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시대착오적 노인기준 연령...언제까지 그대로 둘 건가

2023. 1. 4. 05:0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노인인구 증가 속도가 세계 최고를 달리는 가운데 노인연령 상향 조정의 필요성을 뒷받침하는 자료가 잇따라 공개됐다.

국민연금연구원이 지난해 8월 1~23일 전국 50세 이상 4024가구를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가 첫 번째다.

한편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민간자문위원회는 국민연금 수급시기를 2033년부터 연차적으로 65세보다 더 늦추고 의무납입 연령도 조정하는 초안을 그제 확정했다.

노인연령 기준은 대한노인회도 2015년 상향 조정을 제안한 바 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노인인구 증가 속도가 세계 최고를 달리는 가운데 노인연령 상향 조정의 필요성을 뒷받침하는 자료가 잇따라 공개됐다. 국민연금연구원이 지난해 8월 1~23일 전국 50세 이상 4024가구를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가 첫 번째다. 조사에 따르면 응답자들이 노인이라고 생각하는 나이는 69.4세로 관련 법률상의 기준(65세)을 크게 웃돌았다. 2017년 한국노인인력개발원 조사의 기준 연령(평균 68.9세)보다 0.5세 높았다. 한편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민간자문위원회는 국민연금 수급시기를 2033년부터 연차적으로 65세보다 더 늦추고 의무납입 연령도 조정하는 초안을 그제 확정했다.

두 자료는 법 규정이 국민 생각과 급변한 경제 현실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고 있음을 그대로 보여준다. 1981년 노인복지법 제정 당시 65세 이상 인구는 전체의 3%선에 불과했다. 하지만 한국은 2018년 14.3%로 이미 고령사회에 진입한 데 이어 2026년이면 20%를 넘을 것으로 보인다. 초고령사회 문턱을 넘어 노인인구 1000만명대 시대를 맞는다는 계산이다. 66.1세였던 평균수명이 2021년 83.6세까지 늘어난 탓에 수백만명이 노인인구로 추가 편입되는 것이다.

연금수급 시기 및 의무납입 연령 조정안은 재정 고갈을 막기 위해 짜낸 선택이다. 그러나 정년 연장과 고령자 취업 기회 확대 등 보완 대책이 잘 따라 준다면 노동력 부족과 노인인구의 급속한 증가를 억제할 묘수가 될 수 있다. 통계청은 향후 20년간(2020~2040년)생산연령인구(15~64세)가 약 900만명 줄고 반대로 노인인구는 900만명이 늘 것으로 내다본 상태다. 노인연령 기준을 바꾸고 고령자들의 일할 자리를 넓혀 준다면 연금 재정은 물론 국가 재정부담 완화에도 큰 효과를 낼 게 분명하다.

노인인구 급증에 따른 사회적 비용 증가 및 중앙 정부와 지자체 간 마찰은 하나둘이 아니다. 기초연금은 물론 각종 경로우대 혜택을 포함하면 재정 부담도 눈덩이처럼 커진다. 미래를 짊어질 청년 세대와 노인 세대 간 갈등을 키울 수도 있다. 노인연령 기준은 대한노인회도 2015년 상향 조정을 제안한 바 있다. 정부는 문제의 심각성을 외면하지 말고 기준 변경 논의에 적극 나서기 바란다.

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