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尹 “기득권 매몰된 나라에 미래 없다”… 여야-노사 구분 없어야
2023. 1. 2. 00:0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윤석열 대통령이 어제 신년사에서 "기득권 유지와 지대 추구에 매몰된 나라에 미래가 없다"며 "대한민국의 미래와 미래세대의 운명이 달린 노동, 교육, 연금 3대 개혁을 더 이상 미룰 수 없다"고 강조했다.
어떤 개혁이 됐건 '기득권'의 저항을 극복하는 것은 중요하다.
다만 기득권 타파엔 정부와 민간, 여야, 노사가 따로 있을 수 없다.
윤 대통령의 기득권 비판은 우선 법치주의를 노골적으로 무시하는 노동계 일각을 향한 것으로 보인다.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윤석열 대통령이 어제 신년사에서 “기득권 유지와 지대 추구에 매몰된 나라에 미래가 없다”며 “대한민국의 미래와 미래세대의 운명이 달린 노동, 교육, 연금 3대 개혁을 더 이상 미룰 수 없다”고 강조했다. 어떤 개혁이 됐건 ‘기득권’의 저항을 극복하는 것은 중요하다. 다만 기득권 타파엔 정부와 민간, 여야, 노사가 따로 있을 수 없다. 내 편 네 편 선 긋기는 안 된다는 얘기다.
윤 대통령의 기득권 비판은 우선 법치주의를 노골적으로 무시하는 노동계 일각을 향한 것으로 보인다. 대통령은 직무 중심, 성과급 중심의 전환을 추진하는 기업과 귀족 강성 노조와 타협해 연공서열 시스템에 매몰되는 기업에 대한 정부 지원은 차별화돼야 한다는 말도 했다. 연차 중심의 연공급제, 호봉제를 지키려고 안간힘을 쓰는 공기업의 강성노조 등에 대한 경고로 해석된다.
경영 성과 악화, 청년 고용 축소의 원인으로 꼽히는 공기업, 대기업의 연공급제 임금 시스템을 개혁하는 건 중요하다. 다만 기득권 비판이 국민 공감을 얻으려면 공적 분야의 기득권 타파가 선행 또는 병행돼야 한다. 당장 교육 부문만 하더라도 정부재정 지원을 지렛대 삼아 대학의 자율성을 침해하고, 대학을 좌지우지할 권한을 내려놓지 않으려는 교육 기득권이 여전하다. 세금으로 막대한 지원을 받아 상대적으로 유리한 혜택을 누리는 공무원들의 연금제도 역시 국민들 눈에는 기득권으로 비친다.
신년사에는 화물연대 운송 거부 사태에 대한 정부의 원칙적인 대처가 어느 정도 효과를 보았다고 판단하고, 그 여세로 3대 개혁의 속도를 끌어올리려는 의도도 담겨 있는 듯하다. 하지만 개혁이 특정 분야에만 국한되거나 특정 정치집단을 겨냥한 정치적 계산으로만 활용돼선 곤란하다. 미래를 위한 구조개혁에 노동계와 기업, 공공부문과 민간부문을 가릴 이유가 없다. 여야를 갈라서도 안 된다. 무엇보다 집권 세력이나 새 정부 스스로 민간의 자율성을 옥죄는 기득권에 연연해선 안 될 것이다. 대통령실과 중앙 정부부처 등 ‘개혁 컨트롤타워’가 먼저 자기 혁신에 나서야 한다는 얘기다.
윤 대통령의 기득권 비판은 우선 법치주의를 노골적으로 무시하는 노동계 일각을 향한 것으로 보인다. 대통령은 직무 중심, 성과급 중심의 전환을 추진하는 기업과 귀족 강성 노조와 타협해 연공서열 시스템에 매몰되는 기업에 대한 정부 지원은 차별화돼야 한다는 말도 했다. 연차 중심의 연공급제, 호봉제를 지키려고 안간힘을 쓰는 공기업의 강성노조 등에 대한 경고로 해석된다.
경영 성과 악화, 청년 고용 축소의 원인으로 꼽히는 공기업, 대기업의 연공급제 임금 시스템을 개혁하는 건 중요하다. 다만 기득권 비판이 국민 공감을 얻으려면 공적 분야의 기득권 타파가 선행 또는 병행돼야 한다. 당장 교육 부문만 하더라도 정부재정 지원을 지렛대 삼아 대학의 자율성을 침해하고, 대학을 좌지우지할 권한을 내려놓지 않으려는 교육 기득권이 여전하다. 세금으로 막대한 지원을 받아 상대적으로 유리한 혜택을 누리는 공무원들의 연금제도 역시 국민들 눈에는 기득권으로 비친다.
신년사에는 화물연대 운송 거부 사태에 대한 정부의 원칙적인 대처가 어느 정도 효과를 보았다고 판단하고, 그 여세로 3대 개혁의 속도를 끌어올리려는 의도도 담겨 있는 듯하다. 하지만 개혁이 특정 분야에만 국한되거나 특정 정치집단을 겨냥한 정치적 계산으로만 활용돼선 곤란하다. 미래를 위한 구조개혁에 노동계와 기업, 공공부문과 민간부문을 가릴 이유가 없다. 여야를 갈라서도 안 된다. 무엇보다 집권 세력이나 새 정부 스스로 민간의 자율성을 옥죄는 기득권에 연연해선 안 될 것이다. 대통령실과 중앙 정부부처 등 ‘개혁 컨트롤타워’가 먼저 자기 혁신에 나서야 한다는 얘기다.
Copyright © 동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동아일보에서 직접 확인하세요. 해당 언론사로 이동합니다.
- “행복은 부-명예-학벌 아닌 ‘관계’에 있습니다”
- [천광암 칼럼]尹 대통령, ‘집권 2년 차 징크스’ 실용과 협치로 넘어야
- 국내 중소도시 77곳중 18곳 소멸위기… “향후 10년이 골든타임”
- 尹 “귀족노조와 타협 기업, 지원 차별화” 불이익 시사
- 김정은 “南겨냥 전술핵 다량생산”… 軍 “핵사용 기도땐 정권 종말”
- “상하이 1000만 감염”… 中 코로나 급증에도 새해맞이 인파 가득
- 종부세 이어 양도세도 손본다… 1년 넘게 보유 1주택 ‘중과’ 폐지
- 檢 출석 앞둔 이재명, 김경수 만남 이어 문재인 예방…‘단일대오’ 본격화
- ‘연쇄살인’ 이기영, 모르는 사람 접근해 “사람 죽일수 있냐”
- [단독]한일, 상반기중 北미사일 정보 ‘즉시공유’… 지소미아보다 강력한 대북 정보협력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