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 시대 끝났다? 신개념 대화형 인공지능 ‘챗GPT’ 등장

김지현 테크라이터 2023. 1. 2. 10:01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연구·특허 공개로 AI 학습 속도 빨라… IT업계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
미국 IT 기업 ‘오픈 AI’ 홈페이지의 대화형 챗봇 ‘챗(Chat)GPT’ 카테고리(왼쪽)와 대화 예시. 이용자가 “넌 다른 사람 집에 어떻게 쳐들어가”라고 묻자 “타인의 집에 쳐들어가는 불법 행위에 대해 논하는 건 부적절하다”는 취지의 답을 내놓았다. [오픈 AI 홈페이지 캡처]
최근 글로벌 IT(정보기술)업계에서 화제인 기술이 있다. 초거대 인공지능(AI) GPT-3.5로 구현한 대화형 챗봇 '챗(Chat)GPT'다. 챗GPT 개발사는 '오픈 AI'로, 2015년 10월 일론 머스크 테슬라 창업자 겸 최고경영자(CEO)와 실리콘밸리 인큐베이터업체 와이콤비네이터 CEO를 지낸 샘 올트먼이 설립한 기업이다. 당초 연구소 형태로 설립된 이 회사는 "인공지능(AI) 기술로 인류에 기여한다"는 모토 하에 연구 결과와 특허를 대중에 공개하고 있다. 자기 회사뿐 아니라 외부 업체와 기관이 함께 인공지능을 발전시키자는 취지다.

GPT는 오픈 AI가 2018년 공개한 자연어 처리(NLP) 모델이다. 여러 연구자가 협업한 덕인지 매년 빠른 속도로 성능이 높아지면서 괄목할 만한 성과를 보여주고 있다. 그 최신 버전 GPT-3.5가 적용된 챗GPT는 2022년 12월 1일 공개 일주일 만에 글로벌 사용자 수 100만 명을 돌파했다. IT 전문가들도 호평을 내놓고 있다. 챗GPT의 등장을 두고 영국 일간지 '인디펜던트'는 최근 "구글은 끝났다(Google is done)"는 도발적 제하 기사로 IT업계의 격변을 예고하기도 했다. 일각의 평가처럼 챗GPT는 지난 20년간 인터넷 역사를 새로 쓴 검색엔진 구글을 뛰어넘을 만한 혁신적 기술일까.

"구글은 끝났다"는 분석까지

챗GPT는 방대한 소스(source)를 참고해 어마어마한 양의 텍스트 데이터를 학습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 덕에 사용자가 어떤 분야에 관해 질문해도 사람처럼 자연스러운 답을 내놓는다. 특히 여러 차례 반복된 문답에서도 어색하지 않은 대화를 주고받는 능력이 뛰어나다. 그간 아마존의 AI 스피커 '알렉사'나 구글 '어시스턴트'의 대화 인터페이스는 간단한 문답에 그쳤다. 반면 챗GPT는 전문 영역에 관한 질문을 던져도 비교적 정돈된 답을 해준다. 가령 "태양이 사라진다면 지구에 어떤 일이 생길까"라고 물으면 기존 AI 챗봇은 검색엔진을 활용해 단편적이고 때로는 엉뚱한 답을 내놓는다. 반면 챗GPT는 기존 검색엔진에 게시된 정보를 나열하는 게 아니라, 태양이 없다면 지구가 입을 피해가 무엇인지 일목요연하게 분석해 설명한다. 사용자가 "회사에서 외톨이가 된 기분이다"라고 말하면 심리 상태에 맞는 극복 방안을 제법 자세하게 제시하기도 한다. 단순 대화뿐 아니라 수학 문제 풀이와 작문, 보도자료 작성, 끝말잇기 등 복잡한 작업도 가능하다.

‘좁은 AI' 탈피해 범용 서비스로

오픈 AI의 인공지능 달리(DALL·E)가 창작한 이미지. [오픈 AI 홈페이지 캡처]
챗GPT의 학습이 현재진행중이라는 것도 강점이다. 사람들이 챗GPT를 쓰면서 입력한 데이터와 이에 대한 피드백을 반영해 추가 학습 및 성능 개선이 이뤄지고 있는 것이다. 다양한 언어 코퍼스(corpus·말뭉치)를 학습하는 만큼 서비스되는 언어 폭도 점차 다양해지고 있다. 그 결과 챗GPT는 점점 더 매끄럽게 대화할 수 있다. 단순히 정보를 논리적으로 정리·요약하는 수준을 넘어 사용자와 주고받은 대화 맥락에 맞춰 알맞은 형식으로 표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처럼 현 기술 수준에서 챗GPT의 놀라운 점을 요약하면 크게 두 가지다. 사람과 자연어로 매끄럽게 대화가 가능하고, 요청한 사항에 대해 일정한 결과물을 제시한다는 것이다. 다만 검색엔진과 연동되지 않아 최신 트렌드가 응답 결과에 포함되지 않고, 현재 채팅 1건에 평균 130원가량 비용이 드는 점은 한계다.

최근 등장한 챗GPT가 당장 구글, 페이스북, 카카오톡 등 빅테크가 지난 20년 동안 영위한 인터넷 서비스를 위기로 몰아세우진 못할 것이다. 그간 실험실에서만 연구되던 초거대 AI가 최근 화제를 모은 오픈 AI의 챗GPT는 물론, 같은 업체의 이미지 생성 기계학습 모델 달리(DALL·E) 같은 형태로 조금씩 구체화되고 있긴 하다. 챗GPT에 적용된 GPT-3.5와 향후 등장할 GPT-4 또는 새로운 대화 인터페이스는 대중 공개라는 원칙을 바탕으로 IT업계에 활력을 불어넣을 것으로 보인다. 구글 검색 등 기존 인터넷 서비스의 대척점에 선 경쟁자가 아닌, 일종의 보완재로서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를 제시하는 것이다.

글로벌 빅테크도 저마다 고품질 대화형 챗봇을 개발하고 나섰다. 구글은 람다(LaMDA), MS는 메가트론(Megatron)이라는 이름의 대화 AI를 개발하고 있다. 국내에서도 네이버 '하이퍼클로바', SK텔레콤 GLM, LG '엑사원(EXAONE)' 등 미래 지향적 대화 AI가 속속 모습을 드러내고 있다. 이제 AI는 기업의 비즈니스 문제를 특정 영역에 국한해 해결하는 '좁은(narrow) AI'가 아닌, 일반 사용자의 인터넷 경험을 극적으로 개선하는 범용 서비스로 자리매김할 것이다. 기존 IT 서비스와 초거대 AI가 접목되면 단순 음성 명령은 물론, 채팅 같은 방식으로 마치 사람에게 말하듯 편리한 서비스 이용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유튜브와 포털에서 각각 '매거진동아'와 '투벤저스'를 검색해 팔로잉하시면 기사 외에도 동영상 등 다채로운 투자 정보를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

김지현 테크라이터

Copyright © 주간동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