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과문화] 새해를 항아리에 담는 법

2022. 12. 30. 22:35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지상의 모든 어둠을 내리 누르고
누구에게나 평등하게 가 닿아
각자 해를 담는 방법은 기다림뿐
기적은 모두에게 찾아오기 마련

몇 해 전 1월1일 새벽에 파주의 심학산으로 일출을 보러 갔다. 높이가 194m인 나지막한 산이지만 정상에서 멀리 임진강이 보인다. 이름이 심학(尋鶴), ‘학을 찾는 산’이라는 뜻인데, 조선 숙종이 궁궐에서 아끼며 키우던 학 두 마리를 놓쳤는데 이곳에서 찾았기에 지어진 이름이라 한다. 일출을 보기 위해 동해까지 가긴 너무 멀고, 가족이 함께 움직이는 데 좀 편할 거 같아서 선택한 곳이다. 그런데 같은 마음을 가진 사람이 참 많았다. 전날 내린 눈으로 길은 미끄러웠는데, 인파가 몰리면서 사람들의 까만 뒷머리만 보였다. 우리는 학을 찾는 게 아니라 신년 카드에 그 학의 배경이 될 붉은 해를 기다렸다.

사람들에게 쫓기듯이 겨우 올라선 정상이지만 짙은 구름이 하늘을 뒤덮고 있었다. 어디에서 터져 나올지 모를 실낱같은 빛을 찾으며 모두가 초조하게 기다렸다. 그러나 일출 시각을 훌쩍 넘겼지만 해는 볼 수 없었다. 누군가는 “해다! 저기, 해다!” 이런 장난으로 인파를 술렁이게 할 뿐이었다. 새해의 첫해를 보는 일이 마치 한 해의 행운을 항아리에 가득 채우는 것이라도 되는 듯이 사람들은 붉은 기운이 감도는 동쪽 하늘을 뚫어져라 쳐다보았다.
천수호 시인
“해야 솟아라. 해야 솟아라. 말갛게 씻은 얼굴 고운 해야 솟아라. 산 너머 산 너머서 얼굴을 살라먹고, 산 넘어서 밤새도록 어둠을 살라먹고. 이글이글 앳된 얼굴 고운 해야 솟아라.” 박두진 시인의 ‘해’의 시작 부분인데, 해방 후 우리의 밝은 미래를 기원하는 시다. 1946년 5월 시 전문 잡지 ‘상아탑’에 발표되어 그 이후 77년 정도 지났고, 3만번가량의 해가 떴지만 입속에서 참 다정하게도 이 시가 터져 나왔다. 사람들은 왜 간절히 일출 장면을 보려 하는 걸까. 어떤 숭고한 마음이 목이 긴 기립의 새벽을 맞이하게 하는가.

동양의 태양 숭배 사상은 천문(天文)에 종교적 의미를 부여하고 숭배하면서 시작되었다. 우리 민족도 태양을 하느님으로 인식하고 우리가 이 하느님의 자손이라 믿었다. 인디언과 인디오들도 태양을 창조신으로 숭배했다. 태양의 윗가장자리가 지평선이나 수평선에 접하는 이 순간을 간절히 기다리는 것은 우리 무의식에 이런 원형이 자리 잡고 있기 때문이겠다. 이렇듯 해맞이는 한 해의 소원을 고하면서 스스로를 향해 다짐할 수 있는 시간이다. 해돋이의 첫 순간이 그날의 날씨와 잘 맞아떨어지면 유독 큰 해를 맞이할 수 있다. 새해 첫날의 기상에 관심을 가지는 것도 이 때문이다. 태양은 성난 동물의 송곳니처럼 깨진 몸의 한 조각부터 들어 보여주다가 마침내 세상에서 가장 둥글고 가장 뜨겁고 가장 최초의 것인 양 가볍게 떠오르는 것이다. 그 해는 누구에게나 오직 하나의 해가 되어 이 지상의 모든 어둠을 가볍게 내리누른다.

“아침을 담는 항아리는/ 천 개의 색을 모으는 중이다/ 무채색 주둥이까지 포함하니까/ 구부리고 번지는 밀물까지 돌과 함께 물렁해져서/ 어딘가 스며들어야 하는 해안선이 되었다” 해를 기다리는 마음은 사람의 일만은 아닌 듯이 보인다. 송재학 시인의 ‘아침이 부탁했다, 결혼식을’이라는 이 시의 첫 구절에도 해를 기다리는 항아리가 있다. 바다 저 멀리서 해가 떠오르고 그 찬란한 빛살이 해변의 작은 오두막집 항아리에 와닿는다. 마침내 그 눈부신 아침 햇빛은 무채색의 항아리에 부딪혀 천 개의 색으로 쪼개지고 그 빛은 구부려지고 번져서 이 세계의 윤곽을 확정한다. 얼마나 숭고한 일출의 시간인가.

빨리 뜨거워지려는 우리 마음이 1월1일의 해를 간절히 기다리게 하지만, 그 해는 누구에게나 평등하게 가닿는다. 각자의 해를 항아리에 담는 방법은 오직 기다림이다. 열정에 달궈진 날이 좀 더뎌 오더라도 기적은 우리 모두에게 찾아오기 마련이므로 우직한 바위의 마음으로 새해를 맞아본다. “황새는 날아서/ 말은 뛰어서/ 거북이는 걸어서/ 달팽이는 기어서/ 굼벵이는 굴렀는데/ 한날한시 새해 첫날에 도착했다// 바위는 앉은 채로 도착해 있었다”(반칠환의 시 ‘새해 첫 기적’ 전문)

천수호 시인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