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보료 ‘500만원-1년’ 이상 연체자… 카드-대출 막는다
이지운 기자 2023. 1. 6. 19:29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윤석열 정부가 건강보험료 '악성 체납자'를 겨냥한 대책을 내놨다.
올해 하반기(7~12월)부터 건강보험료를 '500만 원 이상 금액을 1년 이상' 연체한 지역 가입자는 '금융 채무 불이행자'로 등록될 전망이다.
6일 국민건강보험공단은 이르면 하반기부터 연간 500만 원 이상의 건보료를 1년 넘게 연체한 지역 가입자의 체납 정보를 분기에 한 번씩 한국신용정보원에 제공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윤석열 정부가 건강보험료 ‘악성 체납자‘를 겨냥한 대책을 내놨다. 올해 하반기(7~12월)부터 건강보험료를 ‘500만 원 이상 금액을 1년 이상‘ 연체한 지역 가입자는 ‘금융 채무 불이행자’로 등록될 전망이다. 지역 가입자는 직장 근로자와 공무원 등을 제외한 자영업자 등을 말한다.
6일 국민건강보험공단은 이르면 하반기부터 연간 500만 원 이상의 건보료를 1년 넘게 연체한 지역 가입자의 체납 정보를 분기에 한 번씩 한국신용정보원에 제공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금융 채무 불이행자로 등록되면 사실상 정상적인 경제 활동이 어려워진다. 신용카드 발급도 제한되고, 신규 대출도 사실상 받기 어렵다. 과거에는 ‘신용 불량자’라는 명칭을 사용했으나 2005년부터 ‘채무 불이행자’로 명칭이 바뀌었다.
건보공단은 지난해 8월 직장 가입자 건보료를 연체한 사업주를 금융 채무 불이행자로 등록하는 제도를 시행했다. 이 제도의 적용 대상이 자영업자 등 지역 가입자까지 확대되는 것이다.
공단 관계자는 “건보료를 낼 능력이 되는데도 납부하지 않는 가입자들이 이번 제도의 대상”이라며 “금융거래 불이익을 우려한 체납자가 밀린 보험료를 자진해서 납부하는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한편 건보공단은 1000만 원 이상의 보험료를 1년 이상 내지 않은 가입자를 ‘고액·상습 체납자’로 규정하고 매년 홈페이지를 통해 실명을 공개하고 있다. 1일 건보공단이 공개한 2022년 기준 고액·상습 체납자는 개인(지역가입자) 7137명, 법인(직장가입자) 2689명 등 총 9826명이다. 체납액이 13억3078만 원에 이르는 지역가입자도 있었다. 하지만 실명과 주소 등 신상정보 공개 외엔 적용할 수 있는 벌칙이 마땅치 않아 연체된 보험료를 갚지 않고 버티는 가입자가 적지 않았다.
6일 국민건강보험공단은 이르면 하반기부터 연간 500만 원 이상의 건보료를 1년 넘게 연체한 지역 가입자의 체납 정보를 분기에 한 번씩 한국신용정보원에 제공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금융 채무 불이행자로 등록되면 사실상 정상적인 경제 활동이 어려워진다. 신용카드 발급도 제한되고, 신규 대출도 사실상 받기 어렵다. 과거에는 ‘신용 불량자’라는 명칭을 사용했으나 2005년부터 ‘채무 불이행자’로 명칭이 바뀌었다.
건보공단은 지난해 8월 직장 가입자 건보료를 연체한 사업주를 금융 채무 불이행자로 등록하는 제도를 시행했다. 이 제도의 적용 대상이 자영업자 등 지역 가입자까지 확대되는 것이다.
공단 관계자는 “건보료를 낼 능력이 되는데도 납부하지 않는 가입자들이 이번 제도의 대상”이라며 “금융거래 불이익을 우려한 체납자가 밀린 보험료를 자진해서 납부하는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한편 건보공단은 1000만 원 이상의 보험료를 1년 이상 내지 않은 가입자를 ‘고액·상습 체납자’로 규정하고 매년 홈페이지를 통해 실명을 공개하고 있다. 1일 건보공단이 공개한 2022년 기준 고액·상습 체납자는 개인(지역가입자) 7137명, 법인(직장가입자) 2689명 등 총 9826명이다. 체납액이 13억3078만 원에 이르는 지역가입자도 있었다. 하지만 실명과 주소 등 신상정보 공개 외엔 적용할 수 있는 벌칙이 마땅치 않아 연체된 보험료를 갚지 않고 버티는 가입자가 적지 않았다.
이지운 기자 easy@donga.com
Copyright © 동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동아일보에서 직접 확인하세요. 해당 언론사로 이동합니다.
- 노년에 ‘이것’ 섭취했더니…골격근량↑ 체지방↓
- 이기영, 동거녀 시신 유기 장소 갔다…검찰에 유기방법 등 진술
- ‘술자리 가짜뉴스’ 더탐사, 슈퍼챗으로 月 7000만원 벌었다
- 檢, ‘정의연 후원금 유용’ 윤미향 의원에 징역 5년 구형
- 112 신고 후 침묵, 경찰 출동했더니 입모양으로 ‘살려달라’
- “용산 대통령실로 옮겨 이태원 참사 발생” 남영희, 불송치 결정
- 멕시코군, 시가지 총격전 끝에 마약왕 ‘엘 차포’ 아들 다시 체포
- “어디까지 내리나”…걸그룹, 로라이즈 패션 선정성 논란
- 이재명, 10일 오전 10시30분 檢출석…성남FC 의혹 관련
- ‘이태원 참사’ 박희영 용산구청장 “사퇴 결정할 단계 아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