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연이틀 쏜 '초대형 방사포'…핵탄두 탑재, 변칙기동 南 전역 타격 가능

이종윤 2023. 1. 1. 16:54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2019년 첫 시험발사 탄도미사일 기술 적용한 다연장로켓
이동식 발사대(TEL)서 발사관 6개로 진화, 대응 쉽지 않아
북한 초대형 방사포. KN-25의 지름 60㎝에 길이는 8.6m 정도로 추정되며, 미사일 후방에 붙어 있는 4개의 날개에 더해 포탄 전방부에 보조날개(카나드)가 4개 붙어 있다. 사진=노동신문 캡처
[파이낸셜뉴스] 북한이 지난달 31일과 1일 연이틀 동해상에 발사한 '600㎜ 초대형 방사포'(KN-25)는 탄도미사일 기술을 적용해 만든 다연장로켓포(방사포)다.

한·미 당국과 전문가들은 북한이 그간 관영매체를 통해 공개한 KN-25의 시험발사 현장 사진과 발사 때 탐지·분석된 제원 등을 바탕으로 KN-25를 1단 고체연료 추진체를 적용한 단거리탄도미사일(SRBM)로 판단하고 있다.

노동신문에 따르면 북한에서 군수경제를 총괄하는 '제2경제위원회'는 전날 오전 검수사격(3발) 뒤 KN-25 30문을 당 중앙위 전원회의에 증정하는 행사를 개최했다. 그리고 이날 오전 북한군 서부지구의 한 장거리 포병구분대에서 동해상을 향해 KN-25 1발을 더 발사했다.

이와 관련 우리 군은 전날 오전 8시쯤 황해북도 중화군 일대에서 동해상으로 발사된 SRBM 3발을 포착한 데 이어, 이날 오전 2시50분쯤엔 평양 용성 일대에서 동해상으로 발사된 SRBM 1발을 더 포착했다. 이들 SRBM의 비행거리는 각각 350여㎞와 400여㎞로 탐지했다.

전문가들은 KN-25는 '북한판 이스칸데르' KN-23, '북한판 에이태큼스(ATACMS)' KN-24 등의 다른 '신형' SRBM와 같이 탄두부가 하강비행 중 고도·궤도를 바꾸는 '변칙기동'이 가능할 것으로 보고 있으며 특히 북한이 재래식 고폭탄뿐만 아니라 소형화한 전술핵 탑재를 위해 개발해온 무기로 평가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북한은 KN-25 개발 초기엔 발사관 4개짜리 차량형 이동식 발사대(TEL)에서 사용했으나 이후 발사관 6개짜리로 바뀌었다. 1일자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에도 발사관 6개짜리 TEL이 등장했다.

지난해 4월 열병식에 등장한 북한 초대형 방사포 KN-25. 사진=노동신문 캡처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600mm 초대형 방사포 증정식에 참석했다고 조선중앙TV가 1일 보도했다. 사진=조선중앙TV 캡처
이와 관련 김정은은 이번 증정식에서 "3년 전 세상이 상상조차 해본 적 없는 이 무기가 처음 탄생할 때도 그랬지만, 이번에도 우리 군수 노동계급은 초강력의 기세로 연일 기적을 일으켰다"며 KN-25에 대해 "우리 당이 제일로 바라고 우리 군대가 제일로 기다리는 주력 타격무장"이라고 말했다.

그는 "저 무장 장비(KN-25)는 군사 기술적으로 볼 때 높은 지형 극복능력과 기동성, 기습적 다연발 정밀공격 능력을 갖췄으며, 남조선(남한) 전역을 사정권에 두고 전술핵 탑재까지 가능하다"며 "우리 무력의 핵심적 공격형 무기로서 적들을 압도적으로 제압해야 할 전투적 사명을 수행할 것"이라고 강조하기도 했다.

북한은 KN-25를 2020년 3월 9일 6차 시험발사 이후 한동안 쏘지 않다가 지난해 5월부터 다른 종류의 SRBM과 함께 KN-25의 실사격 연습을 집중적으로 실시해온 것으로 관측된다.

이에 따라 북한군의 KN-25는 우리 측 주요 시설을 타격할 수 있는 거리에 위치한 주요 부대에 배치될 것이란 전망이 나오고 있다.

북한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은 1일 "첨단무장장비인 초대형방사포들이 당 중앙위원회 제8기 제6차 전원회의에 증정됐다"라고 보도했다. 신문은 600mm 초대형방사포의 증정식이 전날인 작년 12월31일 당 중앙위 본부청사 정원에서 진행됐다고 설명했다. 김정은 총비서는 연설에서 이 방사포들이 '남한 전역'을 사정권에 두고 있으며 핵탄두 탑재도 가능하다고 밝혔다. 사진=노동신문 캡처
우리 군은 현재 북한의 미사일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한국형 미사일방어체계'(KAMD)를 구축하고 있다.

KAMD는 우리 측을 향해 날아오는 북한 미사일을 공중에서 요격해 무력화하는 다층적 방어체계로서 '패트리엇'(PAC2·PAC3) 요격미사일과 중거리 지대공미사일(M-SAM) '천궁-Ⅰ·Ⅱ', 그리고 현재 개발 중인 장거리 대공미사일(L-SAM) 등으로 구성된다.

우리 군 당국은 변칙기동이 가능한 북한의 SRBM 미사일에 대해서도 "탐지·요격할 수 있는 능력을 보유하고 있다"는 입장을 밝히고 있지만, "북한이 다양한 사거리·고도의 미사일을 동시에 발사해올 경우 그 대응이 쉽지 않을 수 있다"는 전문가 일각의 우려도 제기된다.

북한군의 600㎜ 초대형 방사포 증정식이 작년 12월31일 노동당 중앙위 본부청사 정원에서 진행됐다고 1일 당 기관지 노동신문이 보도했다. 사진=노동신문 캡처
한편 KN-25는 지난 2019년 8월 첫 시험발사와 함께 그 개발 사실이 외부에 공개된 무기체계로 △첫 시험발사는 김정은 참관 아래 지난 2019년 8월 24일 함경남도 정평 일대에서 2발을 쏘면서 실시됐다. 당시 비행거리는 약 380㎞, 정점고도는 97㎞였다.

이어 △2차 시험발사는 2019년 9월 10일 평안남도 개천에서 3발을 쏘면서 진행됐고, 이때 비행거리는 약 330㎞, 정점고도는 50~60㎞ 수준이었다. 이 가운데 1발은 '실패'하고 나머지 2발 중에서도 1발만 표적에 명중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후 △3차 시험발사는 2019년 10월 31일 평안남도 순천에서 진행했으며 △4차 시험발사는 2019년 11월 28일 함경남도 함주에서 진행했다. 3·4차 시험발사 때 비행거리는 370~380㎞, 정점고도는 90~97㎞ 범위를 기록했던 것으로 알려졌으며 △5차 시험발사는 2020년 3월 2일강원도 원산에서 진행해 비행거리 240㎞와 정점고도 35㎞로 탐지된 바 있다.

특히 KN-25의 발사간격은 1~2차 시험발사 땐 17~19분→3차 발사 땐 3분→4차 땐 30초→그리고 5차 발사땐 20초까지 줄어든 것으로 알려졌다.

Copyright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