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가지' 불씨로 성장 드라이브…中 움직이자 세계 경제 '들썩' [차이나는 중국]
[편집자주] 차이 나는 중국을 불편부당한 시선으로 바라봅니다.
"중국이 돌아왔다."
전 세계적인 위드 코로나 추세에도 불구하고 나홀로 제로 코로나를 고집하던 중국이 위드 코로나로 급전환하며 본격적인 리오프닝(경제활동 재개)에 나섰다. 오는 1월 8일부터는 해외입국자의 시설 격리를 폐지하고 그동안 제한해 온 자국민에 대한 여권 발급도 정상화한다.
2020년초 코로나19 대유행 이후 3년간 빗장을 걸어잠궜던 중국이 글로벌 흐름에 동참하기 시작한 것이다. 중국이 급작스럽게 유전자증폭(PCR) 검사를 폐지하고 재택치료를 허용하면서 제로 코로나를 폐지한 후 감염자가 급증했지만, 위드 코로나라는 큰 흐름은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중국 경제 성장률은 2020년 코로나19 대유행으로 인해 2.2%로 둔화됐으나, 2021년 8.1%를 기록하며 'V자 반등'에 성공했다. 이 해 중국은 고강도 방역 정책으로 코로나19 확산을 막았으며 수출이 급증하면서 나홀로 호황을 누렸다.
하지만 지난해 전파력이 높은 오미크론 변이가 우세종이 되면서 상황이 달라졌다. 중국 전역에 걸쳐 국지적인 코로나19 감염이 지속되자 중국은 강도 높은 전면봉쇄 조치로 맞섰고 결국 소비가 급감했고 성장률도 둔화됐다.
지난해 중국 경제 성장률은 약 3%로 예상된다. 당초 제시한 성장률 목표치인 5.5%에 크게 못 미치는 수준이다. 지난해 10월 중국공산당 제20차 당대회에서 시진핑의 3연임을 공식화하며 권력구조를 확정한 중국이 올해는 본격적인 경기 부양에 나서야 하는 부담을 안게 됐다. 코로나19 이전 6% 넘게 성장하던 중국 경제가 5% 성장속도로 반등할지, 아니면 3% 수준의 저성장국면이 고착화될지 여부는 올해가 관건이다.
올해 미국을 비롯한 글로벌 경기침체가 예상되는 상황에서 중국은 세계 최대 인구대국의 이점을 살려 내수 확대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특히 중국 정부는 △주거환경 개선 △전기차 △양로서비스 분야의 소비확대를 중점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지난해 중국 내수에서 투자보다 급감한 건 소비다. 지난해 1~11월 중국 고정자산투자금액은 52조 위안(약 9516조원)으로 전년 대비 5.3% 증가하는 등 전반적으로 양호한 모습을 보였다.
반면 지난 11월 소매판매가 전년 동월 대비 5.9% 급감하는 등 지난해 내내 소비는 부진했다. 중국 곳곳에서 코로나19 확산이 지속됐고 고강도 방역 정책이 지속되자 중국인들이 지갑을 꽁꽁 닫았기 때문이다. 하지만 1인당 GDP가 약 1만2000달러에 달하는 14억 인구가 지갑을 열기 시작하면 중국 소비는 폭발적으로 증가할 수 있다.
지난 12월 중국 정부는 소비촉진, 투자구조 최적화, 내수잠재력 방출을 골자로 한 '내수확대 전략계획 요강(2022~2035년)'을 발표하며 이미 소비확대에 나섰다. 글로벌 투자은행도 소비회복을 점쳤다. 왕타오 UBS 이코노미스트는 코로나19 감염자가 급증하면 당분간 소비가 주춤하겠지만, 1분기 안에 코로나19 피크(정점)를 경과한 후 소비가 회복될 것으로 내다봤다. UBS는 올해 중국 성장률 예측치를 4.5에서 4.9%로 올렸다.
모건스탠리도 오는 1월 하순 춘제(春節·설) 기간 중 중국이 코로나19 피크를 지나면서 3월말부터는 사회적 이동이 정상화되기 시작할 것으로 예상했다. 또 중국 경제가 2분기 초부터 본격적인 반등을 시작할 것으로 점치며 중국 성장률 예측치를 5%에서 5.4%로 상향했다.
중국 최대 증권사인 증신증권과 평안증권도 올해 중국 경제가 5% 성장할 것으로 전망했다. 올해 3월 개최되는 양회(兩會·전국인민대표대회와 전국인민정치협상회의)에서 중국 정부가 성장률 목표치로 약 5%를 제시할 것으로 보는 시각이 대부분이다.
하지만 지난 11월 이후 중국 정부는 부동산업체의 대출 상환 기한 연장, 자금조달·인수합병 지원책을 연달아 발표하면서 부동산 부양으로 스탠스를 전환했다. 중국 국내총생산의 25% 이상을 차지하는 부동산 산업을 더 이상 내버려둘 수 없는 단계에 이르렀기 때문이다. 부동산 산업은 올해 바닥을 다지는 한 해를 보낼 것으로 보인다.
특히 2년 동안 지속되어 온 플랫폼 기업 규제도 변화의 기미가 엿보인다. 지난달 중순 개최된 중앙경제업무회의에서는 상시감독 수준을 높이고 "플랫폼기업이 발전을 이끌면서 일자리를 창출하고 글로벌경쟁에서 실력을 떨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중국 정부의 플랫폼 기업에 대한 태도가 "자본의 무분별한 확장을 막겠다"에서 "실력을 떨치도록 지원하겠다"로 바뀌었다. 역시 중국 정부가 성장 위주의 정책으로 전환했음을 드러내는 대목이다.
김재현 전문위원 zorba00@mt.co.kr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 이종석, 2월엔 "존경하는 분과 결혼"…♥아이유와 진지한 관계? - 머니투데이
- "아이유 짜증났다" 고백한 이종석, 연인으로…10년 전 '불화설' 재조명 - 머니투데이
- '건강이상설' 정형돈, 확연히 달라진 얼굴…몸무게 몇 ㎏ 됐길래 - 머니투데이
- 정준하, 가게서 전통주값 뻥튀기?…"원가 11만원→20만원 팔아" - 머니투데이
- 이수근 주사 고백…"할아버지와 주먹다툼, 정준하 바지에 실수" - 머니투데이
- 임신한 손담비 "잘 때 숨 안 쉬어져" SOS…무슨 일? - 머니투데이
- '미성년자 성폭행' 고영욱, 이상민 저격…"인간으로 도리 안해" 무슨 일 - 머니투데이
- "중국어 썼다고 감점" 싸늘했던 이 나라…한국 건설사에 일 맡긴 후 '반전' - 머니투데이
- 실종 지적장애 여성 "성폭행당해" 주장…중앙경찰학교 교수 입건 - 머니투데이
- "2회에만 만루포, 투런포 얻어맞아"…류중일호, 대만에 3-6 '충격패' - 머니투데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