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 체감경기 더 싸늘…"투자 늘린다"는 기업 13%뿐
기업들이 바라보는 새해 한국경제는 예상보다 더 싸늘한 것으로 나타났다. 고환율·고금리·고물가의 '3고(高)' 현상이 지속하는 가운데 내수소비마저 얼어붙는 복합위기 상황에 직면한 탓이다. 경기 상황을 고려한 금리정책과 불필요한 규제 개선 등 선제적인 정부 정책을 통해 민간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3일 대한상공회의소(대한상의)가 발표한 '기업이 바라본 2023 경제·경영전망'(전국 2254개 제조업체 대상 설문조사)에 따르면 기업들이 전망하는 새해 우리나라 경제성장률은 1.16% 수준으로 집계됐다. 국내외 기관 전망치가 1.5~2% 수준인 것과 비교하면 기업 현장에서 느끼는 경제여건이 더 좋지않다는 것을 보여준다. 기업들이 응답한 전망치는 1~1.5% 구간이 30.6%로 가장 많았다. 역성장을 전망한 기업도 8.8%에 달했다.
고물가와 고금리 어려움에 더해 내수 위축 우려가 반영된 결과로 해석된다. 한국은행은 미국 등 주요국의 잇따른 금리 인상 속 물가 안정을 위해 지난해 초 1.0%였던 기준금리를 3.25%까지 인상했다. 업계에서는 지난해 기준금리 인상의 영향이 올해 본격화해 물가와 경기, 금융안정 간의 상충 가능성이 커질 것으로 본다. 한 중소업체 대표는 "중국의 방역조치 완화에 따른 영향도 아직 예단하기 어려운 상황"이라 말했다.
기업들은 매출과 수출이 동반 하락할 것으로 내다봤다. 새해 매출과 수출 실적이 작년과 비교해 어떨 것을 전망하는지를 묻는 질문에 '동일 수준'이라 답한 기업이 가장 많았지만, 전체적으로 '마이너스' 구간을 꼽힌 기업이 더 많았다. 가중평균값은 1%대 역성장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매출과 수출 전망 각각에서 마이너스 구간을 꼽은 기업 비중은 34.5%, 26.2%였다.
업종별로 보면 원자재 의존도가 높은 비금속광물(매출 전망 -2.9%)과 정유화학(-2.9%) 업종이 상대적으로 더 부진한 전망을 보였다. 글로벌 수요에 크게 영향을 받는 IT(정보통신)·가전 분야도 -2.3%의 매출 역성장을 관측했다. 코로나19(COVID-19) 특수가 이어지고 있는 제약(2.7%)과 중국 소비회복 기대감이 반영된 화장품(2%) 등은 상대적으로 긍정적인 매출 전망을 나타냈다.
투자와 채용 시장에도 경제 한파 영향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대한상의에 따르면 경영실적 전망이 안좋은 만큼 투자도 보수적으로 운영한다는 답변이 많았다. 작년과 비교해 새해의 투자계획을 묻는 질문에 '동일 수준'이라 응답한 비율이 53.5%로 가장 많았으나, '작년보다 감소'라는 답변이 33.9%를 기록했다. 투자를 늘린다는 기업은 12.6%에 그쳤다. 불과 1년새에 작년보다 투자를 늘리겠다는 기업이 29%p(포인트) 감소했다고 대한상의는 설명했다.
우리나라 노동 시장의 경직성을 고려하면 경기 침체로 신규 채용을 중심으로 고용 사정이 크게 악화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코로나19 사태 이후 고용 증가를 이끌었던 리오프닝 효과가 사라진 상황은 위기감을 더한다. 한국은행은 취업자수 증가 규모가 지난해 82만명에서 올해 9만명으로 축소될 것으로 예측했다. 국개발연구원(KDI)은 올 취업자수 규모를 8만4000명으로 관측하며 더 부정적인 전망을 내놨다.
현재 위기에 따른 경제적 피해를 최소화하는 한편, 다가올 경제회복기의 확실한 재도약을 위해 무엇보다 정부의 선제적 대응책 마련이 필수적이란 조언이 나온다. 김현수 대한상의 경제정책실장은 지금의 경제적 어려움은 전세계 모든 나라가 겪고 있는 문제인 만큼 누가 선제적이고 확실한 대응책을 펼치느냐에 따라 경기회복기의 득실이 달려있다"면서 "지금은 민간, 정부, 정치권은 물론 경영계와 노동계 등 한국경제의 모든 구성원들이 경제 위기상황을 잘 극복하는데 힘을 모아야할 때"라고 말했다.
기업들이 꼽은 리스크요인(복수 응답)은 고물가·원자재가 지속(67.3%), 내수경기 침체(38.2%), 고금리 지속(29.2%), 원부자재 수급 불안(17.8%), 고환율 장기화(16.7%) 순이었다. 이같은 리스크 요인을 관리하기 위해 정부가 역점을 둬야할 과제로 기업들은 경기 상황을 고려한 금리정책(42.7%), 환율 등 외환시장 안정(42.6%)를 가장 많이 선택했다. 자금조달시장 경색 완화(32.2%), 규제혁신 통한 성장동력확보(21.7%) 등이 뒤를 이었다.
오문영 기자 omy0722@mt.co.kr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 "밤에 하는 애정표현 별로"…최성국, 아내와 침대 따로 쓰는 이유 - 머니투데이
- '응답하라' 후 외상후 스트레스?…신원호 "2002 하고 싶긴 한데" - 머니투데이
- 前연인 장기하가 하필… 아이유♥이종석 열애 공개날, 얄궂은 운명 - 머니투데이
- 박수홍, 법정 공방 스트레스? 혈변+응급실行…내시경 결과는? - 머니투데이
- '♥유현철' 10기 옥순, 가슴 타투→스킨십 악플에…"댓글창 닫는다" - 머니투데이
- 인증샷 투명곰에 최현욱 나체가…빛삭했지만 사진 확산 - 머니투데이
- 수능에 '尹 퇴진' 집회 사이트가 왜 나와…논란된 문제들 봤더니 - 머니투데이
- 미국서 HBM 패키징 공장 짓는 'SK하이닉스' 인디애나주 법인 설립 - 머니투데이
- 슈주 예성, 김희철 때렸다?…"공연 때문에 다퉈, 눈물 흘린 건 맞다" - 머니투데이
- 영국·스페인 일간지, X 사용 중단 선언..."가짜뉴스 확산 플랫폼" - 머니투데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