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락’ 걱정 무색하네…서울 아파트값, 지난해 2.96% 떨어졌다

송진식 기자 2023. 1. 8. 21:49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매매가 기준 3700만~3800만원↓
서초·용산·종로는 되레 가격 올라

정부가 ‘급락’을 우려하는 서울 아파트값이 지난해 2.96% 떨어진 것으로 집계됐다. 그 와중에도 서초·용산·종로는 가격이 오히려 올랐다.

8일 KB국민은행의 주택가격동향 자료를 보면 지난해 서울 아파트 가격은 2.96% 하락했다. 지난해 서울 아파트 평균 매매가(12억5000만~12억8000만원대)를 감안하면 매매가 기준 3700~3800만원가량 하락한 것이 된다. 강남 11개 구 하락률(-2.47%)이 강북 14개 구(-3.52%)보다 낮게 나타났다.

자치구별로는 도봉구가 -6.40%로 하락폭이 가장 높았다. 이어 송파구(-5.88%), 노원구(-5.63%), 성북구(-5.58%) 순이었다. 용산구(2.41%), 종로구(1.02%), 서초구(0.71%) 등 3곳은 가격이 오른 것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전국 아파트값 하락률은 -3.12%로 집계됐다. 시·도별로는 세종시(-11.97%) 하락폭이 가장 컸다. 이어 동탄이 있는 화성(-10.63%), 광명(-9.84%), 수원(-8.47%), 양주(-7.41%), 과천(-7.16%), 대구(-7.15%), 대전(-6.65%), 인천(-6.12%) 등의 순이었다.

가격 하락에 따라 아파트 시가총액도 줄었다. 부동산R114 통계를 보면 지난해 12월 말 기준 서울 아파트 시가총액은 1244조9000억원으로 2021년 12월 말(1258조5000억원)보다 13조6000억원 줄었다.

부동산 가격 급등기인 2021년의 경우 KB부동산 집계에서 서울 아파트값이 한해 20%가량 올랐다. 2021년의 상승폭에 비하면 2022년의 하락폭이 크진 않지만 정부는 “가격 급락은 곤란하고 거래절벽을 해소해야 한다”며 지난 4일 부동산 규제를 무더기로 해제했다.

송진식 기자 truejs@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