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자들 고금리 맞설 때…고수는 금리하락 ‘큰그림’ 그린다
하반기 국내외 금리 인상 속도가 완화될 경우 주식 등 위험자산 비중을 높이는 전략이 유효할 것으로 보인다. 다만 부동산의 경우 올해 서울을 포함한 수도권 아파트 가격까지 하락할 것으로 예상돼 작년에 이어 부진한 모습을 이어갈 것으로 전망된다.
일단 올해 부동산 시장은 지난해 하반기와 마찬가지로 침체가 지속될 전망이다. 부동산 시장 열기가 식으면서 전문가들은 부동산 시장 자산보다는 예금에 현금이 몰릴 것으로 내다봤다.
매일경제신문이 국내 부동산 전문가 52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2023년 부동산 시장 전망’ 설문조사에 따르면 대다수 전문가들이 은행 예금을 투자처로 주목했다. ‘자산시장에서 돈의 흐름이 몰릴 곳(중복 허용)’을 묻는 질문에 47명의 전문가가 ‘예금’을 꼽았다.
부동산 시장 침체 전망 역시 예금으로 돈이 몰릴 것이라는 관측에 힘을 실어주고 있다. 이번 설문조사에서 ‘올해 서울을 포함한 수도권 아파트 가격 전망’을 묻는 질문에 92.3%(48명)가 ‘하락할 것’이라고 답했다. 47명 가운데 절반이 넘는 27명이 ‘5~10% 하락’이라고 내다보는 등 올해 부동산 시장은 거래 한파가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김기원 리치고 대표는 “올해는 IMF 금융위기 이후 부동산 시장 최악의 한 해가 될 가능성이 높다”고 밝혔다.
부동산 상품 중에서는 경매 물건이 주목받고 있다. ‘투자자들에게 추천할 부동산 상품(중복 허용)’을 묻는 질문에 경매 물건이 53.8%(28명)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매매 시장과 달리 경매는 시세를 반영한 매물이 나오기까지 6개월 가량의 시차가 존재해 우량 매물이 경매시장에 나오려면 아직 시간이 필요하다. 고금리 부담에 ‘영끌족’이 사들인 부동산 물건이 임의경매 등 경매 시장으로 내몰리고 있는만큼 경매 시장에 대한 관심은 부동산 침체기에도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전문가들이 보는 금리하락 시점은 빨라도 하반기다. 공격적 투자자라면 상반기에 현금흐름이 좋고 배당이 굳건한 기업, 고성장 기업을 골라 소액 분산투자를 시작해볼 만 하다. 이후 금리 인하 기조가 확인되고 경기 회복세가 보인다면 위험자산 비중을 늘리는 전략이다.
김경선 신한은행 신한PWM분당센터 지점장은 “시장의 변화를 보면서 미국 중앙은행과 함께 속도를 조절하는 투자가 바람직하다. 변화가 확인된다면 위험 자산 비중을 50%에서 70%까지로 늘리는 게 좋다”고 추천했다. 미국과 국내 지수에 투자할 경우 기대 수익률은 10% 수준이었다. 유망 업종으로는 필수소비재, 헬스케어, 유틸리티가 주로 꼽혔다. 전기차, 반도체, 증권 업종 추천도 있었다.
그 어느 때보다 분산투자 원칙을 지켜야 한다는 점은 명심해야 한다. 시장 변동성이 큰 시기인 만큼 투자자산 분할 매수도 더 잘게 나누어 접근하는 것이 좋다. 예를 들어 100만원을 투자할 때 예전에는 ‘30/30/40’ 이런 식으로 나눴다면, 올해는 10만원씩 10번에 나눠 사라는 의미다. 상반기와 하반기 사이의 자산 리밸런싱도 중요하다. 채권과 주식비율로 말하자면 상반기에서 하반기로 가면서 7대 3, 6대 4, 5대 5, 4대 6처럼 주식비중을 늘려가기를 추천했다.
올해 코스피 전망에 대해 증시 전문가들은 1분기 바닥을 친 후 2~3분기에 반등하는 ‘상저하고’ 흐름을 나타낼 것이라는 분석을 내놓고 있다. 매일경제가 국내 주요 증권사 7곳(NH투자증권·미래에셋증권·삼성증권·신한투자증권·하나증권·메리츠증권·키움증권) 리서치센터장을 대상으로 올해 증시 전망을 집계한 결과 주요 증권사들은 올해 코스피 예상 등락 범위로 2060~2620을 제시했다.
연초 주식시장은 글로벌 경기침체, 인플레이션, 조만간 발표될 작년 4분기 실적 부담 등의 이유로 하락할 것으로 보인다. 주식시장 반등은 미국 금리 인상 이슈가 가라앉으면서 한국의 금리 인상 사이클이 끝나는 1분기 후반이 될 것으로 예상했다. 특히 대표 업종인 반도체의 경우 하반기부터 수요 부진에서 벗어나 반등을 시작하며 주식시장 상승세를 견인할 것으로 기대받고 있다. 메모리 반도체 업황 주기가 2분기에 저점을 찍고 3분기부터 개선될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선(先) 채권, 후(後) 주식’ 순서로 가격이 회복될 것으로 전문가들은 예측했다.
연초에는 실질 금리 상승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은 채권 가격이 먼저 회복되고, 이후 금리가 하락하면 주식의 기대수익률이 더 높아질 것으로 내다봤다. 국가 정책 수혜를 받을 것으로 예상되는 2차전지, 반도체, 원전 등 업종과 기업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주요 증권사들은 올해 증시 흐름과 관련한 불안 요소로 경기침체에 따른 기업 실적 악화를 꼽았다. 올해 코스피 상장사의 영업이익 전망치는 154조852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93%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하반기 금리 인상 완화에 따른 저가 매수 위주의 반등세가 발생한다고 해도 실제 기업 실적이 뒷받침되지 않으면 반등세는 오래 지속되지 못할 것으로 우려받고 있다.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강남 스와핑클럽’ 남녀 26명... “자발적 성관계, 처벌 어렵다” - 매일경제
- 11일 연속 상한가…보름만에 16배 폭등한 종목의 정체는 - 매일경제
- [속보] “둔촌주공 청약당첨 포기할 필요없겠네”...실거주의무 없애고 중도금 대출 허용 - 매일
- 퇴직 막막한가요?...이렇게 하면 3억으로 따박따박 월 소득이 - 매일경제
- 반도체도 배터리도 아니다…삼성이 새해 첫 투자한 곳은 - 매일경제
- “삼성전자의 투자 안목 믿는다”…주식 초고수가 찍은 ‘톱픽’은? - 매일경제
- '뉴삼성' 새로 찍은 먹거리는 로봇사업 - 매일경제
- 테슬라 괜찮네…76m 절벽 추락에도 탑승자 4명 모두 무사 - 매일경제
- 강남도 속수무책…압구정 재건축 아파트도 7억 떨어졌다 - 매일경제
- 이정후, 2023시즌 종료 후 ML 도전 확정...키움 승인 - MK스포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