운다…중년의 위기 가능성” - 매일경제
- 그 많은 치킨집 제쳤다...4년 새 점포수 2배 많아진 업종은 - 매일경제
- 서울 아파트도 ‘줍줍’ 시작 … 장위자이 무순위 청약간다 [매부리레터] - 매일경제
- 서민 라면에도 손 뻗은 백종원…빽햄 이어 빽라면 내놨다 - 매일경제
- [단독] "우리도"… 현대차 계열사 노조 끝없는 '특별격려금' 요구 - 매일경제
- 尹부부 나체 그림 등장하자…국회, 정치 풍자 전시회 기습 철거 - 매일경제
- 김부영 창녕군수 야산서 숨진 채 발견 - 매일경제
- “의사 되니 좋긴한데”…63%가 선택 후회한다는 이 전공 - 매일경제
- 주식 초고수들, 경영권 분쟁 기업부터 사들였다 - 매일경제
- 리그 최강 안우진 없는 WBC 마운드 운영 전략은? - MK스포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