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직 검사 "집행유예, 직업범죄자·부유층에 면죄부…제도 손봐야"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우리나라 현행 집행유예 제도는 '국가의 책임 방기'라는 비판이 제기됐다.
4일 법조계에 따르면 서울중앙지검 공판2부 서강원(42·변시 1회) 검사는 최근 대검찰청 계간 논문집 '형사법의 신동향' 겨울호에 '우리나라 집행유예 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이라는 논문을 싣고 현행 제도의 한계를 지적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유죄 선고받고도 제재없이 복귀…당위성 인정 어려워"
[이데일리 이배운 기자] 우리나라 현행 집행유예 제도는 ‘국가의 책임 방기’라는 비판이 제기됐다.
서 검사는 형사사건 1심 집행유예 선고 비율이 2012년 21.1%에서 2020년 34.3%로 꾸준히 증가하는 점을 들어 벌금형보다 집행유예를 선호하는 형벌 부조화 현상이 생긴다고 지적했다. 형사처벌 경력이 별다른 의미가 없는 직업 범죄자나 부유층에게는 사실상 ‘면죄부’ 기능을 한다는 것이다.
이에 서 검사는 집행유예 제도 개선 방안으로 ‘미국식 집행유예’제도를 제시했다. 논문에 따르면 미국 연방법은 집행유예를 부수적 조치가 아닌 실형·벌금형과 같은 독립된 선고형으로 둔다. 집행유예를 선고할 때는 필수 준수사항 10개와 임의 준수사항 23개도 부여한다.
대표적으로 집행유예 기간에는 1년 이내의 간헐적 구금·준(準)가택연금 등을 통해 신체 자유를 제약할 수 있고, 집행유예 기간인 피고인은 재범 가능성이 높다고 봐 영장 없는 압수수색도 가능하도록 한다.
특히 폭력 등 일부 범죄에 대해 집행유예를 선고할 때는 피해자에 대한 배상을 의무화한다. 반면 한국은 피해자가 형사사건 배상명령을 직접 신청해야 하고, 그마저도 인용률이 3.7%에 그친다.
형사사건의 1심 집행유예 선고 비율이 30%(2020년)를 넘는 한국과 달리 2020년 미국 연방 형사사건 선고 결과에서 집행유예가 차지하는 비중은 7.7%에 불과하다.
서 검사는 “범죄자가 유죄를 선고받고도 최소한의 제재 없이 사회에 즉시 복귀할 수 있는 우리나라의 단순 집행유예 제도는 그 당위성을 인정하기 어렵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형사사건에서 피해 배상은 사적 영역이 아니라 국가의 공적 책임”이라며 △피해배상명령의 법원 직권화 △단순 집행유예 선고 지양 △일부 집행유예를 포함한 법관의 폭넓은 형종 선택권 보장 등을 개선 방안으로 제안했다.
이배운 (edulee@edaily.co.kr)
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단독]'불법촬영' 항소했다 구속…경찰대 출신 '고시3관왕', 징역 확정
- "친자가 아니란 걸 이혼 후에야 알게됐습니다"[사랑과전쟁]
- “15세때 누드촬영 강요” 올리비아 핫세, 6400억원 소송 걸었다
- '살인범이지만..' 가석방 회의서는 어떤 대화가
- 윤희근 경찰청장 “이태원 참사 때 술 마셨다, 주말 저녁인데…”
- 무면허 10대 몰던 차량 인도로 돌진…20대 보행자 사망
- 포승줄 묶인 이기영 "살해한 동거녀 땅에"..얼굴 가리기 급급
- 여고생에 ‘속옷 패션쇼’ 영상 보냈다가 잘린 교사… 결말은?
- '정후아빠' 이종범 LG 코치, 1군 주루·외야수비 코치로 이동
- 이기영 "마지막으로 진실 얘기하겠다"...왜 시신 유기장소 번복했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