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격은 올랐는데 맛은 모르겠네”…수제맥주 인기 다 했나
경쟁력 부재하고 위스키·와인에 밀려
8일 편의점 업계에 따르면 코로나19 확산 전부터 세 자릿수 성장률을 거듭해 온 수제맥주 매출이 지난해 두 자릿수 성장률을 기록했다.
GS25의 경우 수제맥주의 전년 대비 매출신장률이 ▲2019년 353.4% ▲2020년 381.4% ▲2021년 234.1% ▲2022년 76.6%를 기록했다. CU에서도 ▲2019년 220.4% ▲2020년 498.4% ▲2021년 255.2%에서 ▲2022년 60.1%로 급락했다.
비록 전년 대비 성장 기조는 이어갔으나, 재작년부터 상승 폭이 눈에 띄게 위축됐다.
한 주류업계 관계자는 “국내 시장에서는 기본적으로 본연의 맛을 유지하는 맥주가 가장 잘 팔린다. 구수한 보리향이 나면서도 강한 탄산으로 청량감을 더한 ‘라거’ 종류가 그렇다”며 “카스나 테라, 버드와이저 등이 대표적인 사례”라고 꼽았다.
이 관계자는 이어 “수제맥주 제조업체들이 MZ세대의 호기심만을 믿고 너무 과하게 이런저런 첨가물을 넣은 게 아닌가 하는 시각도 있다”며 “궁금해서 한 번은 사 먹는데 맛이 별로라서 재구매로까지 이어지지는 않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또 기존에는 편의점 등에서 4캔 1만원에 판매됐으나, 물가가 오르면서 4캔 1만1000원 또는 3캔 9900원에 판매되기 시작한 점도 소비심리를 위축시킨 것으로 풀이된다.
한국수제맥주협회 관계자는 “(전반적인) 편의점 맥주 시장이 작아지고 있는 데다 코로나19 이후 완전히 죽었던 생맥주 시장이 최근 되살아나면서 (수제맥주가) 크게 성장하지 못하는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일각에서는 팬데믹 기간 ‘홈술(집에서 술을 마시는 것)’ 문화가 확산하면서 수요가 위스키와 와인 등으로 옮겨갔다는 분석도 나온다. 위스키와 와인이 본격 인기를 끌기 시작한 게 지난 2020년 하반기부터인데 수제맥주 수요가 감소한 시점과도 일부 맞물린다는 것이다.
와인의 경우 지난해(1~11월) 수입액이 5억3405억달러를 기록하며 전년 동기보다 5.5% 상승하는 수준에 그쳤지만, 업계서는 ‘질적 성장’이라는 평이 나온다. 표면적으로는 수입량이 400만ℓ 감소했어도 실속은 줄지 않았다는 것이다.
수제맥주가 시장에서 입지를 공고히 하지 못하면서 제조업체들의 실적도 부진해지는 상황이다.
업계에서 손꼽는 히트작 ‘곰표맥주’를 생산한 세븐브로이의 경우 지난해 3분기 약 274억원의 매출(연결기준)을 냈다. 전년 동기(약 286억원)보다 약 4.1% 감소한 것인데 이 기간 영업이익은 35.6% 줄었다.
제주맥주 역시 작년 3분기 매출(연결기준)이 약 192억원에 그쳤다. 1년 전보다 8.6% 감소했고, 영업손실도 71억원에 이른다. 실적만큼 주가 역시 부진하다. 지난해 5월 코스닥에 상장해 한때 6000원선을 넘던 제주맥주는 지난 6일 1320원으로 거래를 마쳤다.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재산 67억인데, 식사는 750원 고양이 사료…가장 궁핍한 백만장자 - 매일경제
- “결혼식서 5만원 내고 밥 먹으면 욕까지 먹나요”…적정 축의금은 - 매일경제
- 영업이익 10조 넘게 줄었는데…“삼성전자 주식 이제 사야겠어” 왜 [위클리반도체] - 매일경제
- “올해 주식투자 ‘이 때’ 놓치면 땅치고 후회…증시 바닥 잡아라” [신화의 코리아 인사이트]
- “중국에 맞은 뒤통수 더는 안돼”…베트남, 박수칠 때 눈 돌려야 [신짜오 베트남] - 매일경제
- 연금자산만 17억!…연금부자 ‘이것’으로 돈 불렸다는데 [신화!머니?] - 매일경제
- 홍준표, 나경원 직격 “설치면 대통령실도 손절…한자리에 충실해야” - 매일경제
- 규제완화 부동산 훈풍 불줄 알았는데…주담대 최고 연 8%라니 - 매일경제
- “밥값만 8만8000원인데 5만원 냈네”…축의금, 얼마가 적당할까 - 매일경제
- 日에서도 관심 쏠린 안우진 탈락, 마지막 가능성은 있나? - MK스포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