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출향인사 절반이 제2 도시가 아니라는 부산의 현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국제신문 신년 설문조사에서 부산을 '대한민국 제2 도시'로 생각하는 부산 울산 경남(PK) 출향인사가 절반에 그쳤다.
통계청의 '2017~2047년 장래인구특별추계'에 따르면 인구수가 2034년에는 부산 303만2000명, 인천 304만7000명으로 역전돼 제2 도시라는 지위를 뺏길 것으로 예상된다.
결국 부산이 제2 도시 위상을 유지하려면 기업 유치와 인재 유출을 막을 방안을 마련하고 실행해야 하는 것이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국제신문 신년 설문조사에서 부산을 ‘대한민국 제2 도시’로 생각하는 부산 울산 경남(PK) 출향인사가 절반에 그쳤다. 인천에 그 위상을 빼앗길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하는 출향인이 많은 것이다. 이는 본지가 지난 한 달간 출향인 중 오피니언 리더 그룹 41명을 대상으로 ‘PK 미래, 출향인에게 듣는다’를 주제로 설문조사를 진행한 결과다. 이들 중 54%만이 부산을 제2 도시로 생각했다. 46%는 인천이 부산을 추월했거나 부산과 인천의 위상이 비슷해졌다고 판단했다. 부산 시민이 느끼는 지역 위상보다 더 객관적이고 냉정하게 볼 수 있는 이들이 생각하는 것이라 우리가 처한 현실을 다시 확인시켜준다. 부산의 위상 추락 원인은 좋은 일자리 부족이라고 입을 모았다.
출향인 대부분은 부울경과 수도권의 격차가 더욱 벌어지고 있다고 생각했다. 관련 질문에 39%는 매우 벌어졌다, 59%는 그렇다고 응답해 98%가 격차를 인정한 것이다. 이의 원인(중복 선택)을 살펴보면 신산업 부재(50%) 지역인재 유출(50%) 수도권 중심 국가정책(47%) 대기업 부재(30%) 등이었다. 결국 기업이 수도권에 집중화하면서 지역에서 먹고 사는 일이 어려워졌다는 풀이가 가능하다. 반도체 바이오 등 신산업으로의 전환이 늦었고 수도권 중심 정책으로 부울경의 경제가 휘청거리고 있는 것이다.
부산의 위기는 어제오늘 일이 아니다. 통계청의 ‘2017~2047년 장래인구특별추계’에 따르면 인구수가 2034년에는 부산 303만2000명, 인천 304만7000명으로 역전돼 제2 도시라는 지위를 뺏길 것으로 예상된다. 부산 인구가 계속 줄어드는 것은 기업과 양질의 일자리가 없기 때문이다. 부산상공회의소에 따르면 부산기업은 2021년 매출액 기준 전국 100대 기업에 단 한 곳도 없었고, 매출액 1000대 기업에도 27곳만 포함됐다. 결국 부산이 제2 도시 위상을 유지하려면 기업 유치와 인재 유출을 막을 방안을 마련하고 실행해야 하는 것이다. 이와 함께 망국적 수도권 중심주의 정책을 타파해야 한다. 이를 위해선 지역 균형발전을 위한 정부 차원의 대책이 선행돼야 한다. 출향인이 격차 해소를 위해서는 중앙정부의 균형발전 정책 대전환(59%)이 필요하다고 지적하는 이유다. 이들의 조언대로 지역 자체 역량 강화(43%)도 필요하다. 부산시는 조선산업 강화, 해양수산업 육성 고도화 등 산업 재편과 특화 전략 수립에 힘써야 할 것이다.
부산을 획기적으로 바꿀 기회는 역시 2030세계박람회(엑스포) 유치에서 찾을 수 있다. 출향인 10명 중 6명은 부산이 엑스포를 유치할 가능성이 크다고 판단했다니 고무적이다. 유치에 성공하면 61조 원의 경제 효과와 함께 50만 개의 새로운 일자리를 창출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부산으로서는 사활을 걸 수 밖에 없다. 부산시는 출향인사들의 의견에 귀를 기울여 엑스포 유치에 힘을 더 쏟고 지역 경제 활성화를 위한 대책에도 빈틈이 없어야 하겠다.
Copyright © 국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