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베니 12년산, 1만원”...위스키 인기에 공병 중고거래도 활발

방영덕 매경닷컴 기자(byd@mk.co.kr) 2023. 1. 8. 16:48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사진출처 = 당근마켓]
과거 중장년층의 전유물로 여겨졌던 위스키에 20~30대 젊은층이 열광하고 있다. 희귀 아이템을 사기 위해 새벽부터 줄을 서는 ‘오픈런(매장 문이 열리자마자 뛰어가 구매하는 현상)’을 벌이는 것은 물론, 위스키 빈 병을 사고 파는 중고거래마저 활발히 일어나고 있다.
위스키 빈병값이 5만~6만원...“인테리어 효과도”
[사진출처 = 당근마켓]
8일 중고거래 업계에 따르면 중고거래 플랫폼에서는 위스키 공병 거래가 활발하다.

일례로 당근마켓이나 중고나라, 번개장터에서 ‘위스키 공병’이라고 검색시 최근 한 달 사이에도 수십개의 매물이 뜬다. 고급 희귀 위스키 공병을 따로 사겠다는 의사를 밝힌 글도 종종 올라온다.

공병 가격대는 기본적으로 양주 가격에 비례한다. 최소 2000~3000원에서부터 비싸게는 5만~6만원까지 공병의 청결 상태나 케이스 유무에 따라 가격이 다소 달라지는 모습이다.

지난 6일 서울 용산 이마트에서 위스키를 구매한 시민들이 마트를 나서며 계산하고 있다. 이마트는 6∼7일 이틀간 발베니, 맥켈란 등 인기 위스키 7종 행사를 진행한다고 밝혔다.[사진출처 = 연합뉴스]
위스키 공병을 사고 파는 이유는 대부분 마니아들 사이 수집 목적과 함께 인테리어 소품으로 활용하려는 목적이 크다.

SNS에 자신의 취향 등을 보여주는 문화에 익숙한 MZ(밀레니얼+Z세대, 1980~2000년대생)세대에게 위스키나 와인 등이 자신의 고급스러운 취향을 보여주는 수단이 된 것이다.

중고거래 업계 관계자는 “요즘 집에서 집에서 술을 먹는 ‘홈바(home bar)’ 음주 문화가 자리잡으며 위스키가 아주 힙한 주류 취향을 보여주는 술이란 인식 역시 퍼졌다”며 “아울러 희귀한 위스키 공병은 집 안 인테리어를 꾸미는 데에도 훌륭한 아이템이 되고 있는 모습이다”고 설명했다.

희소성 높은 위스키 판매에 ‘오픈런’도
지난 6일 서울 용산 이마트에서 시민들이 줄을 서 위스키를 구매하고 있다. 이마트는 6∼7일 이틀간 발베니, 맥켈란 등 인기 위스키 7종 할인행사를 진행한다고 밝혔다. [사진출처 = 연합뉴스]
희소성 높은 위스키를 구하기 위한 오픈런 행렬도 종종 볼 수 있다. 값비싼 위스키를 사기 위해 직접 마트나 편의점이 문 열기 전부터 몰려든 이들은 20~30대들이다.

이마트는 지난 6일부터 7일 사이 지난해 인기를 끌었던 위스키 7종을 약 1만병을 확보해 판매했다. 역대 최대 규모 물량의 행사인데다 가격도 특가로 선보이며 연일 북새통을 이뤘다.

이마트는 이번 행사를 통해 발베니 12년 더블우드(700㎖, 스코틀랜드)를 기존 가격 대비 9% 할인한 9만9800원에, 발베니 14년 캐리비안캐스크(700㎖, 스코틀랜드)를 17만8000원에, 몽키숄더(700㎖, 스코틀랜드)를 6000원 저렴한 5만1800원에 판매했다.

지난 6일 서울 용산 이마트에서 위스키를 구매한 시민들이 마트를 나서고 있다. 이마트는 6∼7일 이틀간 발베니, 맥켈란 등 인기 위스키 7종 행사를 진행한다고 밝혔다. [사진출처 = 연합뉴스]
최근 위스키 등 고급주류가 대형마트의 핵심 경쟁력으로 떠오르고 있다.

이마트의 주류 매출 분석에 따르면 지난해 위스키 매출은 전년보다 30% 이상 성장했다. 코로나19 이후 ‘홈술’ 열풍이 불면서 위스키 인기기 더욱 커지는 양상이다.

발베니 등 일부 인기 위스키는 공급이 수요를 따라가지 못하면서 가격이 계속 오르고 있다.

대형마트 업계 관계자는 “코로나19 이후 젊은층 중심으로 고급 주류 문화가 확산한데다 집에서 칵테일을 제조해 먹는 홈술 문화가 자리잡은 모습”이라며 “당분간 위스키 인기는 계속 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