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을 빛낸 ‘꺾이지 않은 사람들’… 월드컵대표팀-허준이-젤렌스키 등

김기윤 기자 2022. 12. 31. 03:00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동아일보 선정 올해의 인물]
굿바이 2022… 새해에도 ‘중꺾마’
끝까지 꺾이지 않고 새 희망 일궈내
돌이켜보면 유독 힘든 한 해였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은 우리를 여전히 공격했고, 전쟁 난민들은 집으로 돌아가지 못했다. 경기 침체와 인플레이션에 고통을 받았고, 이태원에선 158명이 희생됐다.

그러나 ‘꺾이지 않은 사람들’의 의지는 우리에게 기적과 감동을 가져다줬다.

2023년 계묘년(癸卯年)을 맞아 1999년생 토끼띠 청년 4명이 카타르 월드컵에서 한국 대표팀이 16강 진출을 확정한 뒤 들어 화제가 됐던 ‘중꺾마(중요한 것은 꺾이지 않는 마음) 태극기’와 함께 섰다. 누구보다 높은 열정으로 매일을 채워 가는 이들은 녹록지 않은 현실과 마주할 때마다 “중꺾마”라고 되새긴다. 새해에도 이들의 도전은 꺾이지 않을 것이다. 왼쪽부터 대학생 박진우 씨, 직장인 김소연 씨, 대학생 이지민 김한울 씨. 동아일보는 ‘중꺾마 태극기’를 제작한 김의민 씨(29)의 협조를 받아 촬영했다. 양회성 기자 yohan@donga.com
카타르 월드컵 한국 축구 국가대표팀은 단 9%의 확률을 뛰어넘고 16강에 진출했다. 지하 190m 막장에 갇혔던 광부 2명은 221시간 동안 희망을 포기하지 않은 끝에 생환했고, 허준이 한국 고등과학원 석학교수 겸 미국 프린스턴대 교수는 한국계 최초로 ‘수학계의 노벨상’인 필즈상을 수상했다. 모두 ‘기적’이라 불러도 손색없는 순간이었다.

해외에선 러시아의 침공에 맞선 우크라이나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대통령의 결사 항전 의지가 세계를 감동시켰다. 불의에 맞서 들불처럼 일어난 중국과 이란의 시위대도 세계인들의 마음을 움직이며 지지와 성원을 받았다.

사회 초년생 김의민(왼쪽에서 3번째) 씨는 아버지 함께 이번 카타르 올림픽 현지 응원에 나섰다. 스스로 마음을 다지기 위해 태극기에 적은 ‘중요한 것은 꺾이지 않는 마음’(중·꺾·마)은 대한민국의 16강 진출과 함께 지구 반대편에서 응원하는 국민들에게도 희망을 전했다. 정년퇴임 후 제 2의 인생을 준비하는 김의민 씨 부모님, 대학 졸업을 앞둔 토끼띠 MZ세대, 초등학교 입학을 앞둔 어린이들이 ‘중·꺾·마’ 태극기를 들고 새해 소망을 이야기하고 있다. <양회성 기자 yohan@donga.com>
이들 덕분에 우리의 입에는 ‘기적’과 ‘감동’이란 단어가 계속 오르내렸다. 2023년을 앞둔 우리가 “당신들 덕분에 시련 속에서 한 발 더 내디딜 힘을 얻었다”고 그들에게 감사를 표하는 이유다.

9% 확률 뚫고 월드컵 16강… 매몰 탄광서 9일만에 생환




올해의 인물
“근거없는 자신감이 큰 힘 됐다”
필즈상 허준이 교수, 국민에 희망


월드컵 대표팀
이달 3일 축구대표팀의 포르투갈전을 앞두고 한국의 승리를 예상한 이는 거의 없었다. 미국 통계 사이트 파이브서티에이트가 지난달 29일 공개한 16강 진출 확률에 따르면 한국은 9%에 불과했다. 하지만 대표팀은 늘 그래왔던 대로 끝까지 포기하지 않았고, 후반 추가시간에 2-1로 역전하는 ‘각본 없는 드라마’를 썼다.

환희의 순간 선수들은 태극기를 펼쳐 보였다. 태극기에는 “중요한 것은 꺾이지 않는 마음”이라고 적혀 있었다. ‘중꺾마’는 기적과 불굴의 의지, 희망을 뜻하는 올 최고의 유행어가 됐다.
○ 필즈상과 봉화의 기적

허준이 교수
올 7월 필즈상을 수상한 허 교수는 고교 1학년을 중퇴하고 검정고시로 대학에 갔다. 대학 3학년에야 뒤늦게 수학에 눈을 떴지만, 필즈상의 영예는 국내에서 가장 먼저 안았다. 허 교수는 모교인 서울대 강연에서 “‘근거 없는 자신감’이 목표를 변경하도록 돕기도 하고 기존 목표를 향해 더 나아갈 수 있도록 하면서 인생을 끝까지 잘 살아낼 수 있게 하는 큰 힘이 되더라”라고 했다. 허 교수에겐 꺾이지 않는 마음이 ‘근거 없는 자신감’이었던 셈이다.

박정하 씨
광부 박정하 씨(62)는 ‘막장’에서도 꺾이지 않았다. 올 10월 26일 박 씨는 경북 봉화 아연광산 수직갱도 지하 190m 지점에 고립됐다. 이들이 살아 돌아오리란 걸 기대한 이는 별로 없었지만, 박 씨는 끝까지 희망을 놓지 않았다. 9일 만에 다시 빛을 본 박 씨는 역경에 빠진 이들에게 이렇게 말했다. “희망을 잃지 않으면 한 줄기 빛이 반드시 찾아올 거라고 믿습니다. 제가 그 증거입니다.”
○ 꺾이지 않는 의지

젤렌스키 대통령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하기 전까지 볼로디미르 젤렌스키(44)란 이름은 유명하지 않았다. 코미디언 출신이란 독특한 이력에 주목하는 사람이 더 많았다. 하지만 전쟁은 모든 것을 바꿔놓았다. 그는 수도 키이우에 상주하며 항전을 주도했다. 그가 내내 입은 카키색 티셔츠는 저항 의지의 상징이 됐다.

11월 24일 중국 신장위구르자치구 우루무치의 아파트에서 화재로 10명이 숨지고 9명이 부상을 입었다. 중국의 ‘제로 코로나’ 정책 탓에 진화 및 구조 작업이 제때 이뤄지지 못해 대규모 인명 피해가 발생했다는 반발과 시위가 들불처럼 번졌다.

공안이 ‘시진핑 퇴진’, ‘공산당 퇴진’ 구호가 적힌 피켓을 압수하고 탄압하자 시민들은 백지를 들고 ‘무언의 항의’를 이어갔다. 중국은 결국 이달 7일 제로 코로나 정책을 폐지했다.

이란 수도 테헤란에서 히잡을 착용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경찰에 체포된 쿠르드족 여성 마사 아미니(22)가 9월 16일 의문사한 뒤 시작된 반정부 시위도 석 달 넘게 이어지고 있다. 이란 당국은 무력으로 시위대를 진압했고, 적법한 재판 절차조차 없이 체포한 사람들을 사형에 처했다. 인권단체 ‘이란 인권운동가통신(HRANA)’에 따르면 반정부 시위로 507명이 숨졌다. 그중 69명은 미성년자다. 그럼에도 시위대의 의지는 꺾이지 않았고, 세계 곳곳에서 연대의 목소리가 이어지고 있다.

김기윤 기자 pep@donga.com
카이로=강성휘 특파원 yolo@donga.com

Copyright © 동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