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름기 육지생물 대멸종, 자외선 탓이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약 2억5190만년 전 발생한 페름기 대멸종에서 육지 생물이 거의 멸종에 이른 것은 오존층 파괴로 강해진 자외선 때문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워싱턴대 연구팀은 2018년 국제 학술지 '사이언스'에 "해양 생물의 페름기 대멸종 원인은 산소 고갈 때문"이라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지구에 닿은 자외선 세져 육지생물 피해
해양 멸종은 산소고갈, 산성화 탓
육지, 해양 멸종 시차 있어 원인 달라
약 2억5190만년 전 발생한 페름기 대멸종에서 육지 생물이 거의 멸종에 이른 것은 오존층 파괴로 강해진 자외선 때문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해양 생물 멸종 원인은 밝혀졌지만 육지 생물 멸종은 시간이 달라 확실한 원인을 알지 못했다.
펑 리우 중국 국립과학원 지질학·고생물학연구소 교수가 이끄는 국제 공동 연구진은 7일 국제 학술지 ‘사이언스 어드밴시스’에 “페름기 대멸종 직후 식물의 화석에서 자외선을 막기 위한 물질이 급격하게 증가한 것으로 보아 강력한 자외선이 육지 생물을 멸종으로 내몰았다고 추정된다”고 밝혔다.
◇강하게 내리쬔 햇살이 화석에 흔적 남겨
페름기 대멸종은 마지막 고생대인 페름기와 중생대의 시작 지점인 트라이아스기 사이에 지구 생명체의 70~80%가 멸종한 사건이다. 해양 생물이 89% 이상 멸종한 것은 기온 상승과 바닷물의 산성화 때문으로 밝혀졌다. 하지만 육지 생물이 멸종에 가깝게 몰린 직접적인 원인은 아직 확실히 밝혀지지 않았다.
페름기 대멸종은 시베리아 지역에서 100만년 동안 계속된 화산 폭발 때문에 일어났다. 화산 폭발로 방출된 이산화탄소는 지구 기온을 섭씨 40도까지 올렸고, 바닷물은 산성이 됐다.
연구진은 당시 환경이 어땠는지 알아보기 위해 티베트 남부 지역의 페름기와 트라이아스기의 지층에서 그때 번성했던 양치식물인 알리스포라이트 화석 804개를 채취해 성분을 분석했다.
분석 결과, 페름기 대멸종 이후 화석에서는 자외선 흡수 분자(UAC)의 농도가 크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UAC는 식물이 외부 자외선이 강해졌을 때 세포 손상을 막기 위해 만드는 물질이다. 페름기 대멸종이 일어난 시기에 지구에 내리쬐는 자외선이 강해졌다는 증거다.
화석의 종류도 페름기 대멸종을 계기로 변했다. 대멸종 이전 시기에는 화석 대부분에 꽃가루가 들어 있었지만, 대멸종 이후에는 포자가 대부분이었다. 포자는 양치식물이나 버섯, 곰팡이의 생식세포로, 세포벽이 두꺼워 강한 자외선처럼 나쁜 환경에도 견딜 수 있다. .
펑 리우 교수는 “화학적인 분석과 생물학적인 분석 모두에서 자외선으로 인한 영향을 확인했다”며 “이번 연구를 통해서 자외선이 페름기 대멸종의 원인이라는 시나리오도 가설 중 하나로 인정받길 바란다”고 말했다.
◇바닷물 산소량 감소, 찬 바다 생물에 피해
지구에는 지금까지 5번의 대멸종이 있었다. 페름기 대멸종은 그 중 가장 큰 규모로 꼽힌다. 과학자들은 먼저 페름기 해양 생물의 멸종 원인을 밝혀냈다.
미국 워싱턴대 연구팀은 2018년 국제 학술지 ‘사이언스’에 “해양 생물의 페름기 대멸종 원인은 산소 고갈 때문”이라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화산 폭발로 수온이 오르면서 바다의 산소량이 줄어들었다. 반대로 해양 생물은 신체 대사 속도가 빨라져 더 많은 산소가 필요했다는 것이다.
워싱턴대 연구진은 시뮬레이션 연구로 당시 수온과 산소 농도 사이의 관계를 분석했다. 시뮬레이션 결과, 화산 폭발로 인해 수온은 10~15ºC 오르는 것으로 나타났고, 바닷물에 녹아 있는 산소의 양은 80%로 줄었다.
연구진은 갑각류, 물고기, 조개 등 현존 해양생물 61종을 대상으로 산호량 감소의 영향을 확인했다. 그 결과 추운 바다에서 사는 생물이 가장 많은 피해를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커티스 도이치 워싱턴대 교수는 “열대 바다에 사는 생물은 이미 산소 부족에 적응한 상태여서 큰 영향을 받지 않았을 것”이라고 말했다.
해양 생물의 멸종 원인이 밝혀졌다고 해서 육상 생물에게 그대로 대입하기는 어려웠다. 육상 생물과 해양 생물의 대멸종 시기가 달랐기 때문이다. 미국 버클리 캘리포니아대(UC버클리) 연구진이 2020년 국제 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에 발표한 논문에 따르면 페름기 대멸종은 육지 생태계에서 먼저 일어났고, 해양 생물 멸종은 그로부터 수십만년 더 지나고 시작됐다.
참고자료
Science Advances, DOI : https://doi.org/10.1126/sciadv.abo6102
Science, DOI : https://doi.org/10.1126/science.aat1327
Nature communications, DOI : https://doi.org/10.1038/s41467-020-15243-7
- Copyright ⓒ 조선비즈 & Chosun.com -
Copyright © 조선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홍콩 부동산 침체 가속화?… 호화 주택 내던지는 부자들
- 계열사가 “불매 운동하자”… 성과급에 분열된 현대차그룹
- 삼성전자·SK하이닉스, 트럼프 2기에도 ‘손해보는 투자 안한다’… 전문가들 “정부도 美에 할
- [르포] 일원본동 "매물 없어요"… 재건축 추진·수서개발에 집주인들 '환호'
- 10兆 전기차 공장 지었는데… 현대차, 美 시장에 드리워진 ‘먹구름’
- [인터뷰] 전고체 날개 단 CIS “캐즘으로 시간 벌어… 소재·장비 ‘두 마리 토끼’ 잡는다”
- “美FDA 승인 받았는데 회사 꼼수에 주가 곤두박질”... 분노한 개미들, 최대주주된다
- [르포] “혈액 받고 제조, 36시간 안에 투여” 지씨셀 세포치료제 센터
- [과학영재교육 갈림길]④ 김성근 포스텍 총장 “문제풀이 숙련공 거부…370명 원석 뽑겠다”
- 비트코인 급등에 엘살바도르, 90% 수익 '대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