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온빔 활용해 차세대 반도체 소재 실현…김윤석 성대 교수 `1월 과기인` 선정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연구재단은 이달의 과학기술인상 '1월 수상자'로 김윤석 성균관대 교수를 선정했다고 4일 밝혔다.
김 교수는 차세대 반도체 소재인 '하프늄옥사이드'의 강유전성 발현 원인을 밝히고, 이온빔을 이용해 강유전성을 높이는 기술을 개발해 반도체 소자 기술 경쟁력 강화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았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고효율 반도체 소자 실용화 기여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연구재단은 이달의 과학기술인상 '1월 수상자'로 김윤석 성균관대 교수를 선정했다고 4일 밝혔다.
김 교수는 차세대 반도체 소재인 '하프늄옥사이드'의 강유전성 발현 원인을 밝히고, 이온빔을 이용해 강유전성을 높이는 기술을 개발해 반도체 소자 기술 경쟁력 강화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았다.
강유전성은 외부 전기자장 등에 의해 물체의 일부가 양극이나 음극을 띄게된 후 그 극성을 유지하는 성질을 의미한다.
강유전성이 큰 반도체 소재는 메모리에서 데이터를 저장하는 기본구조인 '0'과 '1'의 차이가 커져 저장된 데이터를 보다 정확하게 읽을 수 있다. 이 때문에 나노미터 크기 수준의 얇은 막에서도 우수한 강유전성을 가진 하프늄옥사이드는 메모리, 트랜지스터 등 기존 산화물을 대체할 차세대 반도체 소재로 주목받고 있다.
하지만 최근까지 하프늄옥사이드의 강유전성 발현 원인이 밝혀지지 않았으며, 강유전성 증대를 위해 복잡한 후처리 공정이 필요해 실제 반도체 소자의 초고집적화 실현에 어려움이 있었다.
김 교수 연구팀은 이온빔으로 산소결함을 정량적으로 조절해 하프늄옥사이드의 강유전성을 높이는 방법을 개발하는 등 복잡한 공정과 후처리 과정 없이 이온빔 조사밀도 조절만으로 강유전성을 강화했다. 아울러 강유전성 증가 원인이 산소결함 밀도와 연계된 결정구조 변화에서 생긴다는 원리도 밝혀냈다.
이 연구성과는 지난해 5월 국제 학술지 '사이언스'에 실렸다.
감윤석 교수는 "앞으로 강유전성을 활용한 고효율 반도체 소자의 실용화를 앞당기기 위한 연구를 이어가겠다"고 말했다. 이준기기자 bongchu@dt.co.kr
Copyright © 디지털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尹 많이 어렵다’ 호소한 김건희 여사…추켜세운 조수진 “‘정치 감각’ 상당해”
- 종잇조각 된 테슬라…76m 절벽아래 추락 탑승자 4명 기적 생존
- ‘청담동 술자리’ 제보자 폭탄발언 “구속될 각오로 얘기한다…첼리스트와 법적다툼”
- 인천공항 온 중국인, 확진 후 달아나…경찰 추적
- 여고생에게 속옷패션쇼 영상 보낸 교사…법원 "음란물 아냐, 직위해제 위법"
- [트럼프 2기 시동] `행정부 충성파로 신속 구성한다"
- 온누리상품권 부정유통 13곳 적발… 중기부 "매월 현장조사"
- 공수 뒤바뀐 여야… 국힘, 1심 선고 앞두고 `이재명 때리기` 집중
- `이사회 2.0` 도입 제시… 최태원 "사후성·평가로 역할 확대"
- 몬스테라 분갈이 네이버에 검색하니 요약에 출처까지… "`AI 브리핑` 검색 길잡이 될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