뛰어오르는 코끼리 … 인도, 신차 구매도 日보다 많았다
소득 늘며 車보급률도 껑충
中보다 많은 최대 인구대국
GDP는 처음으로 영국 앞서
성장 잠재력에 기업들 몰려
인도자동차공업회에 따르면 인도 신차 판매 대수(출하 기준)는 지난해 1~11월 동안 약 413만대로, 아직 수치가 확인되지 않은 12월 판매 대수를 추가하면 425만대를 훌쩍 넘어설 것으로 보인다. 이는 지난해 중국(약 2680만대)과 미국(약 1370만대)에 이어 3번째로 많은 판매 규모다.
인도 자동차 시장의 판매량은 2018년 약 440만대까지 확대됐지만, 2019년 금융시장 불안에 이어 2020년 코로나 19 팬데믹 여파로 300만대 밑으로 까지 떨어졌다. 하지만 2021년 300만대 후반대까지 회복한데 이어, 올해 빠른 속도로 판매량을 늘리며 상승세를 이어갔다. 또한 영국 유로모니터에 따르면 인도의 가구당 자동차 보유율은 2021년 기준 8.5%에 불과해 향후 자동차 보급율이 급증할 여지가 큰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또한 인도 당국은 원유 수입에 의한 무역적자 완화를 위해 보조금 제도 등을 통한 전기차(EV)보급도 장려하기 시작한 것으로 알려졌다.
일본이 인도에 3위 내리를 내주게 된 것은 초고령화와 심각한 인구 감소 때문이다. 지난해 일본 시장의 신차 판매규모는 전년 대비 6% 감소했으며 1977년 이후 45년 만에 가장 작은 규모를 기록했다. 미국도 공급망 혼란으로 인한 반도체 부족 등으로 신차 판매량이 최근 10년래 최저 수준을 기록했다. 미국은 금리인상에 따른 수요 둔화로 올해도 코로나19 팬데믹 이전 수준의 판매량을 회복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
인도 자동차 시장 확대의 배경에는 빠른 인구 증가와 경제 성장이 자리한다. UN의 통계에 따르면 지난 2019년 인구 14억명을 돌파한 인도는 올해 세계 최대 인구 대국이 될 것이 확실시 되며, 2060년대 초까지 인구가 계속 늘어날 전망이다. 오랫동안 세계 최대 인구 대국 자리를 차지했던 중국은 저출산·고령화 여파로 올해 인도에 1위 자리를 내주게 됐다.
최근 인도 경제의 성장세는 뚜렷하다. 인도는 코로나19 팬데믹과 글로벌 금융위기때를 제외하면 꾸준히 6∼7%대 성장률을 보여왔다. 지난해 10월 국제통화기금(IMF)이 전망한 올해 인도의 국내총생산(GDP)성장률은 6.1%로 세계 전망치 평균(2.7%)과 신흥국 평균(3.7%)은 물론 중국(4.4%)보다 월등히 높다. IMF는 인도가 2025년에는 독일, 2027년에는 일본을 연이어 추월해 세계 3위 경제 대국에 오를 것으로 관측하고 있다.
인도는 제조업 생산 허브로서 각광을 받고 있다. 애플은 지난 9월부터 아이폰14 부품 일부를 인도로 들여와 조립하고 있으며 아이패드 제품 중 일부 생산을 중국에서 인도로 이전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
앞서 인도는 지난해 처음으로 식민지 모국이었던 영국을 제치고 GDP 규모에서 세계 5위를 차지했다. IMF에 따르면 지난해 인도의 명목 GDP 규모는 약 3조5350억 달러로 영국(약 3조3760억 달러)을 앞섰다. 인도 당국은 지난해 3분기 실질 GDP 증가율(6.3%)이 2분기(13.5%)에 이어 8분기 연속 플러스를 기록했다고 밝히기도 했다.
실질임금도 빠르게 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영국 컨설팅 회사 ECA인터내셔널에 따르면, 인도의 올해 실질 임금상승률은 4.6%로 추산돼 지난해(2.1%)를 크게 웃돌며 아시아 주요국 중 가장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 인도의 경제 성장은 빠르게 성장하는 내수시장이 뒷받침 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인도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2분기 기준 인도 내수 소비는 26%가량 급증했다.
지난해 인도는 증시도 견조한 성장세를 보였다. 니혼게이자이신문에 따르면 지난달 20일 기준 인도 뭄바이 센섹스(SENSEX)지수 상승률은 전년대비 5.9%로 중국은 물론 싱가포르, 베트남 등 다른 아시아 주요국들 보다 높았다. 블룸버그는 지난해 인도증시가 세계 3위 부호로 부상한 가우탐 아다니 회장이 이끄는 아다니 그룹의 주가 급등에 힘입어 높은 수익률을 올렸다고 분석했다.
다만 인도는 경제 격차 등 향후 과제도 적지 않은 것으로 분석된다. 인도의 인구 증가는 생산 연령인구 증가로 이어지며 경제성장에 혜택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이지만, 고용과 건강, 교육 기회 등 정부 지출과 복지에 있어서의 문제점도 거론되고 있다.
한편, 올해를 정점으로 인구가 줄어들 것으로 전망되는 중국은 더 이상 과거처럼 인구 보너스 효과를 기대할 수 없는 상황이다. 중국은 1980년대 후반 이래 경제성장에 있어 인구 보너스 효과를 누려온 것으로 평가돼 왔다. 하지만 지난해 세계경제포럼(WEF)은 “중국 인구가 60년전 대기근 이후 처음으로 감소할 것” 이라며 “중국 인구 급감은 경제에 큰 영향을 미칠 것이며 노동 가능 인구가 2100년에 현재의 3분의 1이하로 축소될 것”이라고 예측했다. 이어 “중국의 인구 감소는국제적 영향력이 인도 등으로 옮겨갈 가능성을 시사한다”고 분석했다.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침대도 있는데 모텔아냐?”…스킨십하러 룸카페 간다는 청소년 - 매일경제
- 영업이익 69% 급감에도 삼성전자매수 몰리는 이유는? [이종화의 세돌아이] - 매일경제
- “집 팔아서 투자했는데”…서학개미 테슬라 ‘눈물의 손절’ - 매일경제
- [단독] “범퍼 부품 씨가 말랐다”…사고 처리에 보험사 골머리
- 여자 화장실 훔쳐본 실리콘밸리 CEO…줄행랑치다 체포 - 매일경제
- 고모 vs 女조카 싸우나…김정은 갑자기 죽으면 후계자는? - 매일경제
- “주가 롤러코스터가 따로 없네”....천당과 지옥 오간 코인株 - 매일경제
- [속보] 검찰, ‘대장동 자금 은닉’ 김만배 소환…조사 재개 - 매일경제
- 당대표 출마 1억 내고 시작? 與전당대회 ‘돈선거’ 회귀하나 - 매일경제
- 스카우트 반문 “김혜성은 ML급 선수,KBO리그가 못알아 볼 뿐” - MK스포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