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야할 때를, 그리고 머물러야 할 순간을 아는 ‘5곳’

장주영 매경닷컴 기자(semiangel@mk.co.kr) 2023. 1. 1. 10:03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하루를 일곱 번 보내고 나면 새로운 한 주의 또 다른 하루를 시작한다. 그 일주일을 평균 4번 정도 보내면 한 달이 지나간다. 그렇게 11번을 반복하고 나면 한 해의 마지막 달인 12월이다. 어느 덧 2022년을 정리하는 12월도 끝을 향해 달려가고 있다. 가야할 때인 것이다.

하지만 한 번 쯤은 잠시 시간을 멈춰 세우고 싶을 때가 있다. 너무나 행복한 순간이거나, 정말로 아름다운 것을 봤다거나 할 때가 그렇다. 이런 잊기 싫은 때나 장소 등이 있으면 놓치고 싶지 않다. 올해를 되돌아보면 분명 비슷한 기억으로 시간을 사로잡고 싶을 때가 있었을 테다. 머물러야 할 순간인 것이다.

결국 가고 멈추고의 연속이 인생이다. 인생의 쳇바퀴를 쉼 없이 돌리는 일을 누구나 하기에 순간 순간을 오래 기억하고자 할 때 묘한 아쉬움을 가질 수밖에 없다. 사진으로, 영상으로 해소할 수 없는, 기억이 추억이 되는 어느 지점, 바로 그 찰나를 잡으려면 수단이 필요한 법. ‘이야기’야말로 가장 적절한 추억지킴이로 손색없다.

건축물이 대표적이다. 건물 저마다 다양한 이야기를 품고 있다. 건물이 올라간 땅이, 건물을 지은 사람의 철학이, 건물이 들어선 시간이 각각 다르니 가능한 얘기다. 어떤 정자는 조선의 왕이 바라보던 200여 년 전 풍경이 겹쳐 보이고, 어떤 역은 첫사랑을 닮아 애틋하다.

직선의 미학이 돋보이는 사찰부터 최근에 지어진 공공도서관까지, 시대를 넘나들며 뛰어난 건축물을 간직한 경기도 내 5곳을 소개한다. 저마다의 이야기로 말을 거는 건축물들과 함께 자신만의 이야기, 그리고 인연을 쌓아가면 어떨까.

양주시립장욱진미술관
양주 시립장욱진 미술관 / 사진 = 경기도
새파란 하늘 아래 순백의 집, 동화 속 그림 같은 모습이다. 티 없이 순수하고 더없이 평화롭다. 어린아이 같은 그림을 그린 화가 장욱진의 작품세계와 똑 닮았다. 장욱진은 박수근 이중섭 김환기와 함께 한국 근현대미술을 대표하는 화가다.

나무·집·아이·새 등 일상적 소재를 담박하게 그리며 순수한 내면세계를 추구했다. 양주시립장욱진미술관은 장욱진의 작품에서 받은 영감을 건축적으로 풀어냈다. 작가의 호랑이 그림 ‘호작도’와 집의 개념을 모티프로 한 건물은 2014년 김수근 건축상을 받고, 영국 BBC의 ‘위대한 8대 신설미술관’에 선정되는 등 수많은 매체가 주목했다.

양주시립장욱진미술관 / 사진 = 경기도
지붕과 외벽을 흰색 폴리카보네이트 패널로 통일한 외관은 단순하면서도 웅장하다. 보는 방향에 따라 모습을 조금씩 달리하는 비정형의 건물에는 골똘히 바라보는 묘미가 있다.

내부 또한 놓치면 안된다. 직사각형 형태의 보통 미술관과 달리, 중정과 각각의 방으로 구성한 전시 공간은 화가의 그림에 자주 등장하는 한옥의 구조를 닮았다. 2층에서 내려다보이는 꺾어진 계단은 미술관의 비정형적 조형미를 보여준다.

수원 방화수류정
수원 방화수류정 / 사진 = 경기도
동양 성곽의 진수라는 평을 받는 수원화성에는 아름답기로 소문난 정자가 있다. 화홍문 동쪽 언덕의 방화수류정이다. 방화수류정은 1794년인 정조 18년에 화성 동북쪽 요충지에 세운 군사지휘소로, 동북각루의 별칭이다.

용두바위에 우뚝 세운 각루는 ‘ㄱ’ 자형 평면에 북쪽과 동쪽은 ‘凸’ 형으로 빼내 주변을 살피고 화포를 쏘기에 적합했다. 미려함이 적을 두렵게 해 이기게 한다는 수원화성 축성의 철학은 방화수류정에서도 어김없이 드러난다.

석재와 목재, 전돌이 어우러진 벽체는 위용이 넘치고, 팔작지붕을 여러 개 겹친 듯 화려한 지붕은 사방에서 달리 보인다. 반달 모양 못인 용연이 한눈에 보이는 누각은 유사시에는 군사 시설, 평소에는 풍류를 즐기는 정자로 쓰였다.

수원 방화수류정 / 사진 = 경기도
정조 역시 이곳을 사랑했다. 1797년(정조 21년) 정월, 왕은 정자에서 신하들과 활쏘기를 하고 “만 그루 버드나무 그림자 속에 화살은 꽃과 같네(萬柳陰中簇似花)”라고 시 한 수를 지었다. 200여 년 전 정조가 흐뭇하게 바라보던 경치를 이제는 보통 사람들이 누린다.

방화수류정은 멀리서 보아도, 그 안에 있어도 눈이 호강한다. 굽이굽이 흐르는 성곽 위의 정자는 장엄하고, 정자에서 보는 용연과 수원 시가지는 시원스럽다.

MZ세대에게는 감성 사진을 찍는 피크닉 장소로 통한다. 연못의 수양버들을 배경으로 피크닉 소품을 놓으면 ‘좋아요’가 찍히는 사진 완성이다. 어둠이 내리고 성벽을 따라 조명이 켜지면 황홀함은 배가된다. 용연에 달이 떠오르는 모습은 수원팔경 중 하나로 꼽힐 만큼 수려하다.

안성 칠장사
안성 칠장사 / 사진 = 경기도
안성 칠현산 중턱에 지어진 지 1300년이 넘은 고찰, 칠장사가 있다. 이 절이 독특한 점은 대웅전 지붕이 맞배지붕이라는 것이다. 맞배지붕은 옆면이 사람 인(人)자 모양인 지붕으로, 한옥 지붕의 가장 기본적인 형태이자 간결하고 우직한 멋을 보여준다. 예산 수덕사의 대웅전, 강진 무위사의 극락전도 맞배지붕이다.

사실 대웅전은 절의 중심 전각이자 석가모니불을 본존불로 모시는 법당인 만큼 화려함을 드러내기 위해 팔작지붕을 쓰는 경우가 많다. 이와 달리 칠장사의 대웅전은 단번에 눈길을 사로잡는 위용은 없지만, 볼수록 마음 한구석이 편안해지는 질박한 아름다움이 깃들어 있다.

앞면 3칸, 옆면 3칸의 대웅전은 찬찬히 볼수록 진가가 드러난다. 단순한 선의 미학을 알려주는 지붕 외에 색 바랜 단청, 불화와 연꽃무늬로 채색한 내부의 우물천장도 고색창연하다. 칠장사는 신라 선덕여왕 5년인 636년에 고승 자장율사가 창건하고, 고려시대에 혜소국사가 중창한 도량이다.

안성 칠장사 / 사진 = 경기도
대웅전만큼 유명한 전각이 하나 더 있다. 암행어사 박문수의 일화가 깃든 나한전이다. 박문수가 한양에 과거를 보러 가는 길에 하룻밤 나한전에서 잠들었는데, 꿈에서 시험 문제를 보고는 장원급제를 했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

유서 깊은 사찰은 귀한 문화재를 다수 품었다. 절 입구의 철 당간지주는 청주 용두사지, 공주 갑사의 것과 함께 고려시대에 지어진 것으로 좀처럼 보기 힘든 문화재다. 나한전 옆의 혜소국사비는 대웅전과 더불어 절의 보물 중 하나다.

하남 구산성지
하남 구산성지 / 사진 = 경기도
신성함이 담긴 건축물은 어떤 모습이어야 할까. 미사강변도시에 자리한 구산성지는 이 질문의 좋은 답이다. 구산성지는 103위 한국 순교성인 중 한 명인 김성우 안토니오 성인을 포함해 9명의 순교자가 묻힌 천주교 성지다.

조선 후기 천주교 박해 당시부터 명맥을 이어온 곳으로 1980년 로마 교황청이 세계 순례성지로 선포하며 많은 여행자가 찾는다. 성지는 입구부터 남다르다. 어른 손 크기만 한 어두운 기와를 층층이 쌓아 거대한 무덤 같은 입구를 만들었다.

성지에 들어서자마자 보이는 것은 순백의 성모상이다. 구산성당 초대 주임 고(故) 길홍균 신부가 꿈에서 본 성모의 모습을 김세중 화백이 생의 마지막 작품으로 심혈을 기울여 조각했다. 안당문을 지나면 소나무가 드리운 순교자 9명의 묘역과 구산성당이 나타난다.

하남 구산성지 / 사진 = 경기도
“사생간 천주교인(死生間 天主敎人)(살아도 천주교인으로 살고 죽어도 천주교인으로 죽을 따름이오.)” 구산마을에서 태어나 1839년 기해박해 때 ‘사학의 괴수’ 라는 명목으로 한양 포도청에 체포된 김성우 성인의 말이다.

신앙을 위해 자신의 가장 소중한 것을 내어놓은 성인의 비장한 결의와 달리, 오늘날의 성지는 한없이 평화롭다. 구산성당 옆 십자가의 길은 특히 고요가 짙다. 드문드문 놓인 청동 조각상을 따라 사색의 시간을 보낼 수 있다.

남양주 능내역
남양주 능내역 / 사진 = 경기도
남양주 조안면 능내리 주민들에게 애틋한 첫사랑 같은 간이역이 있다. 어렸을 땐 친구들과 뛰노는 놀이터, 학창 시절에는 첫사랑을 힐끗거리며 통학 기차를 기다리는 설렘의 장소, 직장인이 되어서는 헐레벌떡 통근 기차를 타러 가는 목적지였던 곳. 능내역은 서울 청량리와 경주를 잇는 중앙선의 기차역이었다.

1956년 영업을 시작했지만, 중앙선 철로를 복선화하면서 2008년 폐역이 됐다. 164㎡의 아담한 역사에는 60여 년 전 간이역의 모습이 오롯하다. ‘一’ 자형 평면 구조의 역사는 짙은 일식 기와를 얹었다.

출입구의 뾰족한 박공지붕과 ‘삐걱’ 소리가 날 듯한 나무 문, 예스러운 역 간판에서 옛 모습을 가늠해볼 수 있다. 사람들이 삼삼오오 기차를 기다리던 대합실은 능내역의 옛 풍경을 간직한 전시관이 됐다.

남양주 능내역 / 사진 = 경기도
시간이 멈춘 듯 아스라한 역사는 특유의 향수 어린 분위기의 관광명소로 거듭났다. 역을 배경으로 SNS 사진을 찍는 젊은이들부터 옛 시절을 추억하는 어르신까지 저마다의 방법으로 간이역의 정취를 누린다. 국토종주 자전거길 중 하나인 남한강자전거길을 종주하는 라이더들에게는 목 좋은 쉼터이기도 하다.

능내역을 즐기는 방법은 크게 두 가지다. 첫째, 레트로 감성의 사진 찍기. 역사 앞 나무 벤치, 새빨간 우체통, 빛바랜 흑백사진 등 눈 닿는 곳곳이 포토존이다. 둘째, 자전거 타기. 역 근처에서 빌린 자전거로 페달을 밟으며 팔당대교, 정약용유적지 등 주변 풍경을 품에 안을 수 있다.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