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빠의 낙하산[왕은철의 스토리와 치유]〈276〉
왕은철 문학평론가·전북대 석좌교수 2023. 1. 4. 03:03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세월이 흐르고 나이가 들어서야 깨닫게 되는 것들이 있다.
그런데 부서진 것들로 어떻게 낙하산을 만들까.
부서진 것들로 낙하산을 만들었다는 말은 그런 뜻이다.
아빠의 손을 꼭 잡은 엄마에게 친구 엄마는 흰머리가 하나도 없다고 말하는 철없는 아이들이 그러한 비유를 이해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세월이 흐르고 나이가 들어서야 깨닫게 되는 것들이 있다. 시인이자 반전(反戰)운동가인 윌리엄 스태퍼드의 ‘아무 때나(Any Time)’는 그런 주제를 다룬 시다.
부모는 아이들을 데리고 아이다호의 선밸리, 소투스로 여행을 간다. 그들의 눈앞에 아름다운 자연경관이 펼쳐진다. 그 모습을 보고 있자니 가슴이 벅차다. 아이들은 경치보다는 흰머리가 나기 시작한 엄마가 아빠의 손을 잡은 모습이 더 흥미로운 모양이다. “수지네 엄마는 흰머리가 안 났어요.” 그 말에 낭만적인 분위기가 깨진다. 아이들은 아빠의 손을 잡고 있던 엄마에게 했던 말을 먼 훗날 나이가 들어서야 떠올리며 미안해할지 모른다. 그들도 때가 되면 엄마처럼 새치가 나기 시작할 것이다. 아직 모를 뿐.
그들이 이번에는 아빠에게 말한다. “아빠가 가진 최고의 비밀 하나를 얘기해 주세요.” 이런 답변이 돌아온다. “나는 부서진 것들을 갖고 낙하산을 만들었단다. 나의 상처는 나의 방패야.” 낙하산은 공중에서 떨어지는 속도를 늦춰 안전하게 땅에 안착하게 해주는 장치다. 그런데 부서진 것들로 어떻게 낙하산을 만들까. 어느 누가 그렇지 않으랴만 아이들의 아빠도 살면서 많은 상처를 입었다. 그러나 그것 때문에 망가지지도 않았고 부서지지도 않았다. 오히려 그를 휘청거리게 만드는 아픈 상처들로 인해 더 강해지고 더 의미 있는 삶을 살 수 있었다. 부서진 것들로 낙하산을 만들었다는 말은 그런 뜻이다. 마음먹기에 따라서 아무 때나 어디로든 타고 내려갈 수 있는 낙하산이 되는 상처의 역설. 아빠의 손을 꼭 잡은 엄마에게 친구 엄마는 흰머리가 하나도 없다고 말하는 철없는 아이들이 그러한 비유를 이해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그러나 그들도 세상을 살다 보면 언젠가 그 말의 속뜻을 깨닫게 될지 모른다. 이렇듯 뒤돌아봐야 가슴에 와닿는 것들이 있다. 낙하산의 비유처럼. 그리고 엄마의 새치처럼.
의미화는 늘 그렇게 뒤에 이뤄진다. 의미의 지연이랄까.
부모는 아이들을 데리고 아이다호의 선밸리, 소투스로 여행을 간다. 그들의 눈앞에 아름다운 자연경관이 펼쳐진다. 그 모습을 보고 있자니 가슴이 벅차다. 아이들은 경치보다는 흰머리가 나기 시작한 엄마가 아빠의 손을 잡은 모습이 더 흥미로운 모양이다. “수지네 엄마는 흰머리가 안 났어요.” 그 말에 낭만적인 분위기가 깨진다. 아이들은 아빠의 손을 잡고 있던 엄마에게 했던 말을 먼 훗날 나이가 들어서야 떠올리며 미안해할지 모른다. 그들도 때가 되면 엄마처럼 새치가 나기 시작할 것이다. 아직 모를 뿐.
그들이 이번에는 아빠에게 말한다. “아빠가 가진 최고의 비밀 하나를 얘기해 주세요.” 이런 답변이 돌아온다. “나는 부서진 것들을 갖고 낙하산을 만들었단다. 나의 상처는 나의 방패야.” 낙하산은 공중에서 떨어지는 속도를 늦춰 안전하게 땅에 안착하게 해주는 장치다. 그런데 부서진 것들로 어떻게 낙하산을 만들까. 어느 누가 그렇지 않으랴만 아이들의 아빠도 살면서 많은 상처를 입었다. 그러나 그것 때문에 망가지지도 않았고 부서지지도 않았다. 오히려 그를 휘청거리게 만드는 아픈 상처들로 인해 더 강해지고 더 의미 있는 삶을 살 수 있었다. 부서진 것들로 낙하산을 만들었다는 말은 그런 뜻이다. 마음먹기에 따라서 아무 때나 어디로든 타고 내려갈 수 있는 낙하산이 되는 상처의 역설. 아빠의 손을 꼭 잡은 엄마에게 친구 엄마는 흰머리가 하나도 없다고 말하는 철없는 아이들이 그러한 비유를 이해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그러나 그들도 세상을 살다 보면 언젠가 그 말의 속뜻을 깨닫게 될지 모른다. 이렇듯 뒤돌아봐야 가슴에 와닿는 것들이 있다. 낙하산의 비유처럼. 그리고 엄마의 새치처럼.
의미화는 늘 그렇게 뒤에 이뤄진다. 의미의 지연이랄까.
왕은철 문학평론가·전북대 석좌교수
Copyright © 동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동아일보에서 직접 확인하세요. 해당 언론사로 이동합니다.
- 文 “전 정부서 무인기 대응 시스템 갖춰”…軍 “2010년대 초부터 도입”
- 부동산 규제 대거 해제… ‘투기 부활’ 막을 안전판은 남겨야[사설]
- 한미 ‘공동 核 연습’ 혼선… 성급한 기대보다 탄탄한 논의를[사설]
- ‘더 내고 더 받는’ 연금개혁, 미래세대 동의 필요하다[사설]
- “안타깝지만 원고가 졌습니다”[횡설수설/장택동]
- 尹 “당분간 개각은 없다”… 이상민 유임 가능성 높아져
- 檢, “은닉 범죄수익은 김만배 생명줄” 진술 확보
- 코로나에 수도·가스비까지 올라… 사라져가는 동네 목욕탕
- 中 입국자 관리 시스템 먹통…“PCR 검사 안내도 못해”
- 한국노총 사무총장, 아들 등 12명 부정채용 혐의로 고발 당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