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株, '주주환원' 기대에 '방긋'…KRX지수 1위
KB(17.9%), 신한(15.3%), 하나(16.1%), 우리(7.8%) 급등
신한 자본비율 12% 초과분 주주환원 표명...배당금 2.6조
행동주의 펀드 얼라인 주주환원정책 캠페인 시작
[이데일리 노희준 기자] KB금융(105560)·신한지주(055550)·하나금융지주(086790)·우리금융지주(316140) 등 4대 금융지주가 연초 증시에서 활짝 웃었다. 주주환원이 확대될 것이라는 기대감이 고조되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다만, 금융당국이 어떤 입장을 취할지 지켜봐야 한다는 분석이 뒤따른다.
은행주에 연초 큰 훈풍이 푼 것은 은행 배당확대가 예상되는 움직임이 나왔기 때문이다. 신한지주는 먼저 지난 2일 경영포럼을 진행하고 자본비율 12% 초과분에 해당하는 자본 여력을 주주환원에 사용할 것을 표명했다. 주가순자산비율(PBR)이 0.4배 수준으로 낮은 저평가 요인을 부족한 주주환원 정책에서 찾은 것이다.
대신증권에 따르면, 2022년 3분기 말 신한지주의 보통주 자본비율(CET1)비율은 12.7%다. 단순계산으로 0.7%에 해당하는 자본여력을 배당에 사용하면 총 배당금은 2조6000억원에 이른다. 이는 주주환원율(‘배당총액+자사주 매입액’/당기순이익)로 환산하면 50%에 육박한다. 지난해 신한지주의 총 현물배당금은 1조500억원 수준으로 CET1의 0.39%에 해당한다.
박혜진 대신증권 연구원은 “회사가 목표로 하는 방향을 확인할 수 있다는 데 의의가 있다”며 “이같은 결정이 단기간에 그치지는 않을 것이고 향후 예측 가능한 배당정책을 지속한다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다만, 이런 결정이 당장 이뤄지는 것은 시기상조라는 지적이다. 당장 올해 경기 상황을 예측하기 쉽지 않은 데다 국제 자본규제인 바젤3 최종 단계가 적용되기 있기 때문이라는 이유에서다. 바젤3 최종단계가 적용되면 위험가중치가 세분화돼 건전성 규제가 깐깐해줘 배당 여력이 줄 수 있다.
국내 시중은행이 충족해야 하는 CET1 규제 비율은 10.5%다. 이 때문에 신한지주가 언급한 12%의 비율은 위기 상황 시 150bp가량의 여력을 확보하는 것인데, 이 여력 수준 역시 금융당국과 커뮤니케이션도 필요한 부분이라는 설명이다.
실제 이복현 금융감독원장도 지난해 말 기자들과 만나 “배당이건 자사주 매입이건 주주환원정책애 대한 의사결정은 이사회 통제를 받는 경영진 몫”이라면서도 “건전성을 책임지는 금융당국 입장에서는 지금처럼 변동성이 크고 어려운 시기에 다양한 스트레스 테스트 결과에 따라 금융기관이 혹여 큰 어려움이 있을 때 감내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배당이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전배승 이베스트투자증권 애널리스트는 “금융당국이 은행 배당의 자율성을 존중하겠다는 입장을 밝힌 바 있으나 경기침체 환경에서 대손부담 상승이 예상되는 현 국면에서 어느 정도 수준의 자율성을 부여할 것인지 지켜볼 필요가 있다”고 봤다.
이베스트투자증권 시뮬레이션에 따르면, 2022년 순이익 규모가 지속 유지되고 30%의 배당성향, 4.5%의 위험가중자산(대출금 등 자산 유형별 위험 수준을 고려한 자산) 증가율 가정시 신한지주와 KB금융, 하나금융가 보통주자본비율 12% 초과분을 모두 주주환원 재원으로 활용할 경우 3개사의 연간 평균 추가 주주환원 가능 규모는 약 1조7000원으로 추산된다. 이를 30% 배당성향과 합산하면 총 주주환원율은 65% 수준으로 해외은행과 유사하게 증가한다는 설명이다.
앞서 연초 행동주의 펀드 얼라인파트너스자산운용(얼라인)은 국내 금융지주를 대상으로 주주환원정책 도입을 위한 캠페인을 개시하기도 했다. 얼라인은 KB금융, 신한지주, 하나금융지주, 우리금융지주, JB금융지주, BNK금융지주, DGB금융지주 등 총 7곳을 대상으로 내달 9일까지 이사회 결의를 통해 자본배치정책과 중기 주주환원정책을 도입하고 공정 공시를 통해 공식 발표할 것을 요구했다.
얼라인은 “국내 은행의 자기자본이익률(ROE)은 평균 약 10%로, 주가수익비율(PER)이 약 3배로 저평가된 상황에서는 대출자산 성장에 추가 자본 1조원을 투입할 때 겨우 3000억(1조원×10%×3)에 불과한 가치가 주주에 귀속돼 비효율적인 자본배치 방식”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같은 금액을 주주에게 환원한다면 1조원 전체가 주주에게 귀속된다”며 “대출자산 성장보다는 배당이나 자사주 매입·소각으로 주주에게 환원하는 방안이 훨씬 효율적”이라고 강조했다.
노희준 (gurazip@edaily.co.kr)
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당신 땅이야? 안빼주면 그만", 국힘 구의원 입구주차 후 '당당'
- 초등학교 전교회장선거 교사가 조작 의혹…“고의행위 정황”
- "국민정서법으로 구속" 메시지, '당사자' 박희영은 "모르는 일"
- "오늘 풀려나죠?"..경찰관 때려도 웃었던 중학생들
- '침묵의 112 신고' 출동해보니… 입 모양으로 '살려달라' 울먹인 女
- 참사 후 휴대폰 바꾼 용산구청장…"제가 영악하지 못해서"
- [단독]'합격 번복' 양정고...면접 방식도 당일 일방 변경 논란
- 제대로 뿔난 김연경 "이런 팀 있을까..부끄럽다"
- "이기영 사이코패스 진단 불가"...이유는?
- 강민경, '가스레인지보다 못한 연봉' 논란에 식대 추가...사이다 댓글 폭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