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법’인 사람은 없다[내가 만난 名문장/백승주]
백승주 전남대 국어국문학과 교수 2023. 1. 9. 03:02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국제 사회에서는 초과 체류한 이주민을 '불법 체류자'라고 부르는 것은, 그들을 '불법'적인 존재로 낙인찍어 혐오를 조장하기에 '미등록' '비정규' 같은 중립적인 용어로 써야 한다는 논의가 제기되어 왔다인간 자체가 '불법'일 수도 없으며 존재 자체가 '불법'이 될 수도 없다." ―우춘희 '깻잎 투쟁기' 중 사회언어학자라는 직업상 우리의 삶 속을 떠돌아다니며 우리를 알게 모르게 지배하는 말들을 의심하는 게 일상이다.
누군가에게는 지하철을 타는 것 자체가 불법이 되기도 하니, 이 말에 의문을 품는 것은 당연한 일일지도 모른다.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국제 사회에서는 초과 체류한 이주민을 ‘불법 체류자’라고 부르는 것은, 그들을 ‘불법’적인 존재로 낙인찍어 혐오를 조장하기에 ‘미등록’ ‘비정규’ 같은 중립적인 용어로 써야 한다는 논의가 제기되어 왔다…인간 자체가 ‘불법’일 수도 없으며 존재 자체가 ‘불법’이 될 수도 없다.”
―우춘희 ‘깻잎 투쟁기’ 중
사회언어학자라는 직업상 우리의 삶 속을 떠돌아다니며 우리를 알게 모르게 지배하는 말들을 의심하는 게 일상이다. 최근 내가 가장 관심 있게 살펴보는 단어는 ‘불법’이라는 말이다. 누군가에게는 지하철을 타는 것 자체가 불법이 되기도 하니, 이 말에 의문을 품는 것은 당연한 일일지도 모른다. 그러다가 위의 문장을 만났다. 말을 의심하는 게 직업인 내가 ‘불법 체류자’라는 말을 왜 의심 없이 받아들여 왔을까.
얼마 전 교통법규 위반 사실을 알리는 고지서를 받았다. 학교 앞을 지날 때 잠시 딴생각을 하다가 규정 속도를 살짝 넘긴 모양이었다. 내가 인지하지도 못한 교통법규 위반. 그렇다면 나는 ‘불법 운전자’인 것일까? 그렇게 부르는 것을 허용한다면 이렇게 도로를 묘사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한국의 도로 위는 불법 운전자들로 가득하다.’ 하지만 우리는 불법 운전자라는 말을 쓰지 않는다. 우춘희는 이 부분을 지적한다. 체류 기간 초과는 행정 절차를 위반한 것이지 형사적인 범죄를 저지른 것이 아니다. 그런데도 우리는 미등록 체류자들을 ‘불법 체류자’로 낙인찍어 왔다. ‘깻잎 투쟁기’는 한국 사회가 그리는 이주 노동의 지옥도를 보여준다. 노예 노동의 사례라고 불러도 하등 이상할 것이 없는 그 그림 속 이주 노동자들의 삶은, 우리가 잊고 있던 당연한 사실들을 알려 준다. 불법인 사람은 없다는 것, 등록, 미등록을 떠나 이주 노동자들은 한국 사회와 분리될 수 없는 한국 사회의 일원이라는 것. 그러니 이제는 ‘더 큰 우리’를 상상할 때이다.
―우춘희 ‘깻잎 투쟁기’ 중
사회언어학자라는 직업상 우리의 삶 속을 떠돌아다니며 우리를 알게 모르게 지배하는 말들을 의심하는 게 일상이다. 최근 내가 가장 관심 있게 살펴보는 단어는 ‘불법’이라는 말이다. 누군가에게는 지하철을 타는 것 자체가 불법이 되기도 하니, 이 말에 의문을 품는 것은 당연한 일일지도 모른다. 그러다가 위의 문장을 만났다. 말을 의심하는 게 직업인 내가 ‘불법 체류자’라는 말을 왜 의심 없이 받아들여 왔을까.
얼마 전 교통법규 위반 사실을 알리는 고지서를 받았다. 학교 앞을 지날 때 잠시 딴생각을 하다가 규정 속도를 살짝 넘긴 모양이었다. 내가 인지하지도 못한 교통법규 위반. 그렇다면 나는 ‘불법 운전자’인 것일까? 그렇게 부르는 것을 허용한다면 이렇게 도로를 묘사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한국의 도로 위는 불법 운전자들로 가득하다.’ 하지만 우리는 불법 운전자라는 말을 쓰지 않는다. 우춘희는 이 부분을 지적한다. 체류 기간 초과는 행정 절차를 위반한 것이지 형사적인 범죄를 저지른 것이 아니다. 그런데도 우리는 미등록 체류자들을 ‘불법 체류자’로 낙인찍어 왔다. ‘깻잎 투쟁기’는 한국 사회가 그리는 이주 노동의 지옥도를 보여준다. 노예 노동의 사례라고 불러도 하등 이상할 것이 없는 그 그림 속 이주 노동자들의 삶은, 우리가 잊고 있던 당연한 사실들을 알려 준다. 불법인 사람은 없다는 것, 등록, 미등록을 떠나 이주 노동자들은 한국 사회와 분리될 수 없는 한국 사회의 일원이라는 것. 그러니 이제는 ‘더 큰 우리’를 상상할 때이다.
백승주 전남대 국어국문학과 교수
Copyright © 동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동아일보에서 직접 확인하세요. 해당 언론사로 이동합니다.
- [단독]시군구 35% ‘골든타임 트라이앵글’ 사각지대
- [정용관 칼럼]권력, 외로운 영혼을 품으라
- 수도권서 4년 만에 가장 강한 지진 발생…규모 3.7
- 軍, 北무인기 침투 당일 포착 1시간반 지나서야 ‘작전태세’ 늑장 발령
- 공직 비위, 총리실이 수집하고 대통령실이 검증
- [단독]대통령실 “신설 감찰팀 사무실 필요… 사이버司 일부 비워라” 논란
- [광화문에서/황형준]한동훈이 거울삼아야 할 유시민의 ‘싸가지’
- 羅 “당대표 돼 저출산 해결”… 대통령실 “저출산委로 자기정치”
- [단독]병역브로커, 상담계약 취소 요청 의뢰인에 “법원 강제집행” 협박
- [단독]글로벌 자금경색에… SK온, 포드와 3조 배터리 합작공장 철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