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K-컬처' 결산…'공연 시장은' 성장, 영화는 '답답'

박재현 기자 2022. 12. 31. 07:45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2022년 올 한 해 문화계는 코로나 이전의 모습을 상당히 회복했다는 평가입니다.

스타와 팬 덤의 성장으로 올해 음반, 공연 시장은 코로나 이전 분위기를 회복했다는 평가입니다.

반면 영화 시장은 아직 주춤한 모양새입니다.

코로나 이전 연간 2억 명에 달하던 영화 관객은 절반 수준에 머물러 있습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앵커>

2022년 올 한 해 문화계는 코로나 이전의 모습을 상당히 회복했다는 평가입니다. 무엇보다 케이팝과 공연계의 성장이 눈에 띄는데요.

박재현 기자가 올해 문화계를 뜨겁게 달군 순간들을 모아 정리했습니다.

<기자>

방탄소년단은 맏형 진의 입대와 함께 그룹 활동의 1막을 마무리했습니다.

[진/방탄소년단 : 저희가 일단 잡혀 있는 콘서트는 이게 마지막이었어요. 앞으로 또 콘서트를 언제 하게 될까.]

함께 뭉쳐 세계를 휩쓴 7명의 멤버들은 흩어져서도 기염을 토하고 있습니다.

방탄소년단뿐만 아니라 블랙핑크, 스트레이 키즈도 각각 빌보드 정상에 오르며 K팝의 인기를 입증했습니다.

K-신드롬은 클래식에서도 이어졌습니다.

피아니스트 임윤찬은 반 클라이번 콩쿠르에서 당당히 우승을 차지했습니다.

[엘리자베스 로/콩쿠르 해설 : 일생일대의 공연이었습니다. 제가 이 공연을 볼 수 있다는 게 영광입니다.]

전 공연 매진에다 유명 오케스트라와의 협연으로 내년 일정도 꽉 차 있습니다.

[임윤찬/피아니스트 : (특히 어려운 이웃을 찾아 연주하는 건) 그분들에게 또 다른 우주를 열어 드리는 과정일 수도 있다는 것이 굉장한 의미가 있다고 저는 생각합니다.]

스타와 팬 덤의 성장으로 올해 음반, 공연 시장은 코로나 이전 분위기를 회복했다는 평가입니다.

반면 영화 시장은 아직 주춤한 모양새입니다.

코로나 이전 연간 2억 명에 달하던 영화 관객은 절반 수준에 머물러 있습니다.

[정인혜/예술경영지원센터 팀장 (김수현의 커튼콜) : 영화 티켓 가격이 많이 증가하면서, 그걸 대체할 수 있는 (OTT 등) 다른 것들과의 비교가 많이 되고 있는 것 같아요.]

하지만 박찬욱 감독의 헤어질 결심은 칸영화제 감독상 수상 등 큰 호평을 받았고, 범죄도시 2는 오랜만에 천만 관객을 돌파했습니다.

이정재 배우는 '오징어 게임'으로 에미상 남우주연상을, 송강호 배우는 영화 브로커로 칸 영화제 남우주연상을 거머쥐었습니다.

[이정재/배우 : 앞으로 훨씬 더 한국 콘텐츠를 알리고 수준 높은 콘텐츠를 만들어서….]

그림책 작가 이수지는 한국인 최초로 아동문학계의 노벨상으로 불리는 안데르센상을 수상했습니다.

(영상편집 :최은진, CG : 류상수, VJ : 오세관)

박재현 기자replay@sbs.co.kr

Copyright ©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