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다가 벌떡… 아동기 ‘몽유병’은 저절로 사라져
이진한 의학전문기자·의사 2023. 1. 4. 03:07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잠을 자는 동안 의식하지 못한 채 걸어 다니는 수면보행증은 주로 아동기에 나타나는 수면장애 질환이다.
아동기 수면보행증은 자라면서 자연스럽게 호전되는 경우가 많다.
만약 성인기까지 수면보행증이 호전 없이 지속되거나, 성인기에 갑자기 시작된다면 다른 수면 질환으로 인해 유발된 것일 수 있다.
아동기에 나타난 수면보행증은 대부분 시간이 지나면서 자연스럽게 사라지기 때문에 특별한 치료가 필요하지 않다.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수면보행증 오해와 진실
잠을 자는 동안 의식하지 못한 채 걸어 다니는 수면보행증은 주로 아동기에 나타나는 수면장애 질환이다. 흔히 ‘몽유병’이라 불린다. 아동기 수면보행증은 자라면서 자연스럽게 호전되는 경우가 많다.
만약 성인기까지 수면보행증이 호전 없이 지속되거나, 성인기에 갑자기 시작된다면 다른 수면 질환으로 인해 유발된 것일 수 있다. 수면보행증이 아닌 다른 수면 질환을 오인한 것이 아닌지 검사를 통한 정확한 진단이 필요하다.
수면보행증의 핵심 증상은 수면 중 몽롱한 상태에서 일어나 걷거나 달리는 것이다. 이때 부적절하게 흥분하거나 폭력적인 행동을 할 수도 있다. 돌아다니면서 말은 할 수 있으나 다소 느리고 둔해 보인다. 물체에 부딪히거나 넘어져 다칠 위험도 있다. 증상이 있는 동안은 시간과 장소를 인지할 수 없고 잠에서 깨면 증상을 전혀 기억하지 못하는 것이 특징이다.
수면보행증의 발생 원인은 정확히 알려지지 않았지만, 가족력이 있는 경우가 많다. 유전적인 요인이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수면 부족이나 스트레스, 낯선 환경에서의 수면, 발열 등이 수면보행증을 악화시키는 요인이 될 수 있다. 성인에서는 수면무호흡증이 수면보행증을 유발 및 악화시킬 수 있다. 수면보행증과 함께 코를 곯거나 낮 동안 졸린 증상이 있을 때, 특히 비만·고혈압·당뇨병 등 성인병이 동반된 경우라면 수면다원검사를 통해 반드시 수면무호흡증의 유무와 정도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수면보행증은 수면 중 꿈의 내용을 말과 행동으로 옮기는 ‘렘수면행동장애’와 혼동될 수 있다. 두 질환의 감별 역시 수면다원검사로 가능하다. 렘수면행동장애는 렘수면(꿈꾸는 수면) 때 발생하는 반면, 수면보행증은 비렘수면 중 뇌파가 느린 서파수면 단계에서 시작된다.
문혜진 순천향대 부천병원 신경과 교수는 “수면보행증은 서파수면이 길게 나타나는 수면의 전반부(깊은 밤)에 증상이 나타나는 경향이 있고 렘수면행동장애는 렘수면이 자주, 길게 나타나는 수면의 후반부(새벽녘)에 잘 나타난다”며 “수면보행증은 다음 날 대부분 기억하지 못하나, 렘수면행동장애는 꿈의 내용을 종종 기억하기도 한다”고 말했다.
아동기에 나타난 수면보행증은 대부분 시간이 지나면서 자연스럽게 사라지기 때문에 특별한 치료가 필요하지 않다. 규칙적이고 충분한 수면시간 확보, 낮잠 피하기, 어둡고 조용한 수면 환경 조성 등 일반적인 수면 위생을 지키는 것이 중요하다. 증상이 너무 잦아 수면을 방해할 경우에는 약물치료를 시도해볼 수 있다. 매일 일정한 시간에 증상이 나타나면 예상되는 시간대에 알람을 설정해 잠깐 깨웠다가 다시 재우는 방법도 활용해볼 수 있다.
증상이 심한 경우 부딪히거나 넘어져 다칠 수 있으므로 다치지 않도록 안전한 수면 환경을 조성해주는 것이 중요하다. 낮은 침대를 사용하고, 침대 주위에 깨질 만한 물건이나 위험한 물건은 치워두는 것이 좋다.
문 교수는 “수면보행증이 있는 소아청소년에게 우울증,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ADHD) 등 정신건강의학과 질환이 동반되거나 발달과 성장에 문제가 있다는 오해가 있는데, 이에 대한 근거는 매우 희박하다”면서 “다만 특별한 이유 없이 수면보행증이 지속되면 수면 부족이나 심리적 스트레스 등 악화시키는 요인이 있는지, 다른 수면 질환이 동반된 것은 아닌지 주의 깊게 살펴볼 필요가 있다”고 당부했다.
만약 성인기까지 수면보행증이 호전 없이 지속되거나, 성인기에 갑자기 시작된다면 다른 수면 질환으로 인해 유발된 것일 수 있다. 수면보행증이 아닌 다른 수면 질환을 오인한 것이 아닌지 검사를 통한 정확한 진단이 필요하다.
수면보행증의 핵심 증상은 수면 중 몽롱한 상태에서 일어나 걷거나 달리는 것이다. 이때 부적절하게 흥분하거나 폭력적인 행동을 할 수도 있다. 돌아다니면서 말은 할 수 있으나 다소 느리고 둔해 보인다. 물체에 부딪히거나 넘어져 다칠 위험도 있다. 증상이 있는 동안은 시간과 장소를 인지할 수 없고 잠에서 깨면 증상을 전혀 기억하지 못하는 것이 특징이다.
수면보행증의 발생 원인은 정확히 알려지지 않았지만, 가족력이 있는 경우가 많다. 유전적인 요인이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수면 부족이나 스트레스, 낯선 환경에서의 수면, 발열 등이 수면보행증을 악화시키는 요인이 될 수 있다. 성인에서는 수면무호흡증이 수면보행증을 유발 및 악화시킬 수 있다. 수면보행증과 함께 코를 곯거나 낮 동안 졸린 증상이 있을 때, 특히 비만·고혈압·당뇨병 등 성인병이 동반된 경우라면 수면다원검사를 통해 반드시 수면무호흡증의 유무와 정도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수면보행증은 수면 중 꿈의 내용을 말과 행동으로 옮기는 ‘렘수면행동장애’와 혼동될 수 있다. 두 질환의 감별 역시 수면다원검사로 가능하다. 렘수면행동장애는 렘수면(꿈꾸는 수면) 때 발생하는 반면, 수면보행증은 비렘수면 중 뇌파가 느린 서파수면 단계에서 시작된다.
문혜진 순천향대 부천병원 신경과 교수는 “수면보행증은 서파수면이 길게 나타나는 수면의 전반부(깊은 밤)에 증상이 나타나는 경향이 있고 렘수면행동장애는 렘수면이 자주, 길게 나타나는 수면의 후반부(새벽녘)에 잘 나타난다”며 “수면보행증은 다음 날 대부분 기억하지 못하나, 렘수면행동장애는 꿈의 내용을 종종 기억하기도 한다”고 말했다.
아동기에 나타난 수면보행증은 대부분 시간이 지나면서 자연스럽게 사라지기 때문에 특별한 치료가 필요하지 않다. 규칙적이고 충분한 수면시간 확보, 낮잠 피하기, 어둡고 조용한 수면 환경 조성 등 일반적인 수면 위생을 지키는 것이 중요하다. 증상이 너무 잦아 수면을 방해할 경우에는 약물치료를 시도해볼 수 있다. 매일 일정한 시간에 증상이 나타나면 예상되는 시간대에 알람을 설정해 잠깐 깨웠다가 다시 재우는 방법도 활용해볼 수 있다.
증상이 심한 경우 부딪히거나 넘어져 다칠 수 있으므로 다치지 않도록 안전한 수면 환경을 조성해주는 것이 중요하다. 낮은 침대를 사용하고, 침대 주위에 깨질 만한 물건이나 위험한 물건은 치워두는 것이 좋다.
문 교수는 “수면보행증이 있는 소아청소년에게 우울증,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ADHD) 등 정신건강의학과 질환이 동반되거나 발달과 성장에 문제가 있다는 오해가 있는데, 이에 대한 근거는 매우 희박하다”면서 “다만 특별한 이유 없이 수면보행증이 지속되면 수면 부족이나 심리적 스트레스 등 악화시키는 요인이 있는지, 다른 수면 질환이 동반된 것은 아닌지 주의 깊게 살펴볼 필요가 있다”고 당부했다.
이진한 의학전문기자·의사 likeday@donga.com
Copyright © 동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동아일보에서 직접 확인하세요. 해당 언론사로 이동합니다.
- 文 “전 정부서 무인기 대응 시스템 갖춰”…軍 “2010년대 초부터 도입”
- 부동산 규제 대거 해제… ‘투기 부활’ 막을 안전판은 남겨야[사설]
- 한미 ‘공동 核 연습’ 혼선… 성급한 기대보다 탄탄한 논의를[사설]
- ‘더 내고 더 받는’ 연금개혁, 미래세대 동의 필요하다[사설]
- “안타깝지만 원고가 졌습니다”[횡설수설/장택동]
- 尹 “당분간 개각은 없다”… 이상민 유임 가능성 높아져
- 檢, “은닉 범죄수익은 김만배 생명줄” 진술 확보
- 코로나에 수도·가스비까지 올라… 사라져가는 동네 목욕탕
- 中 입국자 관리 시스템 먹통…“PCR 검사 안내도 못해”
- 한국노총 사무총장, 아들 등 12명 부정채용 혐의로 고발 당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