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제일제당·hy·마이셰프·프레시지…“커지는 밀키트시장 잡아라!”

김현주 2023. 1. 6. 15:56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지난해 밀키트시장 규모 약 3000억원
주요 밀키트 업체들 매출액도 호조세
껑충 뛴 외식비에 밀키트 제품이 주목받고 있다. 급등한 식재료를 일일이 구매해 요리를 하는데 드는 비용보다 저렴한 밀키트 제품을 사서 간편하게 끼니를 해결하는 이들이 증가하고 있기 때문이다.

과거에는 1인 가구를 중심으로 밀키트 구매율이 높았지만 최근에는 40~50대 중장년층의 밀키트 구매율도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다. 지난해 3000억원 규모로 성장한 밀키트 시장이 올해는 더욱 커질 수 있다는 예상이다.

6일 뉴시스와 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소비자물가지수는 102.50(2020년=100)으로 2020년 대비 5.1% 오른 것으로 집계됐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1월 3.6%, 2월 3.7% 3월 4.1%, 4월 4.8%, 5월 5.4%, 6월 6.0%, 7월 6.3%, 8월 5.7%, 9월 5.6%, 10월 5.7%, 11월 5.0% 등을 보였다.

국제 유가 안정세와 정부의 물가안정 대책 등이 효과를 내면서 7월 정점을 찍은 소비자물가는 점차 둔화 추세를 보이고 있지만 2008년 글로벌 금융 위기(4.7%) 시절보다도 물가 상승 폭은 크게 나타났다.

외식 물가는 더욱 가파른 상승세를 보였다. 지난해 외식 물가 상승률은 7.7%를 기록했다. 한국소비자원 참가격에 따르면 삼겹살·김밥·자장면·냉면 등 서울 지역에서 판매되고 있는 주요 외식 품목의 평균 가격은 지난해 5~14%의 상승했다.

12월 자장면 한 그릇 가격은 6569원으로 연초 대비 13.8% 상승했다. 삼겹살(200g 환산 기준)은 1만9031원으로 연초대비 12.0% 가격이 뛰었다. 김밥은 3100원으로 1월 2769원 대비 11.9% 가격이 올랐다.

이외에도 삼계탕(11.2%), 칼국수(9.8%), 비빔밥(7.9%), 냉면(7.8%), 김치찌개(5.9%) 등도 지난해 1월 대비 높은 가격 상승률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유명 맛집에서 판매하는 제품군의 경우 평균 이상의 상승률을 기록했다고 볼 수 있다.

외식 비용 상승하면서 소비자들은 외식 자체를 자제하는 분위기다. 대신 대체재로 가정간편식(HMR)이나 밀키트 구매를 늘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밀키트는 최근 장바구니 물가가 치솟으며 더 주목받고 있는 제품군으로 꼽힌다.

유로모니터에 따르면 국내 밀키트 시장 규모는 2021년 2587억원 규모에서 지난해 3363억원 수준까지 성장했다. 앞으로도 이 시장이 계속 성장세를 이어갈 것이란 게 유로모니터 관측이다.

실제 밀키트 구매율도 최근들어 급증하고 있다. 주요 밀키트 업체들은 지난해 매출액이 큰 폭의 증가세를 보였다고 최근 앞다퉈 발표했다. 늘어난 집밥 수요에 외식비 증가를 고려한 소비자들이 외식의 대체제로 밀키트를 찾은 셈이다.

hy의 지난해 밀키트 매출액은 전년 대비 22.3% 올랐다. 2020년 대비 50.7%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이셰프는 지난해연말 모임이 시작된 11월 홈파티용 밀키트 매출 비중이 전월 대비 약 50% 상승했다.

밀키트 주 구매층도 20~30세대에서 중장년층으로 확대되고 있다. 마이세프는 지난해 자사 밀키트를 구입한 고객 중 40~50대 중장년층 비중이 45%에 달한다고 밝혔다. 밀키트의 시장 침투율도 빠르게 늘어나 10% 이상으로 추정한다.

기업들도 밀키트 시장 점유율 확대 방안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

프레시지는 지난해 2위 업체인 테이스티나인과 인수합병(M&A) 계약을 체결, 향후 세분화된 제품으로 국내 시장을 공략하는 한편 해외 진출을 본격화한다는 계획이다.

자사몰 기준 200여개에 달하는 제품을 판매하는 마이셰프는 첨단 자동화 공장 구축에도 나선다. 이 공장을 가동하면 하루 3만~4만개인 생산물량을 평균 10만개까지 늘어난다. 국내 뿐 아니라 미국 시장 진출도 모색한다는 구상이다.

대기업들의 행보도 빨라지고 있다. CJ제일제당은 쿡킷을 앞세워 밀키트 시장을 적극 공략하고 있다. 지난해에는 쿡킷 냉동 제품을 출시하고 판매처를 전 경로로 확대했다. 유통기한이 짧은 냉장 제품 대신 냉동 시장 개척에 나선 것이다.

hy의 잇츠온은 화제성 향상에 집중하고 있다. 스타 레시피를 활용한 편스토랑이 대표적이다. 지난해 매출액 가운데 21.9%가 편스토랑 제품군에서 발생했다. 올해도 대중음식 리뉴얼을 중심으로 밀키트 카테고리를 확장한다는 계획이다.

김현주 기자 hjk@segye.com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