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침신문 솎아보기] 9억까지 불어난 한겨레 기자 돈거래 의혹 파장 계속

장슬기 기자 2023. 1. 9. 07:39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조선, 민주노총·시민단체 엮은 간첩단 사건 단독 보도
경향·세계·서울 "김만배-기자 돈거래, 철저히 수사해야" 언론윤리 지적

[미디어오늘 장슬기 기자]

▲ 2022년 12월9일 오전 화천대유자산관리 대주주 김만배 씨가 서초구 서울중앙지방법원에서 열린 대장동 개발 사업 로비·특혜 의혹 관련 1심 속행 공판에 출석하고 있다. ⓒ 연합뉴스

조선일보가 국가정보원과 경찰 등이 흘린 윤석열 정부 첫 간첩단 혐의 사건을 단독보도했다. 진보정당 간부가 북한의 지령을 받아 반정부 활동을 했다는 내용으로 민주노총과 시민단체까지 엮은 사건이다. 국정원과 경찰 등은 5년 이상 이 사건을 추적했고 지난해 말 두 차례 압수수색을 실시했다고 한다. 즉 수사기관이 현 시점을 특정해 수사 내용 일부(압수수색 영장 등)를 보수매체에 흘린 것이다.

머니투데이 법조기자 출신인 화천대유 대주주 김만배씨가 한겨레 기자에게 앞서 알려진 6억 원 외에 전달한 돈이 3억 원 더 있다는 사실을 검찰이 파악했다고 조선일보가 9일 보도했다. 앞서 조선일보는 지난 6일 김씨가 한겨레 간부에게 6억 원, 한국일보 간부에게 1억 원, 중앙일보 간부에게 9000만 원을 각각 전달했다고 보도했다. 해당 중앙일보 간부는 2018년 김씨에게 8000만 원을 줬고, 이듬해 9000만 원을 돌려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SBS에 따르면 채널A 기자는 2018년 11월 김씨에게 명품 신발을 선물받았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이번 돈 거래 관련 경향신문, 세계일보, 서울신문 등이 9일자 사설에서 철저한 진상조사를 요구하며 수상한 돈 거래가 언론윤리 위반인 점 등을 비판했다. 한겨레는 지난 6일 사과 입장을 냈지만 9일 조간 현재까지 중앙일보와 한국일보 등은 관련 보도나 입장문을 내놓지 않고 있다.

▲ 9일 주요 아침신문 1면 모음

국정원·경찰, 간첩단 사건 지난해 압색 영장 언론에 흘려

조선일보가 보도한 1면 톱기사 “민노총·시민단체 앞세워 투쟁하라”를 보면 국내 진보정당 간부 A씨 등이 2017년 캄보디아에서 북한 대남 공작원을 만나 제주도에서 'ㅎㄱㅎ'라는 지하조직을 설립하라는 지령을 받은 뒤 반정부, 이적활동을 해온 혐의로 수사를 받고 있다. 해당 보도를 보면 국정원과 경찰 등은 5년 이상 이 사건을 추적했고 지난해 말 두 차례 압수수색을 실시했다. 최근 정부가 민주노총 등을 비난하며 지지율이 오르는 가운데 공교롭게 수사기관이 간첩 사건을 언론에 흘린 셈이다.

수사기관이 조선일보에 흘린 압수수색 영장 등에 따르면 A씨는 제주 노동계 간부 B씨와 농민운동하던 C씨 등 2명을 포섭해 'ㅎㄱㅎ'을 조직했는데 'ㅎㄱㅎ'의 뜻은 아직 수사 중이라고 한다. 이들은 지난해 11월까지 북한에서 “민노총 산하 제주 4·3통일위원회 장악” “반미 투쟁 확대” “윤석열 규탄 배격” “한미 군사 훈련 중단” “반보수 투쟁” 등 구체적 지령을 받았고 일부 지령을 실제 이행한 뒤 북한에 보고했다고 전했다. A씨는 혐의를 부인하고 있고, 일부 진보단체는 “정부가 공안 몰이를 한다”며 반발한다고도 보도했다.

▲ 9일자 조선일보 3면 기사들

조선일보는 3면 기사에서 “압수수색 영장을 보면 'ㅎㄱㅎ'은 2021년 10월19일 북한으로부터 '진보당 ㅈㅈ도당과 민주노총 ㅈㅈ본부 4·3통일위원회, 전농ㅈㅈ도연맹, ㅈㅈ지역반전평화옹호단체들을 발동해 합동 군사 연습 중단, 한미일 군사동맹 해체, 미국산 첨단 무기 도입 반대 등 구호를 들고 항의 집회, 항의 방문, 서명 운동 같은 대중 투쟁을 연속 전개하라'는 지령을 받았다”며 “ㅈㅈ는 제주를 의미한다”고 보도했다.

조선일보는 “북한은 진보정당을 '지하조직 ㅎㄱㅎ의 합법적 활동 공간으로 이용하며 선거 때마다 반보수 투쟁을 진행하라'고 지시했다”고 전했다. 압색 영장에 따르면 북한이 노동 조직화를 강조한 배경에 대해 “(북한이) 단결력, 전투력이 강한 노동자들을 앞에 내세워야 다른 모든 계급 선두에서 대중을 견인해 나갈 수 있다고 지시했다”고 전했다.

이 신문은 “A씨를 포섭한 북한 문화교류국은 노동당 선전선동부 산하 대남 공작 조직”이라며 “북한 정권 수립 초기부터 대외연락부, 사회문화부, 225국 등으로 이름을 바꿔가며 간첩 남파 등 임무를 수행해왔다”고 전했다.

또 조선일보는 3면 “文정부, 간첩수사 손 놔 4년동안 3명 적발 그쳐”란 기사에서 “2011~2017년 간첩 적발 건수는 26건으로 연간 4건 이상인데 2017~2020년엔 전체 3명으로 줄었다”며 “이마저도 박근혜 정부 시절 혐의를 인지해 수사 중이던 간첩 사건들”이라고 비판했다. 국정원 개혁이란 이유로 대공수사권을 경찰에 넘기며 간첩 수사 역량이 떨어졌으며 문재인 정부가 간첩 수사에 미온적이어서 국정원과 국가안보지원사령부(옛 기무사) 등 대공수사팀의 사기가 떨어졌다는 지적도 덧붙였다.

조선, 김만배에 6억 받은 한겨레 기자 추가 3억 드러나

조선일보는 사회면 “김만배측, 한겨레 기자에 3억원 추가 전달 드러나”란 기사에서 “서울중앙지검은 김만배씨가 대주주인 화천대유의 이성문 대표가 2019년 약 3억 원을 한겨레 간부 A씨에게 추가로 전달했다는 내용을 대장동 관계자 등으로부터 파악한 것으로 알려졌다”며 “이 돈은 2019년 A씨가 아파트 분양금 용도로 김씨를 통해 받은 6억 원과는 별개”라고 보도했다.

▲ 9일자 조선일보 사회면 기사

조선일보는 “당시 김씨와 남욱 변호사(천화동인 4호 소유주), 정영학 회계사(천화동인 5호 소유주)가 각각 3억 원씩, 총 9억 원을 A씨에게 전하려 했는데, 김씨가 자신의 몫은 빼고 남욱·정영학씨가 낸 6억 원만 A씨에게 줬다고 한다”라며 “A씨가 추가로 받았다는 3억 원의 명목은 구체적으로 확인되지 않고 있다”고 보도했다. A씨는 조선일보 취재에 응하지 않았다고 이 신문은 전했다.

한겨레는 지난 6일 “편집국 간부(A씨)가 '(김씨에게) 6억 원을 빌렸지만 현재 2억여 원을 변제한 상태이며 나머지도 갚겠다는 의사를 김씨에게 전달했다'고 회사에 밝혔다”며 “그가 대장동 개발 의혹 관련 보도 과정에 관여할 수 있는 위치에 있었다는 점에서 직무 배제했다”고 밝혔다. 조선일보에 따르면 검찰은 A씨 해명과 배치되는 정황을 잡고 수사 중이다.

▲ 돈 거래. 사진=pixabay

또 조선일보에 따르면 검찰은 김씨가 다른 기자들과 골프를 치면서 한 사람당 100만 원씩 줬다는 의혹에 대해서도 수사 중이다. 남욱씨도 검찰에 “김씨가 기자들과 골프 칠 때마다 각 기자에게 100만 원씩 주고 골프를 쳤다”며 “기자들 로비를 했기 때문에 대장동에 대한 기사를 모두 막을 수 있었다”고 진술한 것으로 전해졌다.

경향·세계·서울, 사설 통해 김만배-언론인 돈 거래 비판

경향신문은 사설 “김만배와 언론인의 참담한 돈거래, 진상 밝혀야”에서 “이들은 해당 언론사에서 대장동 의혹 관련 보도에 관여할 수 있는 위치에 있었다”며 “언론은 검찰 수사가 한쪽으로 치우침 없이 공정하게 진행되는지를 보도해야 함에도, 김씨와 관련된 부정한 일을 축소하거나 침묵했다는 있을 수 없는 일”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이번 사안의 진상을 명백히 밝히고, 언론계 전체가 자성의 계기로 삼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 9일 경향신문 사설

세계일보도 사설 “김만배와 신문사 간부들 수상한 돈거래, 철저 수사해야”에서 “돈거래를 한 언론사 간부들은 하나같이 김씨와 같은 때 활동하던 법조기자 출신”이라며 “해당 언론사들은 김씨와 금품 거래를 한 기자들에 대한 진상을 조사한 뒤 국민에게 사과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검찰도 이들의 위법·불법행위를 철저히 수사해 처벌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겨레는 지난 6일 “독자와 주주, 시민 여러분께 사과드립니다”라며 이번 사건에 대한 입장을 밝혔지만 9일 현재 중앙일보와 한국일보는 입장을 밝히지 않았고 관련 보도도 하지 않고 있다.

서울신문은 사설 “김만배와 돈 거래한 기자들, 언론윤리 성찰 계기 돼야”에서 “이미 2021년에도 가짜 수산업자에게 몇몇 매체 기자들이 뇌물을 받아 사회적 지탄을 받고 기소된 전례가 있는 상황에서 또 다시 유사한 일이 벌어진 셈”이라며 “대장동 비리 관련 위법 여부는 아직 확인되지 않았지만 그 자체만으로도 언론의 신뢰도는 다시금 추락할 수밖에 없게 됐다”고 썼다.

서울신문은 “해당 언론사의 대기 발령 등 자체 조사·징계만으로는 부족하다”며 철저한 수사를 주장한 뒤 “뼈를 깎는 자정 노력이 없다면 권력 감시와 비판이라는 언론 본연의 역할은커녕 설자리마저 더 좁아질 것”이라고 경고했다.

※ 미디어오늘은 여러분의 제보를 소중히 생각합니다.
news@mediatoday.co.kr

[미디어오늘 바로가기][미디어오늘 페이스북]
미디어오늘을 지지·격려하는 [가장 확실한 방법]

Copyright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