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명 중 8명 "집값 더 내릴 것"…10명 중 7명 "전세도 내릴 것"
서울, 집값 하락 전망 응답 비율 전국 최고
역대급 금리인상과 경기침체 우려 등으로 지난해 역대급 집값 하락이 이어진 가운데 올해도 집값이 더 내릴 것이라는 사람들이 다수인 것으로 나타났다. 고금리와 집값 약세 등의 영향으로 전셋값도 하락세가 이어질 것이라는 의견이 많았다.
㈜직방은 어플리케이션 이용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2일 밝혔다.
2023년 거주지역의 주택 매매가격을 어떻게 예상하냐는 질문에 전체 응답자 3089명 중, 77.7%가 '하락'할 것이라고 답했다. '상승'할 것이라고 답한 응답자는 10.2%에 불과했고 '보합'은 12.1%로 집계됐다.
거주지역별로는 서울(81.5%)과 지방5대광역시(80.7%) 거주 응답자들이 '하락'을 전망하는 응답 비율이 80% 이상으로 높았고 △경기(74.8%) △인천(76.2%) △지방(75.3%)이 뒤를 이었다.
응답자들은 2023년 주택 매매가격이 하락할 것이라고 예상하는 이유에 대해 '금리 인상으로 인한 부담'(58.2%)을 가장 많이 꼽았다. 이어 '경기 침체 지속'(19.5%)과 '현재 가격 수준이 높다는 인식'(16.4%) 등이 뒤를 이었다.
반면 주택 매매가격이 상승한다고 전망한 응답자들은 그 이유로 '정부 규제 완화 기대'(25.1%)를 가장 많이 선택했다. 직방은 "재건축과 재개발 정비사업, 보유세, 대출, 규제지역 등의 규제가 완화되면서 연 이은 추가 대책과 이에 따른 기대감이 형성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이어 △경기 회복 기대(17.5%) △금리인상 기조 둔화 기대(15.6%) △전월세 상승 부담으로 인한 매수 전환(15.2%) △교통, 개발 계획 등 호재(12.7%) 등이 올해 주택 매매가격 상승의 주요 이유로 꼽혔다. 수도권 거주 응답자는 '정부 규제 완화'를 가장 많이 선택했고, 지방5대광역시, 지방 거주 응답자는 '경기 회복 기대'를 가장 많이 응답해 미미하지만 차이를 보였다.
응답자 중 69.5%는 2023년 거주지의 주택 전세가격이 '하락'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보합'은 17.4%, '상승'은 13.1%로 집계됐다. 거주지역별로는 서울(72.8%), 지방5대광역시(70.2%)가 70% 이상의 하락 응답 비율을 보였고 △경기(68.2%) △인천(69.5%) △지방(66.1%) 등은 하락 응답 비율이 상대적으로 낮았다.
전세가격이 하락할 것으로 예상하는 이유는 '전세 대출 이자 부담으로 인한 전세 수요 감소'(48.7%)가 가장 많이 선택됐다. 그 다음으로는 △최근 몇 년간 가격 급등으로 현재 가격이 높다는 인식(18.2%) △임차보증금 반환 리스크(12.6%) △갭투자 관련 전세 매물 증가(11.1%) 등이 꼽혔다.
반면 전세가격이 오를 것으로 전망한 응답자들은 주요 이유로 '매수 심리 위축으로 전세 수요 증가'(33.1%)를 꼽았다. 이어 '임대인의 월세 선호로 전세 공급 부족'(23.0%), '신축, 신규 전세 공급 부족'(16.3%) 등이 뒤를 이었다.
2023년 거주지역 주택 월세가격에 대한 질문에는 '상승'(36.6%)과 '하락'(36.1%) 응답이 팽팽하게 맞섰다. '보합'은 27.3%였다. 거주지역별로는 수도권 거주 응답자는 '상승', 지방5대광역시와 지방 거주 응답자는 '하락' 전망이 많아 차이를 보였다.
월세가격이 하락할 것으로 전망하는 이유는 '월세 물량 증가'(52.7%)가 가장 많이 선택됐다. 그 다음으로는 '전세 선호 수요 지속으로 월세 수요 감소'(19.7%)와 '전세 가격 안정, 공급 증가로 월세 수요 감소'(17.1%) 등이 꼽혔다.
월세가격이 상승할 것으로 전망하는 이유로는 '금리 인상에 의한 전세대출 부담으로 월세 수요 증가'(55.6%)가 가장 많았다. 이어 △매매, 전세가 부담으로 월세 전환 수요 증가(14.6%) △월세 공급 부족(13.7%) △전세보증금 반환 리스크로 월세 수요 증가(11.1%) 등이 뒤를 이었다.
직방은 "2023년 일반인이 전망하는 주택 매매와 전세가격은 '금리 인상'이 원인으로 작용해 이에 따른 비용 부담 증가, 수요 감소 등으로 하락을 전망하는 의견이 많았다"며 "매매와 전세 모두 현재의 가격수준이 높다고 인식하는 비율도 높아 최근 1~2년 사이 가격이 급등했던 부분이 피로감으로 누적되며 하향 조정국면을 전망하는 부분도 많은 것으로 해석된다"고 설명했다.
이어 "월세 가격은 상승과 하락 응답이 팽팽하게 나타난 가운데 '상승' 응답 비율이 미미하게 더 높았다"며 "상승 요인 역시 '금리 인상'에 의한 전세대출 부담으로 월세 수요 증가가 과반수로 나타나 2023년 주택시장은 '금리'를 가장 큰 요인으로 보는 의견이 많았다"고 덧붙였다.
이번 설문조사는 지난해 12월 12일부터 26일까지 15일간 직방 어플리케이션 내 접속자를 대상으로 진행됐다. 응답인원 3089명이고 신뢰수준은 95% ± 1.76%포인트다.
- 이메일 :jebo@cbs.co.kr
- 카카오톡 :@노컷뉴스
- 사이트 :https://url.kr/b71afn
CBS노컷뉴스 김수영 기자 sykim@cbs.co.kr
▶ 기자와 카톡 채팅하기▶ 노컷뉴스 영상 구독하기
Copyright © 노컷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신년행사서 대형칼 휘두른 10대 남성…정체 알고보니
- 연봉 2억 넘지만…아파트 못 구한 美 첫 Z세대 하원의원 왜
- [그래?픽!]누구나 최대 두 살 ↓…2023년 대한민국이 젊어진다
- 해 넘긴 尹공약 '여가부 폐지'…올해 운명은?
- [르포]새해 밝았지만 '10월' 멈춘 이태원…"손님 뚝"
- 체감물가 24년만에 최고…새해 공공요금 인상에 물가 불안 여전
- 독거노인, 월 소득인정액 202만원 이하면 기초연금 받는다
- 지방대 수시 합격자 18.5% 등록 포기…3만 3천여명
- '힘에 의한 평화' vs '대적투쟁'…새해 남북 '강대강' 전주곡
- 새해 내집 마련 계획? 달라지는 부동산 제도 살펴보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